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903 vote 0 2021.12.03 (12:27:25)

    존재는 사물과 사건으로 이루어져 있다. 사물이 한자리에 모이면 사건이 일어난다. 개와 원숭이가 만나면 싸움이 일어난다. 원수가 외나무다리에서 만나면 사건이 벌어진다. 틀렸다. 실제로는 우주 안에 사건이 존재할 뿐이다. 사물은 주체가 객체를 지목하여 가리킨 것이다. 사물은 존재의 모습이 아니라 인간끼리의 약속이다. 인간의 언어적 편의다.


    물은 사물이다. 물의 흐름은 사건이다. 그런데 물도 소립자 단위로 쪼개면 결국 사건이다. 사건은 변하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복잡한 퍼즐 맞추기가 필요하다. 사물은 같은 사건이 제자리에서 반복되므로 해석할 필요가 없다. 우주 안의 모든 것은 사건이며 그중에서 해석과정을 생략해도 되는 것이 사물이다. 사건은 자연의 실재이고 사물은 단축키 같은 것이다.


    바둑이라면 바둑알과 대국이 있다. 바둑알은 보인다. 대국은 보이지 않는다. 대국은 바둑알의 이동을 보고 해석해야 한다. 컴퓨터라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다. 하드웨어는 보인다. 소프트웨어는 보이지 않는다. 생물이라면 세포와 생명이다. 세포는 보인다. 생명은 보이지 않는다. 세상은 사물과 사건으로 이루어진다. 사물은 그냥 보이고 사건은 해석해야 보인다.


    바람이 불고 물이 흐르고 과일이 익어가는 것은 인간이 해석한 것이다. 퍼즐을 맞춘 것이다. 풋사과와 익은 사과는 다른 사과인데 연결하여 같은 사과로 결론을 내린 것이다. 구조론은 사건을 해석하는 도구다. 퍼즐을 쉽게 맞춘다.


    인류는 1만 년 동안 사물을 보는 관점으로 지식을 쌓아왔지만 한계에 봉착했다. 해석을 생략하는 사물의 관점으로는 더 이상 진도를 나갈 수 없다. 사건의 해석은 복잡한 퍼즐 맞추기가 필요하므로 골치 아파서 외면한 것이다. 


    공간과 시간은 자연에 없다. 그런데 있는 걸로 친다. 이는 사건을 사물화 한 것이다. 그게 더 쉽기 때문이다. 퍼즐 맞추기가 귀찮아서 꼼수를 쓴 것이다. 그런데 도구를 쓰면 어떨까? 도구가 대신 해석해주면 어떨까? 인간은 핸들만 쥐고 있으면 된다. 어질러진 퍼즐 조각은 구조론이 맞추어준다. 그렇다면 꼼수를 버리고 정공법으로 승부해야 한다. 사물의 관점을 버리고 사건의 해석을 두려워하지 말아야 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7948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967
6878 구조의 빌드업 김동렬 2024-06-15 489
6877 세계관 김동렬 2024-06-08 665
6876 미래산업 정문술 명암 김동렬 2024-06-15 686
6875 원론 김동렬 2024-06-09 733
6874 무한사고 김동렬 2024-06-10 738
6873 지식의 원점 김동렬 2024-05-20 755
6872 정情과 한恨 그리고 정한情恨 2 김동렬 2024-06-13 764
6871 호암미술관 백제의 유혹 관음상 image 4 김동렬 2024-06-13 793
6870 신라금관의 비밀 2 image 3 김동렬 2024-06-13 843
6869 세계상 김동렬 2024-06-07 859
6868 자아란 무엇인가? 김동렬 2024-06-12 894
6867 신라 마립간은 무엇인가? 2 김동렬 2024-05-14 917
6866 코기토 논증 1 김동렬 2024-06-04 966
6865 지도로갈문왕 수수께끼 image 김동렬 2024-05-20 999
6864 인간의 입장 김동렬 2024-05-26 1025
6863 생각인간 김동렬 2024-04-13 1028
6862 프레임을 극복하라 김동렬 2024-05-10 1029
6861 프레임 정치의 야만성 김동렬 2024-05-30 1034
6860 인류의 차원 도약 김동렬 2024-05-03 10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