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514 vote 0 2022.01.03 (15:43:01)

    https://news.v.daum.net/v/20220103141052503


    기레기들은 도무지 반성을 안 한다. 그렇게 깨지고도 모르겠는가? 김대중 죽이기, 노무현 죽이기에 이어 이명박근혜 찬양, 반기문 한눈팔이, 안철수 줄서기 등등 얼마나 많은 삽질을 했는가? 미디어오늘이 그나마 조중동과는 차별화를 하고 있지만 후보 개인탓을 하는 것은 변한게 없다.


    지식은 시스템을 탓하는 거지 사람탓을 하는게 아니란다. 글자 배운 사람은 달라야 한다. 진실을 말하자. 연말에 윤석열 지지율이 올라간 이유는?


    1) 문재인 정부의 코로나 진압 실패
    2)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세력 진압 실패
    3) 문재인 정부의 임기말 레임덕 효과
    4) 아베의 위안부 농간에 받은 스트레스
    5) 문재인의 2030을 위한 정책의 역풍


    전부 문재인과 관계된 것이다. 이재명은? 안중에 없다. 문재인에 대한 복수 분위기가 작년 연말까지 이어진 것이다. 이는 유권자들이 이듬해의 대선에 집중하지 않고 딴전을 피웠기 때문이다. 기레기 농간이 먹힌 거지 민의가 반영된 것이 아니다. 연초에 이재명 지지율이 올라간 이유는?


    1) 코로나 진압 성공
    2) 부동산 상승세 꺾임
    3) 문재인에서 이재명 후보로의 관심 이동
    4) 아베 가고 기시다가 기고 있음
    5) 문재인의 2030 정책 역풍의 역풍.. 이중의 역설


    이재명 지지율이 올라간 이유는 악재가 거의 반영되었고 후보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결정적으로 2030의 츤데레 시즌이 끝났기 때문이다. 미운 자식 떡 하나 더 준다고 국힘당에 떡을 멕이다가 다시 민주당으로 돌아온 것이다. 최저임금에 근로시간까지 2030 챙겨주는 당은 민주당뿐이다.


    국힘당에 눈길을 준 것은 더 많이 뜯어내기 위한 츤데레였다. 군복무긴간 단축에 병사월급까지 전부 민주당이 챙겨준다. 문제는 권력이다. 인간은 현찰보다 권력을 원한다. 상대방을 핸들링 하는 지렛대를 원한다. 뭔가 요구할 때는 지렛대가 있는데 상대방이 요구를 받아들이면 허탈해진다.


    지렛대가 사라졌기 때문이다. 엄마에게 용돈인상을 요구한다. 엄마는 성적을 올리면 용돈을 올려주겠다고 한다. 성적이 올라서 용돈을 올려주면? 이번에는 뭘 요구하지? 일단 짜증을 내고 심통을 부리면서 뭔가 딜을 칠만한 것이 있는지 찾아본다. 그게 인간심리다. 2030이 딜할 건수를 찾고 있었던 거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6595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6547
5332 진리는 연결이다 3 김동렬 2021-09-18 3504
5331 보수꼴통의 유기견 행동 1 김동렬 2020-06-23 3508
5330 윤석열의 무당정치 김동렬 2021-10-06 3509
5329 우주의 근원을 이해하라 2 김동렬 2019-09-18 3510
5328 구조론 한마디 1 김동렬 2021-08-22 3513
5327 인간이라는 존재의 가벼움 1 김동렬 2020-10-08 3515
» 이재명 지지율이 오른 이유 김동렬 2022-01-03 3514
5325 일원론이 핵심이다 3 김동렬 2020-07-07 3516
5324 예수의 본질 김동렬 2022-10-06 3516
5323 복지의 적은 부족주의 관습이다 4 김동렬 2020-06-16 3517
5322 교육이냐 반교육이냐 1 김동렬 2020-05-15 3518
5321 유튜브 구조론 1회 24년 1월 7일 김동렬 2024-01-07 3519
5320 참 나쁜 생태주의 5 김동렬 2020-07-28 3520
5319 정의당과 TK의 심술, 쉬운 녀석 류호정 image 3 김동렬 2020-11-19 3522
5318 큰 것이 먼저다 3 김동렬 2021-02-22 3522
5317 세어보기 김동렬 2021-12-20 3522
5316 명상수행 필요없다 1 김동렬 2020-11-17 3523
5315 이제는 다윈을 넘어설 때 1 김동렬 2019-10-30 3524
5314 문명의 기원 2 김동렬 2020-08-21 3524
5313 구조론 한 마디 2 김동렬 2018-11-04 3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