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612 vote 0 2022.09.04 (18:03:21)

    세상은 단순한 것의 집합이다. 문제는 그 단순한 것이 뭐냐다. 관측자인 인간이 개입하는게 오류의 원인이다. 보통은 주체인 인간과 객체를 대칭시킨다. 가장 단순한 그것은 객체다? 틀렸다. 가장 단순한 것은 주체와 객체의 대칭 그 자체다. 그것은 어떤 둘의 만남이다. 그것이 구조다. 구조가 가장 단순하다.


    세상은 단순한 것의 무한집합이 아니라 단순한 구조의 무한복제다. 우리가 구조를 보는 눈을 얻어야 한다. 구조는 어떤 둘의 대칭이다. 어떤 하나는 존재를 성립시킬 수 없다. 존재한다는 것은 곧 반응한다는 것이며, 반응한다는 것은 방향전환을 일으킨다는 것이다. 작용하는 ->에 맞서 <-로 방향전환을 일으키려면 둘이라야 한다. 어떤 하나의 갑작스런 방향전환은 질량보존의 법칙에 위배된다.


    무에서 유가 생겨날 수 없다. 방향전환을 하려면 그 방향이 내부에 잠복하고 있어야 한다. 둘이 -><- 로 계를 이루고 있을 때 외부의 작용 ->에 반작용할 수 있다. 달리는 자동차가 멈추려면 마찰하여 브레이크를 잡아줄 도로가 있어야 한다. 반드시 하나가 더 있어야 한다. 어떤 하나는 외부의 작용에 맞서 의사결정을 할 수 없다. 방향전환을 일으키는 의사결정 그 자체가 그 하나에 플러스 되기 때문이다. 


    중요한 것은 인간의 보는 방법이다. 제대로 보는 기술을 익혀야 한다. 주체가 객체를 보면 안 된다. 그것은 주관적 관점의 오류다. 상호작용하는 둘 사이의 구조를 보는 것이 객관적으로 보는 것이다. 원자론은 주체가 객체를 보는 관점이다. 인간이 관측의 주체가 된다. 틀렸다. 구조론은 관측자인 인간의 입장을 배제한 채로 계를 이루고 상호작용하는 두 객체 사이의 구조를 본다.


    원자론의 오류에 주목해야 한다. 원자는 내부가 없는 것으로 간주된다. 내부가 없다는 것은 구조가 없다는 말이다. 만약 내부가 있고 내부에 상호작용하는 구조가 있다면 더 작은 단위로 분할되므로 그것은 원자가 아니다. 원자는 구조가 없으므로 성질을 가질 수 없다. 외부의 작용에 맞서 반작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모든 존재하는 것은 내부에 상호작용하는 구조가 있다. 상호작용은 둘 이상에서만 성립한다.


    존재는 곧 방향전환이다. 외부의 자극에 반응하는 것이 방향전환이다. 방향전환이 없다면 자극에 반응하지 않고 외부의 작용에 반작용하지 않으므로 존재가 부정된다. 반응이 없는 것은 없는 것이다.


    우주는 원자의 집합이 아니라 방향전환의 연속이며 방향을 만드는 것은 장의 진동이다. 이는 우주가 아날로그가 아니라 디지털이라는 양자역학의 성과와 맞아떨어진다. 이 개념을 더 확장하면 우주가 시뮬레이션이라는 결론에 도달한다.


    비유하면 거미줄과 같다. 우리는 시공간이라는 거미줄에 원자라는 벌레가 다닥다닥 붙어있다고 생각한다. 틀렸다. 벌레는 없고 거미줄의 씨줄과 날줄이 만나는 교차점이 물질이다. 거미줄은 전부 한 줄로 연결되어 있다. 우주는 작은 것의 무한집합이 아니라 커다란 하나의 무한분할이다. 물질은 실이 꼬인 것이며 꼬인 실은 다시 풀 수 있다. 우주를 풀면 한 가닥의 실이 된다. 거미는 무수한 방향전환을 통해 이 줄과 저 줄을 교차시켜 커다란 거미줄을 짠다. 우주는 그렇게 탄생한다.


[레벨:15]오세

2022.09.04 (22:00:32)

구조론의 우주론을 보면, 극도로 발달한 문명에선 우주를 만들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1761
1966 민노당과의 연정 못할 거 없다 김동렬 2005-07-04 13462
1965 괜찮은 사람은 다 애인이 있다? image 1 김동렬 2017-04-26 13462
1964 정치하는 원숭이들 image 김동렬 2004-10-19 13466
1963 Re..안녕하세요 동렬님 불석향 2002-10-22 13467
1962 꼬리 내리는 정몽준 김동렬 2002-10-01 13471
1961 늘 하는 이야기지만.. 김동렬 2005-12-12 13476
1960 구조론을 공부하자 image 김동렬 2017-05-20 13478
1959 사물이 먼저냐 사건이 먼저냐? image 4 김동렬 2017-05-29 13480
1958 노무현이 미워서 유시민을 때린다 김동렬 2006-01-09 13481
1957 나를 사랑하겠다는 비겁한 결심 image 김동렬 2017-05-15 13481
1956 총선의석 예상 image 김동렬 2004-03-21 13485
1955 강금실이 나올 때 까지 김동렬 2005-05-01 13485
1954 호르몬의 전략과 선택 image 1 김동렬 2017-02-04 13486
1953 고이즈미의 성공을 어떻게 볼까? 2005-09-15 13491
1952 가출하세요. image 1 김동렬 2017-05-16 13491
1951 빨갱이들은 에미 애비도 없다 image 김동렬 2004-02-03 13494
1950 황우석의 전략적 선택 김동렬 2005-11-25 13495
1949 권력이란 무엇인가? image 4 김동렬 2017-02-16 13496
1948 완전성이란 무엇인가? image 3 김동렬 2017-07-29 13506
1947 행복의 비결은 무엇인가? image 2 김동렬 2017-04-07 13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