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768 vote 0 2022.02.11 (18:48:40)

20220211_162134.jpg


오후 4시의 서해.. 거리에 따라서 물빛의 색깔이 다르게 보인다. 그냥 그렇구나 할 것이 아니라 왜 그런지 낱낱이 설명되어야 한다. 적외선이 물 속을 뚫고 들어가기 때문에 색깔이 붉어진다고 볼 수 있다. 지구가 평평하면 볼 수 없는 색깔이다. 


202202112134.jpg


사진에는 작게 보이지만 육안으로는 시야를 꽉 채우는 거대한 역삼각형으로 보인다. 지구가 둥근 것이 색깔의 차이로 분명하게 보인다. 수평선은 진하게 보인다. 미술시간에 원기둥이라도 그려본 사람은 더 잘 알 것이다. 


12345678.jpg


수평선 가까이는 흰색으로 보이고 그 뒤에는 다시 짙은 색으로 바뀐 수평선이 보인다. 희게 보이는 부분은 오후 3시에 수면이 비치는 태양의 각도 때문이다. 그 부분만 태양의 각도가 다르다는 것이 지구가 둥글다는 증거다. 


123456678.jpg


더 선명하게 포샵을 가하면 갯벌 뒤로 푸른 바다가 있고 그 뒤로 태양이 수면에 비쳐 흰 띠가 나타나며 더 멀리는 수평선이 진하게 보인다. 특정한 각도에서 태양이 반사되는 이유는 역시 지구가 둥글기 때문이다. 이런 것은 어린이라도 한번쯤 의문을 품어볼만한 것이다. 


sea-1719949_960_720.jpg


웹에서 검색으로 구한 바다사진.. 바다사진은 공통적으로 수평선 근처에서 희미해지다가 짙어진다. 특정 각도에서 색이 연해지는 것은 원기둥을 그릴 때와 같다. 파장이 긴 붉은색은 바다밑바닥까지 들어가고 파장이 짧은 푸른색만 물 밖으로 튀어나오기 때문에 바다가 푸르게 보인다. 먼 바다의 희미한 색은 특정각도에서는 빛이 수면에서 그대로 반사되기 때문이다. 지구가 둥글기 때문에 그런 각도차이가 있는 것이다. 수평선에서 다시 진해지는 이유는 역시 빛이 물 속으로 들어갔다가 나오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realistic-metal-tin-can-smooth-silver-surface-isolated-white-background-metallic-food-preserve-container-packaging-162703806.jpg


원기둥을 눕혀놓고 보면 바다와 같다. 수평선은 진하고 그 앞은 밝으며 가까이는 다시 어두워진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7787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updateimage 7 김동렬 2024-06-12 947
6059 영남 사람들이 어차피 맞딱뜨릴 고민 skynomad 2002-10-16 15613
6058 노/정은 과감한 개헌공약으로 정면돌파하라! image 김동렬 2002-11-18 15612
6057 등신외교 운운하는 등신들의 수사학 image 스피릿 2003-06-09 15611
6056 헉 초등학생 5명이 또 (펌) 김동렬 2003-06-21 15608
6055 강금실의 재클린패션 image 김동렬 2004-03-26 15606
6054 서북에서 부는 바람 2 김동렬 2009-09-22 15605
6053 우주의 호흡 image 1 김동렬 2011-07-27 15601
6052 밀도있는 만남을 위한 조언 2005-08-18 15601
6051 노무현은 이제 정치를 해야한다. image 김동렬 2003-06-20 15593
6050 변혁의 구조 김동렬 2006-05-24 15592
6049 송골매 image 김동렬 2003-05-21 15589
6048 인간의 본성 6 김동렬 2009-05-27 15588
6047 ㅎㅎㅎ 忠 or 孝? 선의 or 사익? 2002-10-30 15588
6046 전여옥 때문에 김동렬 2007-08-29 15585
6045 눈팅들이 국참연을 접수해야 한다 김동렬 2005-03-24 15584
6044 역사는 반복된다. 반복되지 않는다. 김동렬 2003-05-23 15581
6043 약간의 손질은 이렇게 하라 image 김동렬 2003-04-03 15581
6042 농민대회에서 조우한 두 후보 image 김동렬 2002-11-01 15579
6041 인간이라는 존재에 대한 환멸 김동렬 2006-08-07 15574
6040 장면정권의 실패와 노무현정권의 도전 김동렬 2003-06-02 155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