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843 vote 0 2021.11.18 (19:48:08)

    구조론은 사건을 해석하는 도구다. 인류의 지식획득 방법으로는 사건의 해석과 사물의 관찰이 있다. 형태가 있는 사물은 눈으로 관찰하면 되는데 형태가 없는 사건은 관측된 사실에 해석을 추가해야 한다. 문제는 방향의 충돌이다. 인간은 자연의 맞은 편에 서 있다. 거울의 상이 뒤집혀 보이듯이 거꾸로 보게 된다. 그러므로 우리는 관측으로 얻은 단편적인 사건의 조각들을 모아서 퍼즐을 맞추듯이 자연의 질서에 맞게 재구성해야 한다.


    우주 안의 모든 사건은 하나의 플랫폼을 공유한다. 그것은 닫힌계 안에 축과 대칭의 밸런스를 만들고 축을 이동시켜 하나의 밸런스에서 다른 밸런스로 갈아타는 방법으로 내부의 에너지적 모순을 처리하는 것이다. 사건은 질, 입자, 힘, 운동, 량의 5회에 걸쳐 닫힌계 내부에 대칭을 만들고 축을 움직여 의사결정한다. 사건의 해석은 자연의 의사결정구조를 복제하고 사물의 관찰로 얻은 단서를 플랫폼의 빈 칸에 채워넣는 방법을 써야 한다.


    구조론은 관측된 사실을 수학적으로 재구성한다. 그런데 방향이 다르다. 과학은 사물을 관찰하여 단서를 얻고, 수학은 단서를 조립하여 자연의 원래 모습과 일치시킨다. 관측자 중심으로 보면 거울처럼 뒤집어져 자연과 어긋나는 부분이 있으므로 구조론이 바로잡는다. 자연의 변화를 되짚어 근원으로 다가서는 것이 수학이라면, 자연이 스스로 자신을 펼쳐내는 것은 구조론이다. 자연이 먼저 있고 인간이 목격한다. 구조론이 수학에 앞선다.


    사건이 존재의 본래모습이며 인간은 사건의 통짜덩어리 모습을 직접 볼 수 없고 추론을 거쳐야 한다. 사물의 관찰로 얻은 지식은 추론의 단서가 되는 부스러기들이다. 사건을 해석하려면 퍼즐을 맞추듯이 단서들을 조립하여 자연과 일치시켜야 하는데 그것이 수학이다. 거울에 비친 상은 다 맞는데 결정적으로 한 곳이 안 맞다. 자연의 존재와 인간의 인식은 거울처럼 반대편에서 마주보기 때문이다. 그 부분을 바로잡는 것이 구조론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1060 Re.. 신당 창당공약이 적절할듯 김동렬 2002-11-26 14980
1059 구조는 에너지의 질서다 1 김동렬 2010-02-04 14980
1058 정몽준은 아직도 컨닝하고 있나? 김동렬 2002-12-11 14984
1057 지금 미국이 하고 싶은 말은... 토키와 2002-12-11 14985
1056 유시민과 정혜신 2005-09-05 14989
1055 어떤 경우에도 네티즌은 김병현선수편 image 김동렬 2003-11-10 14991
1054 김근태호 암담하다 image 김동렬 2003-09-24 14994
1053 제 이름을 사칭하는 글 정리 바랍니다. 김동렬 2004-08-29 15002
1052 박근혜와 이명박의 천하대전 김동렬 2005-02-24 15003
1051 지적 암살정국 4 김동렬 2009-07-07 15003
1050 강금실은 돌아온다 image 김동렬 2004-07-28 15005
1049 동영상형 이론모형 2 김동렬 2010-07-06 15006
1048 황박은 죽어도 황란은 계속된다. 김동렬 2006-01-11 15008
1047 이어지는 학문의 역사 김동렬 2006-02-03 15009
1046 깨달음은 의사소통 수단이다 김동렬 2008-09-08 15011
1045 종교의 의미 image 6 김동렬 2010-09-09 15014
1044 가치의 창출과 실현 image 김동렬 2011-07-29 15019
1043 강준만과 진중권의 진흙탕 싸움에 대하여 김동렬 2003-05-24 15020
1042 인지혁명은 가능한가? 김동렬 2005-10-06 15021
1041 혹시 정몽준이 머리가 나쁜 게 아닐까요? 아이큐 2002-10-28 15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