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393 vote 0 2022.02.20 (17:26:34)

74735116453414530.jpg

      
      

    사회적 기표가 있고 기의가 있다. 상당 부분 무의식의 영역이다. 문제는 본인이 자각하지 못한다는 거. 고양이가 박스를 좋아하는 데는 이유가 있다. 고양이만 좋아할까? 호랑이도 좋아한다. 고양이과 동물은 다 그렇다. 사람들도 좋아한다. 꼬맹이가 벽장에 숨는 이유다. 


    꼬맹이들은 방에 작은 텐트를 쳐놓고 숨어 있기 좋아한다. 영화 식스 센스에 나오지만. 기생충에도 나오네. 어린이는 닌자복장을 하거나 복면을 쓰고 망토를 입기 좋아한다. 문제는 중학생이 되어도 그런 초딩짓을 한다는 거다. 심지어 고등학생인데도 그러는 자가 있다. 


    성장을 거부하는 양철북 소년. 영원히 미성숙한 꼬맹이로 머무르려는 심리. 스무 살이 되어도 그런 짓을 하는 이준석이 널려 있다. 서른 살에도 그런다면 정신과 상담을 권해야 한다. 유아기로의 퇴행행동이다. 그 반대현상도 있다. 마지 심슨은 머리에 에펠탑을 쌓는다.


    박근혜가 육영수 머리를 흉내 내는 것이 그렇다. 본질은 같다. 얼굴을 감추거나 아니면 반대로 머리에 탑을 쌓거나. 복종을 나타내는 기표와 권위를 나타내는 기표다. 젊은 여성이 생머리를 길게 내리는 것은 순종을 뜻하는 무의식적인 기표다. 결혼하면 머리를 올린다.


    남자가 상투를 틀고 갓을 쓰는 이유도 같다. 권력의 표지다. 서구인은 가발을 써서 머리를 부풀렸다. 영국 법관들은 아직도 그러더만. 어느 쪽이든 동물적 퇴행행동이다. 미국 흑인들은 바지를 엉덩이 밑으로 내려 입고, 일본 게이샤는 치아를 새까맣게 염색하고 그런다.


    본인들은 그게 멋있다고 그러겠지만 미개한 행동이다. 후드티를 입고 얼굴을 감추려는 행동도 마찬가지다. 자신을 약자로 규정하는 비겁한 마음과 반대로 어른들에게 대들고 저항하려는 마음을 동시에 반영한다. 저커버그는 꼬맹이들에게 아부해서 돈 벌려고 그러지만. 


    60년대의 청바지에 통기타에 장발이 하나의 사회적인 기표이듯이. 맨발에 마리화나에 LSD에 프리섹스로 가벼렷. 퇴행행동이다. 나는 진작부터 이 문제를 지적했는데 사람들이 믿지 않더라. 내 눈에는 보이는데 사람들 눈에는 안 보이는가? 거북하지 않나? 역겹지 않나? 


    진중권 호섭이 머리에 어제 먹은 밥이 올라오지 않나? 정신연령이 몇 개냐? 내가 복장 가지고 지적질은 안 하지만 집단행동이라면 역겹지. 전교생이 똑같은 검은색 패딩 점퍼를 입고 근육맨을 동경하는 마음을 들켜버려. 전 국민이 똑같은 등산복 입고 해외여행 가버렷. 


    부끄러운 줄 알아야지. 북한 사람은 김정은의 똥배가 부끄럽지 않은지 모르지만 나는 김정은에게 진지하게 중국 귀화를 권하고 있다네. 남이든 북이든 코리안이 그런 모습을 보이면 곤란하지. 중학생까지 파란색 볼펜을 쓰다가 고등학생 때는 검은색 볼펜으로 바꿨다. 왜? 


    초딩 남자애가 파란색을 좋아하거나 여자애가 핑크색을 좋아하는 것은 본능이다. 그런데 호르몬이 바뀐다. 고등학생이 되어도 파란색에 집착한다면 문제가 있다. 어느 순간 파란색이 부담스럽게 느껴진다. 검은색이 담백하다. 돈 많은 부자들이 검은색 차를 타는 이유다. 


    왜 수탉은 볏을 세우고 사람 남자는 수염을 기를까? 유전자에 새겨진 무의식이 다. 보호색으로 자신을 감추려고 하거나 반대로 자신을 과시하여 드러내려고 한다. 미성년 여성의 핑크색은 무리가 이동할 때 잊혀져서 혼자 낙오될지 모른다는 강박이 반영되어 있는 거다. 


    적이 쳐들어오면 얼른 숨어야 한다는 강박 때문에 앞이마를 감춘다. 닌자복장 하고 복면놀이 한다. 숨바꼭질을 좋아하는 이유다. 친구집을 방문한다고 치자. 그 집의 가구 배치만 봐도 주인의 수준을 안다. 집을 지어도 지붕이 삐쭉삐쭉하면 안 된다. 따지자면 한이 없고.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6147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6008
6892 구조론 동영상 1 김동렬 2010-03-22 197162
6891 LK99 과학 사기단 image 김동렬 2023-08-07 71684
6890 진보와 보수 2 김동렬 2013-07-18 58781
6889 진화에서 진보로 3 김동렬 2013-12-03 58669
6888 '돈오'와 구조론 image 2 김동렬 2013-01-17 56629
6887 소통의 이유 image 4 김동렬 2012-01-19 56039
6886 신은 쿨한 스타일이다 image 13 김동렬 2013-08-15 55602
6885 관계를 창의하라 image 1 김동렬 2012-10-29 49245
6884 답 - 이태리가구와 북유럽가구 image 8 김동렬 2013-01-04 46101
6883 독자 제위께 - 사람이 다르다. image 17 김동렬 2012-03-28 45331
6882 청포도가 길쭉한 이유 image 3 김동렬 2012-02-21 42772
6881 인간은 무엇으로 사는가? image 3 김동렬 2012-11-27 42630
6880 구조론교과서를 펴내며 image 3 김동렬 2017-01-08 42496
6879 아줌마패션의 문제 image 12 김동렬 2009-06-10 42369
6878 포지션의 겹침 image 김동렬 2011-07-08 41806
6877 정의와 평등 image 김동렬 2013-08-22 41414
6876 비대칭의 제어 김동렬 2013-07-17 39449
6875 구조론의 이해 image 6 김동렬 2012-05-03 39439
6874 비판적 긍정주의 image 6 김동렬 2013-05-16 38562
6873 세상은 철학과 비철학의 투쟁이다. 7 김동렬 2014-03-18 380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