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0]dksnow
read 1970 vote 0 2022.03.14 (23:49:57)

1) 우선 서울대 법대 검사출신...+ 2) 알콜중독자 고시낭인 장모 와이프 문제 비정상적 자산형성.


1)으로 우선 바지사장의 기강을 잡고, 다이묘들이 군기를 잡을 근거를 마련해준다. 서울 법대 나왔어? 검사한테 개겨?

2)으로 바지사장의 약점을 잡고, 다이묘들이 다 해먹을 수있는 근거를 잡는다. 어차피, 한남동에서 술이나 퍼먹고 자고 있을텐데.


------


나이가 들면서, 비꼬는건 영 어색하다. 10-20대가 비꼬고 야유해야 멋지기라도 하지. 40 넘어서는 한 말에 책임을 져야한다. 가케무샤라고 비꼴 생각없고, 우리나라 좌파들이 가케무샤식 일본 다이묘 공장법에 졌다는 사실이 중요하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49113#home

유승민 밑에 있는 서울대 경제학과 기재부라인들은 다이묘라인에 붙었다는것. 


미국도 부시시절 (아버지 부시처럼 엘리트위주), 경제 망친걸, 오바마가 개혁을 했고, 그 반동으로 트럼프가 저질 인종주의를 가져와서 당선, 다시 돌아와 바이든. 결국엔 실력과 정치 경륜이 있는 민주당 우파 바이든쪽으로 돌아간것.


하도 일베들이 분탕질을 쳐놔서 그렇지. 김대중대통령때까지는 엘리트주의 60-70년대부터 반독재 투쟁을 했고, 당시만 해도, 영호남할것 없이 엘리트들끼리는 통하는게 있었던것. 80년대 방미했을당시 재미 엘리트들을 장관에 기용을 했고, 이공계쪽에서도 엘리트들과 통하는 부분이 있으니 전길남 교수 같은 사람들 의견을 듣고 인터넷 정책이 성공을 한것. 결국엔 인터넷망공사였고, 케이블이 한국에 빨리 자리 잡은것. 근데 그걸 뚫고 종편이 나온게 문제지만...그건 결과론.


김대중대통령때 장관을 했던 노무현 대통령은 그 엘리트주의를 알고 있었고, 진대제 등용 (삼성), FTA, 이라크파병 같은 굵직한 결정들을 세종수도 이전등과 함께 헤쳐나간것. 그러다 명박근혜로 이어지면서, 촛불정국에 극좌파들 도움을 받은건 사실인데, 거기서, 너무 좌파에 끌려간게 문제의 화근. 


삼성-현기차 전략기획실, KDI 수뇌부라인, KAIST/UNIST/GIST 전기/물리학과 고참 연구진들, 미래에셋/동부DB 투자자 라인, CAFE24등 정문술라인의 젊은 사업자라인. 등과 교류하고, 실물경제를 알고, 가치투자 의사결정을 지속적으로 해나가야함.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3255
469 민족은 환상이다 image 1 김동렬 2015-07-30 5093
468 구조론과 반구조론 image 2 김동렬 2015-03-30 5097
467 구조의 피라미드. 2 아제 2010-02-10 5099
466 질문 - 빵이 하나 있다면? 19 김동렬 2013-06-26 5108
465 누드시대의 석가 image 4 김동렬 2014-05-20 5114
464 인간 언어의 원리 1 김동렬 2013-09-26 5119
463 나는 가수다 - 경쟁은 상생을 위한 보조수단 이라는 것이 '원칙' 이다. image 3 아란도 2011-03-28 5123
462 신자유주의를 극복하는 방법 3 기준님하 2009-07-24 5124
461 IT혁명의 미래 2 르페 2009-03-18 5127
460 섬으로의 고립을 드러내라 눈내리는 마을 2009-03-12 5135
459 김혜연의 트로트 '뱀이다' 이대로 괜찮은가? 3 수피아 2021-06-15 5137
458 관점의 근육 9 냥모 2014-09-09 5138
457 [re] 말이 참 많다 1 필부 2008-08-25 5141
456 한국은 세계 5대강국이다. image 4 김동렬 2015-04-15 5149
455 제프 베조스의 빅 아이디어 image 4 김동렬 2018-07-25 5151
454 어디서 본 역겨운 글 image 2 김동렬 2013-08-19 5153
453 인간의 짝. 1 아제 2010-05-27 5157
452 구조론이 생각하는 '조직관리'가 듣고 싶습니다 3 눈내리는 마을 2009-06-11 5159
451 [특별기획] 김동렬 인터뷰 01 8 냥모 2013-11-29 5167
450 서로 다른 관점을 이용하는 방법 1 기준님하 2009-07-25 5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