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1]chow
read 4250 vote 0 2022.08.15 (20:22:10)

https://news.v.daum.net/v/20220815191001934 

한국인이 한국인에게 "야, 이 깜둥아"라고 말해도 혐오표현이 아니나, 한국인이 흑인에게 똑같이 말하면 혐오표현이 됩니다. 
단어만으로 그것이 혐오표현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건 바보짓이라는 거죠. 이런 거 모르는 사람은 없는데, 희안하게 인공지능을 연구하는 사람은 이런 걸 모릅니다.

인간이 쓰는 정도로 언어를 학습하려면 상황, 즉 맥락을 인식해야 하는데, 현재 자연어처리 알고리즘은 그런 게 없습니다. 자연어처리 알고리즘은 단어의 의미를 만들고자 통계적으로 빅데이터를 학습하는데, 그게 문서 안에서만 상대적으로 학습하기 때문. 맥락은 문서 밖에 있는데 말이죠.

translate.jpg
예전에 동렬님이 출석부에 올린 이미지

david를 데이비드, 데이빗, 다윗으로 따로 번역하는 이유는 문서의 맥락없이, 문장의 맥락만으로 단어를 학습하기 때문입니다. 다윗으로 번역한 문장은 성경을 학습한 결과인데, 데이비드와 데이빗이 같은 문서에 나오는 게 자세히 보면 다윗과 데이빗 주변의 단어 분포와 조합이 미묘하게 다른 걸 알 수 있습니다. 여러 문서의 맥락을 섞어서 학습한 결과인데, 이는 제논의 역설과 비슷한 상황이라고도 볼 수 있습니다.

이 단어의 근거는? 저 단어, 그럼 저 단어의 근거는? 이 단어. 즉 현재의 자연어처리 알고리즘이 특정 단어의 주변만 맥락으로 삼을뿐, 더 큰 단위인 문서 주변은 보지 않기 때문에 벌어지는 참사입니다. 그럼 문서 주변은 뭐냐? 출간된 시대, 설정된 독자, 작가의 성향 같은 거죠. 흔히 말하는 메타 정보입니다. 우리는 외부를 내부와 인과관계가 있고 상관관계는 없는 것이라고 합니다. 바로 그 제3의 근거를 가져와야 번역에 일관성이 생깁니다.

상관관계를 근거로 삼는 현재의 머신러닝 번역은 태생부터 불완전합니다. 안 되요, 그건.
Drop here!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7103
2018 스마스마에 출연한 고르바초프 image 양을 쫓는 모험 2010-03-23 7460
2017 언어의 의미란 무엇인가? 1 김동렬 2016-10-01 7456
2016 질문 -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image 24 김동렬 2013-01-11 7452
2015 남극빙어와 진화 4 다원이 2009-04-14 7445
2014 붉은 수수밭 image 김동렬 2013-10-23 7423
2013 최악의 디자인 제네시스 image 3 김동렬 2013-11-14 7390
2012 비움과 채움의 균형잡기 image 3 ahmoo 2009-05-14 7374
2011 척력. 2 아제 2010-07-14 7373
2010 바둑을 하면 머리가 좋아진다? 3 오세 2010-07-15 7359
2009 안녕하십니까? 감히 요청드립니다. 20 나투나 2010-07-21 7349
2008 같다와 다르다. 2 아제 2010-07-28 7336
2007 구조론적 언어진화론의 가능성 4 LPET 2009-11-15 7332
2006 MSG는 유해한가? 9 김동렬 2013-03-04 7329
2005 서정윤 시인은 왜 망가졌을까? 3 김동렬 2013-11-20 7328
2004 김동렬님께 질문이 1 나그네 2008-01-26 7302
2003 라운키에르 식물 생활형 분류 챠우 2015-01-14 7283
2002 격투기에 관한 구조론적 해석 image 2 양을 쫓는 모험 2011-10-02 7281
2001 깨달음을 그리다 영번역 두 번째 image 15 ahmoo 2010-01-18 7264
2000 생물의 진화 image 5 김동렬 2013-11-12 7255
1999 한글의 과학성 김동렬 2012-10-30 7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