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310 vote 1 2022.08.18 (20:22:20)

    이기는 힘은 주체와 객체 사이에 지렛대를 만드는 것이다. 지렛대는 받침점과 힘점, 작용점으로 구성된다. 우리는 받침점을 고정시키고, 힘점을 움직여서 작용점을 통제하지만, 더 쉬운 방법은 받침점을 상대방 쪽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합기술의 원리가 그러하다.


    펜치나 가위와 같은 도구는 받침점이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팔씨름을 해도 손목을 잡으면 불리하다. 잡는 위치가 받침점이다. 질은 힘점과 작용점을 연결하고, 입자는 받침점을 찾고, 힘은 받침점을 이동시키며, 운동은 힘점을 움직이고, 량은 작용점을 해결한다. 


    인간의 신체구조는 지렛대와 반대로 되어 있다. 척추가 받침점이고 근육이 힘점이고 손발이 작용점이다. 작용점과 힘점이 같은 방향이다. 척추를 움직일 수 없으므로 받침점을 이동시킬 수 없다. 그러나 합기도라면 상대방을 잡은 손을 받침점으로 삼아 이동시킨다. 


    토크와 마력의 관계다. 마력은 힘점을 움직이고, 토크는 받침점을 움직인다. 디젤 엔진은 피스톤이 길기 때문에 지렛대가 더 세다. 유도선수는 상체를 낮추고 기술을 건다. 지구가 받침점, 주체가 힘점, 객체는 작용점이다. 나와 상대 사이의 받침점을 지구로 옮긴다.


    우리가 힘을 쓸 때는 주체와 객체 사이에 지렛대를 만들고 그 지렛대의 축을 움직여서 토크를 만드는 것이다. 받침점을 움직이는 것이다. 이기는 힘은 받침점의 이동힘이다. 우리는 주체와 객체 사이에 대칭을 만들고 둘 사이에 있는 축을 이동시켜서 통제할 수 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8011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970
6059 윤영조와 한사도 김동렬 2024-01-22 2721
6058 대칭은 비대칭이다 김동렬 2021-11-17 2723
6057 지구는 둥글다 김동렬 2022-02-05 2723
6056 인생의 의미 김동렬 2022-04-01 2723
6055 왜 노무현주의가 뜨는가? 김동렬 2020-10-24 2725
6054 조중동의 진실 김동렬 2022-07-09 2728
6053 브루투스의 배신공식 김동렬 2022-02-14 2729
6052 방향성의 판단 5 김동렬 2020-02-23 2730
6051 공리주의와 구조론 김동렬 2021-02-03 2731
6050 진화론의 진화 김동렬 2021-03-27 2731
6049 과학과 주술 김동렬 2022-01-31 2732
6048 인간의 비극 1 김동렬 2022-02-06 2735
6047 질문과 답변 1 김동렬 2022-03-16 2736
6046 현대차가 도요타를 제치는가? 김동렬 2023-07-18 2736
6045 구조론 입문 김동렬 2021-02-16 2737
6044 구조론은 엘리트주의다 1 김동렬 2020-08-23 2738
6043 어리석은 마르크스 김동렬 2022-09-20 2739
6042 신과 인간 1 김동렬 2019-12-30 2740
6041 구조론사람의 길 2 김동렬 2020-02-03 2741
6040 구조론의 가르침 김동렬 2022-02-01 27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