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306 vote 1 2022.10.14 (20:40:33)

    지식인은 감추어진 부분을 알아내야 한다. 부분을 보고 전체를 알아내야 한다. 원인을 보고 결과를 알아야 한다. 과거를 보고 미래를 알아야 한다. 


    알 수 있는 부분도 있고 알 수 없는 부분도 있다. 알 수 있는 부분은 절대성이요, 알 수 없는 부분은 상대성이다. 알 수 있는 부분과 알 수 없는 부분이 섞여 있는게 보통이다. 그렇다면 알 수 있는 부분만 추려야 한다. 


    문제는 알고자 하는가이다. 모르고자 하는 태도가 문제다. 상대주의를 강조하는 자는 모르고자 하는 자다. 그런 자와는 대화할 수 없다.


    1은 알 수 있다. 아무데나 대충 찍어도 1이다. 2도 알 수 있다. 역시 아무데나 찍어도 2다. 단, 다음에 올 3을 배려해서 신중하게 찍어야 한다. 3은 알 수 없다. 아무데나 찍을 수 없다. 1과 2의 간격을 재서 2와 3의 간격을 맞춰야 한다. 2가 1의 오른쪽에 있다면 3은 2의 오른쪽에 찍을 수 있다.


    뭔가 복잡해지는 것은 3부터다. 1과 2는 쉽다. 절대적이기 때문이다. 어려운 것은 상대적인 것이다. 우리는 쉬운 절대성에 의지해야 한다. 절대성은 쉽기 때문에 누구나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의지가 된다. 


    해는 누구나 찾을 수 있으므로 의지가 된다. 달은 조금 어렵지만 초승달이든 반달이든 기다리면 뜨기는 뜬다. 별은 찾기 어렵다. 


    우리가 알고자 하는 것은 변화다. 변화는 3에서 일어난다. 1은 주어, 2는 목적어, 3은 동사다. 변화는 동사에서 일어난다. 1과 2는 움직이지 않는다. 그러므로 절대적이다. 동사는 움직이고 움직이면 상대적이다. 


    1의 궁수가 2의 활을 쏘았는데 3의 사슴에 맞느냐 맞지 않느냐는 그 사슴이 도망치느냐 제자리에 머물러 있느냐에 달려 있다. 상대적이다. 


    상대성은 3이다. 1과 2는 절대적이다. 1은 절대라고 할 수 없다. 왜냐하면 대가 없기 때문이다. 2는 대칭이고 1은 무대칭이다. 그러므로 1은 절대도 아니고 상대도 아니고 완전성이다. 2는 절대적이고 3은 상대적이다.


    1은 대칭이 없고 2는 1과 대칭된다. 그 대칭은 절대성을 가진다. 왜냐하면 1과 2를 연결하는 라인은 하나뿐이기 때문이다. 그 라인을 끊을 수 없다. 대칭으로 보면 1은 0이고 2에 이르러 대칭 1이 완성되며 3에 이르러 대칭 2가 완성된다. 대칭이 둘이므로 상대적이다.

   

    상대든 절대든 만나야 한다. 어떤 둘의 만남은 절대다. 만나서 이루어지는가는 상대다.


    데카르트는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고 말했다. 존재가 1, 나는 2, 생각은 3이다. 존재와 나 사이의 =를 나와 생각 사이의 =로 복제한 것이다. 1과 2 사이의 거리를 2와 3 사이의 거리로 복제하듯이 말이다. 


    존재 안에 내가 있고 내 안에 생각이 있다. 생각은 상대적이고 나는 절대적이며 존재는 완전하다. 


[레벨:30]솔숲길

2022.10.16 (22:37:30)

1은 절대라고 할 수 없다. 왜냐하면 대가 없기 때문이다. => 대가??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7019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6982
473 우연에서 필연으로 김동렬 2022-12-09 2328
472 상호작용 김동렬 2022-11-09 2326
471 구조론과 구조주의 김동렬 2022-10-27 2324
470 플러스알파의 의미 김동렬 2022-04-07 2324
469 깨달음 김동렬 2023-09-06 2322
468 자궁을 생각하라 김동렬 2022-06-24 2322
467 구조론 1분 스피치 김동렬 2023-04-08 2320
466 임무형 명령형 김동렬 2022-04-03 2320
465 인간의 사정 1 김동렬 2022-12-10 2319
464 사건의 탄생 김동렬 2022-12-31 2315
463 빛에 대한 추가 이야기 김동렬 2022-09-27 2314
462 정치의 본질 김동렬 2023-12-12 2312
461 생각을 하자 2 1 김동렬 2022-11-20 2312
460 생각의 방법 김동렬 2022-03-05 2309
459 원자설과 원소설 김동렬 2023-04-12 2308
458 공감빌런을 퇴치하라 김동렬 2022-12-17 2307
» 만남 1 김동렬 2022-10-14 2306
456 무당의 어원 김동렬 2023-01-13 2306
455 구조론 3분 스피치 김동렬 2023-04-19 2305
454 기본모순 김동렬 2023-01-13 2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