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422 vote 0 2022.02.23 (19:14:59)

    도무지 어디서부터 이야기를 풀어갈 것인가? 자연은 낳는다. 생명은 탄생으로부터 시작된다. 무생물 역시 탄생으로부터 시작된다. 산불이 일어나거나 태풍이 발생하거나 화산이 폭발하거나 그것은 일정한 조건에서 갑자기 탄생한다. 기독교의 창세기를 떠올려도 좋다. 태초에 탄생이 있었다. 그리고 복제된다.


    과학은 원자로부터 이야기를 시작한다. 원자 개념은 수학의 아이디어를 차용한 것이다. 숫자는 1에서 시작한다. 자연수 1은 쪼갤 수 없는 가장 작은 크기의 숫자다. 원자의 성질과 같다. 숫자는 둘을 비교하는 것이다. 1은 비교기준이다. 1의 탄생에 대해서는 논하지 않는다. 수학은 탄생 이후에 적용되는 논리다. 원자론은 얼버무린 말이다.


    구조론은 복제한다. 복제하게 하는 것은 완전성이다. 불완전한 것은 복제하지 못한다. 태초에 완전성이 있었다. 우리가 눈으로 보는 것은 정보다. 정보를 낳는 것은 변화다. 변화를 낳는 것은 의사결정이다. 의사결정을 낳는 것은 대칭의 코어다. 대칭의 코어를 낳는 것은 장이다. 장은 연결이다. 만유는 연결에서 시작되고 단절에서 종결된다.


    구조론은 만유의 연결을 질, 코어를 입자, 의사결정을 힘, 변화를 운동, 정보를 량이라고 부른다. 질, 입자, 힘, 운동, 량이 합쳐져서 원자를 대체한다. 이것은 모든 복제와 탄생에 공통되는 규칙이다. 아기의 탄생은 엄마와 아빠의 연결로 시작된다. 전구는 플러스 극과 마이너스 극의 연결로 켜진다. 범종과 당목이 마주쳐야 소리가 난다.


    연결 없이 탄생 없다. 자연계의 모든 변화는 하나의 균형에서 또다른 균형으로 옮겨가는 것이다. 그것은 어떤 둘의 연결로 가능하다. 연결의 조건이 밸런스다. 우주 안의 모든 것은 에너지의 방향전환에 따른 연결과 단절로 설명할 수 있다. 모든 생각은 이 하나의 모형을 복제하는 것이다. 그냥 생각하는게 아니다. 감각적으로 이 구조에 대입하여 풀어내는 것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6445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6362
552 민족과 인종 김동렬 2022-10-15 2434
551 이명박이 웃는다 김동렬 2022-07-04 2434
550 힘의 마술 김동렬 2023-09-13 2433
549 비트코인이 뜨는 이유 김동렬 2023-01-31 2432
548 안다는 것은 무엇인가? 김동렬 2022-05-30 2432
547 전쟁은 끝났다 김동렬 2022-05-01 2430
546 에너지의 이해 김동렬 2021-12-15 2430
545 계 체 각 선 점 2 김동렬 2020-04-23 2429
544 아프리카의 주술사들 김동렬 2022-12-22 2424
» 첫 단추를 꿰는 문제 김동렬 2022-02-23 2422
542 열린주의가 필요하다 김동렬 2022-03-26 2420
541 마동석 액션 1 김동렬 2022-07-04 2418
540 지식 김동렬 2022-10-11 2415
539 여성혐오 김은혜 2 김동렬 2022-05-05 2415
538 평등과 다양 김동렬 2022-11-09 2414
537 공룡의 의미 image 김동렬 2023-03-21 2413
536 21세기 천동설 김동렬 2023-10-02 2412
535 변화의 세계관 김동렬 2022-12-27 2411
534 뒤집어 생각하기 김동렬 2022-12-23 2411
533 깨달음 김동렬 2023-10-22 2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