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157 vote 0 2022.07.01 (12:16:43)

    자연은 의사결정구조를 도구로 쓴다. 에너지는 자원을 모으고, 사건을 연결하고, 게임을 주도하는 방법으로 의사결정한다. 주체가 의사결정구조를 사용하여 객체를 통제하는 힘이 권력이다. 여럿을 하나의 근원에 연결하여 서로 맞물려 돌아가게 하면 의사결정비용을 줄이는 점에서 보다 효율적이다. 이때 잉여로 주어지는 효율성의 힘이 시장에서는 이윤이 되고, 자연에서는 기세가 되고, 정치에서는 권력이 된다.


    권력은 의사결정구조라는 도구를 사용하는 자에게 주어지는 효율성의 힘이다. 자연에서는 사건의 앞단계가 뒷단계보다 힘의 우위를 이루는 하나의 방향으로만 사건이 진행된다. 그럴 때 기세가 만들어진다. 그 반대가 되면 의사결정비용의 손실에 의해 사건의 메커니즘이 작동하지 않는다. 이 경우는 권력이 소멸하여 사건의 진행이 중단된다. 굴러가던 돌이 멈춘다. 우리는 자원을 의사결정구조에 맞게 배치하여 효율성을 끌어내는 방법으로 권력이라는 이름의 잉여자원을 조직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자연은 권력을 조직할 수 있는 하나의 방향으로 움직인다. 그러므로 우리는 자연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 자연의 권력은 의사결정구조에서 얻어지는 효율성이며, 그것은 에너지의 잉여이며, 사건의 주체에게 주어지는 이익이며, 게임을 주도하는 딜러에게 주어지는 유리함이며, 의사결정권자의 합리성이며, 작게 나누어진 여럿이 한꺼번에 움직이는데 따른 기세다. 자연은 언제나 자원을 잘게 나누어 기세를 얻는 방향으로 움직인다.


    물론 인간이 만든 정치권력은 비효율적이며 비합리적인 경우가 많다. 그것은 정치인들이 꾸며낸 거짓 권력이다. 권력이라는 용어의 불편함을 뛰어넘어 에너지가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때 얻어지는 힘을 포착해야 한다. 인간에게는 도구가 효율성을 매개한다. 진리는 하나의 도구이며 그것은 에너지의 의사결정구조다. 의사결정구조는 힘이 있다. 우리의 희망은 그곳에 있다. 


    권력은 사건 속에서 주체와 객체가 대칭을 이루고 대립할 때 주체에게 주어지는 포지셔닝의 이익이다. 선점권과 같다. 화투는 선이 유리하다. 게임은 주최측이 유리하다. 먼저 말을 거는 쪽이 유리하다. 카드를 한 장 더 받는 효과가 있다. 세상은 권력에 의해 작동한다. 단 억지로 유리한 위치를 빼앗는 거짓 권력은 위험하다.


    농사를 지어도 물을 공급하는 샘과 가까운 논이 유리하다. 그래야 한다. 만약 불리하다면 물길을 막아버릴게 뻔하다. 그 경우 다른 논들도 피해를 본다. 샘과 가까운 논이 더 유리한 구조가 갖추어져야 하며 내 논에 먼저 물을 대는 이득을 얻는 대신 수로를 관리하여 다른 논에 물을 나눠주는 형태로 권력과 의무가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


    자연은 이러한 방법을 쓴다. 그것은 의사결정 메커니즘이다. 그것이 진리이며 우리는 진리를 도구로 사용해야 한다. 문제는 인간의 태도다. 막연히 권력을 부정하고 진리를 부정한다. 도구를 부정한다. 영화를 봐도 그렇다. 총 놔두고 칼을 휘두른다. 칼 놔두고 맨주먹을 휘두른다. 되도록이면 도구를 사용하지 않으려고 한다. 바보짓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2033
5966 조선일보 양상훈의 윤석열 심기관리 김동렬 2022-08-04 4349
5965 한국이 인류의 희망이다 1 김동렬 2022-08-03 4248
5964 힘을 이해하자 김동렬 2022-08-03 3480
5963 진중권 김종인 안철수 심상정 이준석 오적 김동렬 2022-08-03 3834
5962 제대로 하자. 대한민국 image 1 김동렬 2022-08-02 3977
5961 국뽕 걷어내고 한산의 실력은? 김동렬 2022-08-01 3970
5960 구조론에 중독되기 김동렬 2022-08-01 3862
5959 이기는 방법 김동렬 2022-07-31 3577
5958 계급배반 투표? 지식배반 종교는? image 김동렬 2022-07-31 3724
5957 국민이 잘못했다 1 김동렬 2022-07-30 3594
5956 이기는 힘 김동렬 2022-07-29 4149
5955 윤석열이 까이는 이유 김동렬 2022-07-27 4278
5954 구조와 권력 김동렬 2022-07-27 3170
5953 윤석열 폭탄이 터졌다 1 김동렬 2022-07-26 4559
5952 인류 최고의 아이디어는 무엇인가? 김동렬 2022-07-26 3707
5951 이상은 이상하다 김동렬 2022-07-25 4170
5950 돈 키호테의 의미 김동렬 2022-07-25 3800
5949 한국의 미래는 영국인가, 중국인가? 1 김동렬 2022-07-25 3378
5948 온난화의 위기와 고통의 방정식 김동렬 2022-07-24 3458
5947 이해하기와 창의하기 1 김동렬 2022-07-24 31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