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480 vote 1 2022.09.18 (13:28:58)

    과학의 세계는 간 큰 사람이 먹는다. 자연은 대칭이므로 이거 아니면 저거다. 이게 아니라는 확신을 가지고 그러므로 저거라고 지르는 사람이 먹는 판이다. 베게너의 대륙이동설처럼 정확한 설명은 못해도 대충 이게 아니라는 것은 절대적인 확신을 가지고 말할 수 있다.


    대개는 그렇게 못하고 얼버무린다. 간이 작아서다. 혹은 기득권의 권위에 짓눌려서다. 구조론은 존재는 입자가 아니라는 확신에서 출발한다. 상식적으로 아니잖아. 우주 안의 모든 입자는 잠정적인 것이다. 관측자인 인간의 형편이 개입하고 있다. 입자라고 치면 편하다.


    숫자를 셈할 때 지목되는 사과를 셈하는지, 지목하는 손가락을 세는 건지 둘을 연결하는 라인을 세는지 헷갈리잖아. 이런 문제는 초등학교 1학년때 고민하는 것이다. 초딩때 배운 것을 중딩때 뒤집는게 어딨어? 학자들이 쉬운 것을 어렵게 말하는 것도 재주라면 재주다.


    지켜본 결과 나는 이 양반들이 ‘즐기는 자의 모드’에 들어가 있다는 사실을 알았다. 일부러 기선제압용으로 넘을 수 없는 장벽을 쌓아놓고 ‘약오르징. 억울하면 니들도 수학 배워.’ 이런다. 양자역학은 관측이 영향을 미치는게 아니고 사실은 간섭이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간섭이라고 하면 쉬울텐데 관측이라고 말해서 골때린다. 슈뢰딩거 같은 소리 하고 있네. 우매한 대중들을 구름 위에서 내려다보며 지들끼리 신선놀음 하면서 낄낄대는 표정을 들키고 있다. 놀려먹으니 좋으냐? 간섭하지 않고 관측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것은 현실이다.


    헷갈리는 것은 그게 관측의 한계점 문제인지 존재의 원리인지 애매하게 말한다는 거다. 구조론은 원리의 문제로 본다. 만약 위치가 있으면 하느님 할배가 와도 우주를 맹글 수 없다. 그게 성가시다는걸 모르겠는가? 존나 짜증나지 않아? 시뮬레이션 놔두고 구슬 꿰라고?


    노가다가 무한대다. 위치가 원리적으로 없는 이유는 장의 의사결정속도가 광속보다 빠르면 위치의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의미가 없는 것은 없는 것으로 간주한다. 의사결정 속도는 파동함수의 붕괴속도다. 구조론으로 보면 입자의 위치는 흔들리는 장의 균형점이다.


    계의 균형을 도출하는 속도는 광속보다 빠르다. 그래야 빛이 전달된다. 모든 변화는 자리바꿈이므로 A에서 B로 가려면 B에서 A로 와야 하는데 그 속도는 광속보다 빠르다. 장의 균형을 만드는 속도가 균형점의 이동보다는 빨라야 한다. 의사결정은 방향전환을 거친다.


    부메랑의 회전거리는 이동거리보다 멀다. 바퀴축이 전진한 거리는 바퀴테가 전진한 거리보다 짦다. 빛 내부의 진동거리가 외부로의 이동거리보다 길다. 의사결정은 계의 확산방향을 입자의 수렴방향으로 바꾼다. 광속은 수렴방향에서 확산방향으로 바뀌는 탈출속도다. 


    입자의 위치가 특정되는 지점은 언제나 수렴방향이다. -><- 가 ->보다 빠르다. 방향전환은 언제나 속도가 0인 지점을 통과하기 때문이다. 양자얽힘이 힌트다. 물질의 변화속도는 광속에 제한되지만 물질을 스크린에 쏘는 장의 의사결정속도는 무한대에 가까울 수 있다.


    광속으로 비행하면서 다른 것을 관측할 수 있을까? 불가능하다. 시간이 느려진다거니 공간이 휘어진다거니 하는 것은 그저 표현일 뿐이다. 왜 말을 그 따위로 하고 단어 선택을 그 따위로 하는지? 특히 공학도의 뇌구조는 이해불가다. 광속은 자연의 의사결정속도다.


    초음속 비행기가 다가오는 소리를 인간은 들을 수 없다. 소리가 안 나는게 아니고 다가오는 동안은 인간이 듣는게 불가능한 것이지만 그걸 두고 소리가 안 난다고 말해도 그게 틀린 말은 아니고 우기면 말은 맞는 것이다. 불친절한 설명인데 왜 친절한 설명을 거부할까?


    자연의 의사결정속도를 초월하는 속도는 측정할 수도 없고 애초에 속도의 의미가 없다고 말하면 쉽게 이해가 될텐데. 속도의 성립이 안 되는 거다. 인간이 광속으로 달린다면 아무 것도 볼 수 없고 들을 수도 없다. 그것을 두고 시간이 흐르지 않는다고 표현할 수는 있다.


    그게 말은 되는데 우리의 전통적인 시간 관념으로 본다면 분명 잘못된 말이다. 학자들이 말을 이상하게 해놓고 국어사전을 고쳐버린다. 어쨌든 빅뱅 때 날아가는 빛은 아직도 빅뱅 상태에 머물러 있다. 빛 자신의 관점에서는 빅뱅 이후 시간이 전혀 흐르지 않은 것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6952
604 개혁당을 위한 대안 김동렬 2003-02-05 13687
603 개혁당 서프당과 일전을 벌이다 image 김동렬 2003-02-05 13504
602 조선일보 지령 『노무현과 DJ를 이간질하라』 김동렬 2003-02-02 13756
601 김대중의 변명 - 통치권 차원의 결단인가? 김동렬 2003-01-30 14194
600 적들의 음모 - 노무현을 무장해제 시켜라 김동렬 2003-01-28 17448
599 한나라당의 무뇌를 재검표해야 김동렬 2003-01-27 15478
598 김원웅씨? 당신 뭐하는 사람입니까? 김동렬 2003-01-27 13711
597 박노자가 못 본 대한민국 김동렬 2003-01-26 13543
596 꽃동네 유감 -.-; 김동렬 2003-01-24 15832
595 박근혜 삭발하다? (펌) image 김동렬 2003-01-23 14956
594 수레바퀴를 찾아라! image 김동렬 2003-01-23 14808
593 서프라이즈가 이상해? 당근이쥐! image 김동렬 2003-01-23 14978
592 피투성이님의 글 김동렬 2003-01-23 13136
591 피투성이님 조선일보를 KO시키다. 김동렬 2003-01-22 15161
590 펀생전 김동렬 2003-01-22 12854
589 김용옥 피투성이가 되다 김동렬 2003-01-21 13868
588 서프라이즈 출판기념회 사진 image 김동렬 2003-01-20 18222
587 이회창은 과연 돌아오는가? 김동렬 2003-01-19 13803
586 이회창은 언제 복귀할 것인가? 정답..413총선 직전에 복귀한다. 김동렬 2003-01-18 15762
585 노무현은 징기스칸에게 배워라! 김동렬 2003-01-16 15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