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4688 vote 0 2009.02.02 (21:30:21)

12.GIF

이 세상의 그 어떤 정밀한 기계장치라도 단지 다섯개의 저울로 이루어져 있을 뿐이다. 다섯 개의 저울은 각각 입력, 저장, 제어, 연산, 출력을 구성한다. 각각의 저울은 움직이지 않는 심 1과 움직이는 날 2로 되어 있다.

가장 복잡한 기계라면 3만개의 부품이 집적되어 만들어지는 자동차를 떠올릴 수 있다. 그러나 원리는 간단하다. 위험한 개솔린을 통제하는 방법이 복잡할 뿐 메커니즘은 지극히 단순하다.

가장 단순한 자동차는 물로 가는 자동차다. 수력자동차를 떠올릴 수 있다. 곰곰이 생각해보면 물시계가 곧 물로 가는 자동차임을 알 수 있다. 단지 바퀴가 지면에 닿는가 시계의 숫자판에 닿는가의 차이 뿐이다.

물시계나 태엽시계나 원리는 같다. 시계는 다섯개의 저울로 되어 있다. 하나의 저울은 움직이지 않는 심 1과 움직이는 날 2로 되어 있다. 물론 심도 움직인다. 그러나 날에 대한 상대적인 관계는 움직이지 않는다.

바퀴축이 고정되므로 바퀴가 회전하듯이 천칭저울의 두 날이 움직이므로 축은 움직이지 않는다. 그러나 진정한 축은 지구중력이다. 중력이 움직여서 축도 움직인다. 심이 움직여 날의 오류를 수정하는 것이 저울이다.

시계는 몸통이 움직이지 않으므로 태엽을 감을 수 있다. 몸통이 하나의 심이면 태엽은 두 날이다. 곧 저울이 된다. 태엽의 한쪽 날은 사람의 손가락과 접촉한다. 손가락에 지문이 있으므로 태엽에도 깔쭈기가 있다.

태엽의 반대편 날은 스프링을 감는다. 이로서 하나의 저울이 성립하며 같은 패턴이 스프링의 저장, 걸쇠의 제어, 기어의 연산, 시계바늘의 출력으로 5회 반복된다. 역시 움직이지 않는 1과 움직이는 2로 구성된다.

스프링은 움직이지 않지만 추를 움직이게 한다. 추는 하나이지만 좌우로 왕복운동을 하므로 두 날이 되니 심 1과 날 2가 성립한다. 몸통과 태엽이 입력장치라면, 스프링과 추는 저장장치다.

스프링은 태엽이 보낸 정보를 저장하고 추는 그 정보를 꺼낸다. 그리고 제어장치의 걸쇠와 바퀴가 속도를 제어하고, 연산장치의 기어가 전달하며, 출력장치의 바늘이 숫자판에 출력한다.

http://gujoron.com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2037 고수 이재명 하수 윤석열 김동렬 2022-01-08 3633
2036 코페르니쿠스적 전환 김동렬 2021-10-03 3633
2035 전율하라 김동렬 2023-07-09 3632
2034 어디까지 알아보고 오셨어요? 1 김동렬 2019-09-03 3632
2033 인간과 권력 김동렬 2023-05-19 3630
2032 러시아의 죽음 김동렬 2022-03-16 3629
2031 윤석열의 진정성 김동렬 2021-11-10 3629
2030 감각의 날을 세워보자 4 김동렬 2018-12-28 3628
2029 어리광 공화국의 비극 김동렬 2021-06-29 3627
2028 실패한 서구문명 김동렬 2020-11-11 3627
2027 이기는 원리 2 김동렬 2023-05-21 3624
2026 석가는 왜 왔니 왜 왔니? image 4 김동렬 2021-05-19 3624
2025 세종과 노무현의 싸움 김동렬 2020-10-09 3623
2024 운동은 운동하지 않는다 7 김동렬 2019-09-16 3623
2023 한없이 무한에 가까운 존나게 1 김동렬 2019-08-28 3623
2022 위하여는 배척된다 17 김동렬 2019-05-11 3623
2021 마음이 좋더라 2 김동렬 2019-03-05 3623
2020 정의가 아니라 균형이다. 1 김동렬 2018-10-21 3623
2019 수평권력과 수직권력 1 김동렬 2020-10-14 3622
2018 공자의 길로 가라 김동렬 2021-06-13 3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