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743 vote 0 2022.07.23 (20:49:02)

    우리나라 모든 사이비는 강증산과 천부경에서 시작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접시계의 양대산맥이라 하겠다. 천공도사가 뭐 하는 작자인지 몰랐는데 알고 보니 흔한 천부경팔이였다. 천부경의 무리는 길바닥에 널려 있다. 80~90년대에 개나 소나 다 천부경 삽질했잖아.


    천부경이 주작이라는 사실은 누구나 쉽게 알 수 있다. 이것을 3분 이상 진지하게 들여다보는 사람은 지능이 떨어지는 사람이다. 3초 안에 삼일신고, 삼위일체와 연결된다는 점을 포착해야 한다. 삼일신고 위서 쓴 자가 천부경도 썼을게 뻔하다. 유희열처럼 단서를 다 남겨놨다.  


    천부경의 문체는 고조선이든 고려시대든 당시에 유행하는 문체가 아니다. 판소리가 사사조로 가는 이유는 암기하기 쉽도록 하려는 것이다. 당시든 송사든 사륙변려문이든 암기하기 쉽게 하려는 의도가 있다. 중세에는 종이가 많아서인지 극도로 장식적인 문체를 사용했다. 


    논어와 도덕경이 고도로 함축되어 있는 것과 다르다. 삼국사기에 나오는 견훤과 왕건이 주고받은 편지나 최치원의 토황소격문을 봐도 극도로 장식적인 문체임을 알게 된다. 중세는 허세의 시대였다. 46자로 된 최충헌 벼슬이름만 봐도 알 수 있다. 태조 이성계 이름도 그렇다.


    태조강헌지인계운응천조통광훈영명성문신무정의광덕대왕인데 보통은 맨 앞에 두 글자를 따서 태조라고 하는 것이다. 물론 김수한무거북이와두루미삼천갑자동방삭을 피하려는 의도다. 옛날 사람이 쓴 글이라고 우기려면 연대를 정하고 그 시대에 유행하는 문체로 써야 한다. 


    천부경의 도덕경 조금, 반야심경 조금, 유교의 천지인 삼부사상 조금 베낀 사실은 3분 안에 간파가 된다. 3분 이상을 투자하고도 실체를 못 알아보는 사람은 지능이 없는 사람이다. 똥오줌을 못 가리는 사람이다. 어떤 주장을 하려면 먼저 서론을 깔아야 한다. 그런데 없잖아. 


    왜 서론이 없을까? 필요 없기 때문이다. 왜 서론이 필요 없지? 반야심경을 베꼈기 때문에 이미 암시가 되어 있기 때문이다. 반야심경이 260자로 진리의 핵심을 조졌으니 더 짧게 가야 한다. 81자로 조져보세. 반야심경이 천부경의 서론인 셈이다. 금강경이 반야심경 서론이다. 


    금강경의 서론은 법화경이고, 법화경의 서론은 석가모니의 연기법이다. 다 근거가 있고 자궁이 있다. 차례차례 연역되어 나온다. 그런 족보가 암시되어 있다. 아이디어는 절대 그냥 나오는 법이 없다. 반드시 족보가 있다. 눈썰미 있는 사람이라면 3초 안에 족보를 꿰뚫어 본다. 


    이상문 박사가 도자기를 감정할 때 몇 초 걸릴까? 척 보면 안다. 돋보기를 들고 자세히 감정할 때도 있지만 보통은 그냥 색깔 보고 아는 거다. 헷갈리는 것도 물론 있다. 깨진 진품을 땜방해서 가격을 올려받는 수법을 쓰기 때문이다. 장비를 쓰면 땜방 자국을 금방 찾아낸다.


    천부경은 근대인의 뇌구조를 들킨다. 고조선 시대 사람이 천부경을 이해할 수 있을까? 배경 설명 없고 서론이 없어서 전혀 이해하지 못한다. 그 시대라면 하도와 낙서의 수준에 맞추어야 한다. 삼국시대라면 북두칠성 남두육성 나와줘야 한다. 별자리 보고 점을 치는 시대니까. 


    현대인은 반야심경, 도덕경, 천지인 사상 정도는 수박 겉핥기라도 알고 있으니까 골고루 짜깁기한 천부경 내용이 머리에 쏙쏙 들어온다. 일원론과 다원론을 절충한 새로운 사고를 원하는 현대인이 천부경에 낚인다. 장사꾼답게 수요에 따라 공급하는 재주를 피우는 것이다. 



4.jpg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2200 대중의 권력화가 문제다 1 김동렬 2019-12-23 2851
2199 맨 처음 이야기 2 김동렬 2019-12-23 3092
2198 구조론과 원자론의 차이 1 김동렬 2019-12-24 2577
2197 맨 처음 이야기 한 번 더 1 김동렬 2019-12-25 3349
2196 아킬레스와 거북이 1 김동렬 2019-12-25 2944
2195 거대한 전복의 시작 1 김동렬 2019-12-26 3093
2194 구조론과 범신론 3 김동렬 2019-12-27 3247
2193 주체의 언어라야 한다 1 김동렬 2019-12-27 4020
2192 우주의 건축법 1 김동렬 2019-12-27 2774
2191 인류의 가장 위대한 지식은 인과율이다 1 김동렬 2019-12-28 2878
2190 불은 빛나지 않는다 2 김동렬 2019-12-29 3953
2189 신과 인간 1 김동렬 2019-12-30 2667
2188 모든 숭배는 우상숭배다 1 김동렬 2019-12-31 2795
2187 보통사람의 보통생각은 보통 틀린다. image 3 김동렬 2019-12-31 2965
2186 원인과 결과 사이 1 김동렬 2019-12-31 2942
2185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1 김동렬 2020-01-01 3231
2184 엘리트의 패배공식 1 김동렬 2020-01-02 3667
2183 목적이냐, 상호작용이냐? 2 김동렬 2020-01-06 3145
2182 구조론은 사건의 원자론이다 1 김동렬 2020-01-06 2437
2181 진보를 진보하라 1 김동렬 2020-01-06 26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