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1]chow
read 1489 vote 0 2022.06.18 (03:13:55)

아킬레스와 거북이의 순환논증오류는 2차원에서의 모순이다. 이는 창과 방패의 모순과 같다. 창과 방패 중 누가 이기느냐는 그 자체로만 보면 절대로 결론이 나질 않는다. 이걸 해결하려면 숨겨진 전제를 찾아야 한다. 없으면 만든다. 숨겨진 전제는 우리가 흔히 규칙이라고 부르는 놈이다. 나의 무기가 이기느냐는 지공이냐 속공이냐 단기전이냐 장기전이냐에 따라서 달라진다. 답이 안 나오는 문제는 차원을 높이면 된다.


이는 이전에 내가 지적한 구구단의 이상함과 맥락을 같이 한다. "2 x 1 = 2" 가 이상하다고 했던 것 말이다. 대수식에 단위를 붙여 일종의 기하식으로 바꾸면 이게 이해가 된다고 했다. "2(m) x 1(m) = 2(m^2)" 라면 마음이 편안해진다. 물론 우리는 일상에서 곱셈을 차원을 높이는 도구가 아니라 덧셈을 간결하게 압축하는 도구로 사용을 한다. 그건 꼼수이므로 논외다. 곱셈의 본질은 그런 게 아니다.


아마도 피타고라스 정리도 이런 식의 차원 변환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설명이 안 되는 것은 냅다 차원을 넣으면 설명이 된다. 대다수 사람들이 미적분에서 접선의 기울기를 그릴 때 흔히 빼먹는 것이 있다. 바로 축의 기호다. 라이프니츠는 미분의 의미에 대해 접선의 기울기로 표현했다고 하는데, 라이프니츠가 빼먹은 건지, 후대가 못 본 건지는 몰라도 그래프에서 빠진 것이 "달라진" 축의 기호다. 다음은 보통 사람들이 접선을 설명하는 그림이다.


263E0B3958FBFCBB2A.png


이 그림은 문제가 있다. 무슨 말이냐, 세로축이 y라고만 표기되어 있는데, 이건 녹색 곡선에 대한 축의 기호이다. 그러면 빨간 접선은? 미분하여 구한 접선의 그래프는 축이 달라져야 한다. 즉 빨간 선의 축의 기호는 y'이 되어야 한다. 우리는 축의 기호를 바꾸지 않고 두 차원에 걸친 그래프를 대강 그리지만, 실제로는 두 차원을 겹쳐서 그리는 것은 문제가 있다.


343434.png


이제 좀 마음이 편안해진다. (물론 세로축의 기호가 잘못됐다고 하거나, 가로축의 기호가 잘못됐다고 말할 수 있다) 이 그림을 보고 알 수 있는 것은 우리가 높은 차원, 즉 f(x)에 대한 그래프의 그림자가 f'(x)의 그래프라는 것이다. 이렇게 차원이 낮아지는 것을 동시에 그린다는 것을 보여주면, 우리는 이제야 "순간변화율"이라는 말을 받아들일 수 있게 된다. 순간과 변화가 중첩된 지점이 저기에 있는 게 눈에 잘 보이기 시작하는 것이다. 


참고로 직선은 하나다. 직선 위의 모든 점은 비율이 같기 때문이다. 반면 곡선은 둘이다. 곡선 위의 모든 점은 비율이 다르기 때문이다. 사실이지 그냥 접선이라는 표현은 이상한 것이다. 접해서 뭐 어쩌라고. 대신 둘이면서 동시에 하나인 것을 표현했다, 즉 중첩했다고 해야 바르다. 접선이나 접점이 아니라 중첩점이다. 



Drop here!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3537
1970 툰서방의 구조론 image 1 양을 쫓는 모험 2010-03-02 5344
1969 역시 보는 눈이 다르다- '자격증' 제도에 대한 칼 로저스의 언급을 중심으로 3 오세 2010-03-05 5516
1968 나랏말이.. 1 아제 2010-03-06 4867
1967 모순과 역설. 5 아제 2010-03-08 13512
1966 돈과 시간의 방정식 image 4 양을 쫓는 모험 2010-03-12 9519
1965 럭셔리 골드미스 청담녀 image 12 양을 쫓는 모험 2010-03-17 7791
1964 토요일 구조론 토론모임에 초청합니다. image 2 김동렬 2010-03-18 5812
1963 존재의 이유 image 13 양을 쫓는 모험 2010-03-18 6696
1962 구조론연구소 홍보동영상 12 기준님하 2010-03-22 6558
1961 스마스마에 출연한 고르바초프 image 양을 쫓는 모험 2010-03-23 7415
1960 사진 구조론 image 8 양을 쫓는 모험 2010-03-25 8819
1959 스타크래프트의 구조론적 해석 image 3 양을 쫓는 모험 2010-04-01 7065
1958 한국의 커뮤니티 눈내리는 마을 2010-04-04 6771
1957 전쟁의 기술. 3 오세 2010-04-13 4659
1956 상담자들에게 고함. 3 오세 2010-04-14 4681
1955 진실이 밝혀지는 원리를 묻습니다. 9 양을 쫓는 모험 2010-04-18 5547
1954 거짓과 진실의 작동원리 image 4 양을 쫓는 모험 2010-04-21 9078
1953 선거의 구조 ░담 2010-04-22 6393
1952 야심만만한 설정 ░담 2010-04-28 5890
1951 SK, 한국 프로야구의 최대한 image 6 양을 쫓는 모험 2010-04-29 5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