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572 vote 0 2023.01.01 (16:05:39)

    사람이 혼자 있으면 괜찮은데 둘만 모이면 나쁜 짓을 한다. 둘이면 집단이다. 둘만 되면 인간은 집단을 이루고 역할을 나누려고 한다. 이때 나쁜 역할을 시키게 된다. 좋은 일을 시키려면 돈을 줘야 하기 때문이다. 무언가 일을 시키고 돈을 주지 않으면 그게 나쁜 일이다. 돈을 주지 않으려면 쾌감을 줘야 하는데 그 경우 이미 나빠져 있다. 인간의 나쁜 행동은 대부분 주변의 부추김 때문이다. 여기에는 집단의 역할 나누기라는 구조적인 이유가 있다. 이것이 사건 중심으로 보는 것이다.


    인간은 사물 중심으로 본다. 그 경우 왜곡된다. 인간은 먼저 어떤 것이 있고 다음 어떤 것이 움직인다고 본다. 뭔가 잘못되면 그 어떤 것의 고유한 속성에 책임을 떠넘긴다. 원래 그렇다는 식이다. 원래 나쁜 놈이라는 말이다. 실제로는 다르다. 대부분 나쁜 사람은 나쁜 상호작용구조 속에 빠져 있다. 주변에 부추기는 사람이 있다. 패거리가 있다. 집단 무의식이 작용하고 있다.


    개인의 의도, 생각, 목적, 계획, 야망 탓을 하면 보나마나 거짓말이다. 에너지를 공급하는 집단의 구조, 시스템, 흐름, 유행, 기세, 세력 탓을 하면 진실에 가깝다.


    당구공이 굴러가는 이유는 누가 그 공을 쳤기 때문이다. 반드시 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이 있다. 개인의 에너지는 집단에서 나온다. 집단과 상호작용하다 보면 나쁜 일이 더 서로 간에 합을 맞추기 쉽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좋은 일은 돈이 든다. 돈 없이 뭔가 일을 벌이면 보나마나 그 일은 나쁜 일이다.


    사건으로 볼 것인가, 사물로 볼 것인가다. 사건은 크고 사물은 작다. 언제나 큰 것이 원인이다. 에너지는 집단의 상호작용에서 나온다. 에너지는 큰 것에서 작은 것으로 가는 일방향으로 흐른다는 것이 엔트로피 증가의 법칙이다.


    원인을 사물로 좁혀서 보는 관점이 인간의 오판을 낳는다. 사물은 작고 작은 것은 만만하다. 작고 만만한 것을 때려주는 방법으로 쉽게 해결하려는 비겁한 자세가 실패의 원인이다.


    사건은 집단 속에서 일어난다. 집단이 에너지 공급자다. 사건으로 보면 문명과 역사와 진보와 자연과 인류의 기세와 흐름이 에너지를 공급한다. 이는 진실이다. 사물로 보면 그냥 어떤 개인이 나쁜 놈이다. 어떤 개인의 생각, 의도, 목적, 계획, 야망이 나쁜 일을 저지르게 한다. 이는 거짓이다. 나쁜 개인을 제거하면 또다른 악당이 그 빈 자리를 메우는 패턴이 반복된다.


    로마 군인황제 시대의 반복되는 혼란, 고려 무신정치 시절의 반복되는 혼란, 베트남 멸망 직전의 반복되는 쿠데타, 중국 위진남북조 시대의 반복되는 혼란은 모두 구조적인 문제로 일어난 것이다. 집단이 움직이는데 따른 비용을 들이지 않고 개인의 돌려막기 수법으로 일을 꾸미면 뒤에 청구서를 받는 것이 결과적으로 나빠진다.


    나라가 잘되려면 집단 전체의 수준이 높아져야 한다. 집단이 다 같이 변하는 데는 비용이 든다. 의사결정 비용을 아끼려고 하는 비겁한 마음이 집단을 악순환의 수렁에 빠지게 한다.


    에너지 없이 일어나는 변화는 없다. 언제라도 에너지 공급자를 족쳐야 한다. 에너지는 집단에서 개인에게 공급된다. 대개 집단의 의사결정하는 구조가 잘못된게 원인이다. 집단의 구성원 모두의 생각을 바꾸려면 비용이 든다. 돈 안 주고 사람을 부리는 방법은 나쁜 짓뿐이다.


    히틀러 한 명의 야욕 때문에 2차대전이 일어난 것인가? 대부분의 거짓말은 원인을 좁게 잡는다. 이게 다 성소수자 때문이다, 이게 다 조선족 때문이다, 이게 다 유태인 때문이다 하는 식이다. 이는 만만한 한 넘에게 독박을 씌워서 집단의 비용을 줄이고 쉽게 가겠다는 비겁한 심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9356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5484
6201 사회적 자유주의 제언 1 김동렬 2020-08-10 2570
6200 원자론에서 구조론으로 1 김동렬 2021-02-03 2573
» 인간의 실패 김동렬 2023-01-01 2572
6198 속임수를 간파하는 기술 김동렬 2023-08-10 2573
6197 구조론 차원의 의미 김동렬 2020-04-09 2574
6196 구조론은 자유론이다 김동렬 2021-01-12 2574
6195 인간의 지능이 높아진 이유 추가 김동렬 2022-10-23 2574
6194 사건의 해석 김동렬 2021-12-08 2575
6193 철학 변화 간섭 기능 권력 김동렬 2022-10-27 2575
6192 삼단사고 2 김동렬 2022-11-14 2576
6191 인간들에게 하는 말 김동렬 2022-02-21 2577
6190 책상물림 지식인의 환상 김동렬 2022-03-27 2578
6189 낳음 김동렬 2023-07-18 2578
6188 강형욱 양원보 통일교 내전? 4 김동렬 2024-05-27 2578
6187 외계인은 없다 김동렬 2021-06-27 2580
6186 지능에 도전하자 김동렬 2022-07-13 2580
6185 과학은 간이 크다 김동렬 2022-09-18 2582
6184 우주의 중심은 어디인가? 김동렬 2022-02-06 2583
6183 생각을 하자 김동렬 2022-02-24 2583
6182 여자는 있고 남자는 없다 김동렬 2022-05-18 25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