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991 vote 0 2021.11.17 (11:43:04)

    손가락이 다섯인 이유는 균형과 그 변화 때문이다. 어떤 대상을 가리키려면 손가락 하나로 충분하다. 집게손가락의 역할이다. 물체를 잡으려면 둘이 필요하다. 엄지와 검지로 동전을 집을 수 있다. 잡은 채로 힘을 가하려면 손가락 셋이 필요하다. 엄지와 검지 중지 셋으로 드라이버를 돌릴 수 있다. 움직임에 대응하려면 손가락 넷이 필요하다. 엄지와 검지와 중지와 무명지까지 네 손가락을 사용하면 네 방향을 막아서 물고기도 잡을 수 있다. 미세한 조절을 하려면 새끼손가락까지 다섯이 필요하다.


    손가락 다섯이 각각 질, 입자, 힘, 운동, 량을 담당한다. 질은 결합하고, 입자는 독립하고, 힘은 교섭하고, 운동은 변화하고, 량은 침투한다. 질은 하나의 닫힌계를 형성하여 하나의 사건을 촉발하므로 손가락이 하나여야 하고, 입자는 독립하여 둘로 나눠지므로 손가락 두 개로 대응하고, 힘은 대칭과 축을 만들어야 하므로 셋이고, 운동은 축의 이동을 반영하여 넷이고, 량은 손가락 넷으로 천칭을 만든 상태에서 눈금의 위치를 조절하므로 다섯이 필요하다. 손가락 셋으로 축과 대칭을 갖추어 천칭저울을 만든 다음 한쪽에 추를 올리고 반대쪽에 물체를 올리므로 다섯이 된다.


    구조론은 A와 B가 서로 맞물려 돌아갈 때 양자를 통일하는 C의 변화다. A와 B가 천칭의 두 접시라면 A의 변화와 B의 변화는 접시에 올려지는 추와 물체다. C가 눈금이 된다. 우리가 손으로 물체를 만질 때 손가락을 천칭으로 만들어 저울이 물체를 계량하듯이 끊임없이 변화에 대응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손에 쥔 물체에 가해지는 힘이 변하면 손가락이 맞대응을 한다. 다섯 손가락 중에 하나만 부족해도 정밀한 동작이 힘들어진다. 로봇이 쉽게 달걀을 잡지 못하는 이유는 손이 저울이라는 사실을 모르고 엄지와 새끼손가락의 각도를 잘못 지정하기 때문이다.


    의자의 다리는 최소 셋이 되어야 한다. 거기에 지구의 중력과 물체의 질량이 더해져 다섯이다. 의자는 앉는 좌석과 다리 셋으로 넷이지만 지구가 밑에서 받치고 있으므로 다섯이다. 역시 천칭을 이루고 있다. 어떤 둘 사이에는 반드시 보이지 않는 셋이 있다. 남녀가 둘이 만나도 두 변에 자식과 부모와 동료가 있다. 그중에 하나라도 없으면 오래가지 못한다. 결손가정이라도 국가나 이웃이 그 빠진 역할을 대신해주기 때문에 사회가 돌아가는 것이다. 천칭의 구조를 갖추어야 의사결정이 가능해진다. 그냥 돌멩이라고 해도 무게중심이 있고 대칭이 있어야 구를 수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는 독립하지 못하고 다른 곳에 빌붙어 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0719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8723
1124 헌재의 '나 이쁘지' 김동렬 2004-05-16 14125
1123 조선, '헌재는 죽었다!' 김동렬 2004-05-16 13865
1122 소수의견은 공개가 옳다. 김동렬 2004-05-13 13919
1121 조광조가 그립다 김동렬 2004-05-11 13016
1120 천정배의원 대표당선 좋다 김동렬 2004-05-11 14406
1119 정동영 4개월 중간점검 image 김동렬 2004-05-10 13130
1118 김혁규는 아니다 김동렬 2004-05-09 15325
1117 실용주의는 처세술이다 김동렬 2004-05-09 14352
1116 정동영과 박근혜의 하수회담 김동렬 2004-05-09 13645
1115 우리당 위기 인식해야 한다 image 김동렬 2004-05-04 12189
1114 유시민, 천정배가 있었다 김동렬 2004-05-03 13494
1113 서둘러 잔치판을 벌이지 말라 김동렬 2004-05-01 13069
1112 정동영의장 참모를 잘못 골랐다 김동렬 2004-04-30 16369
1111 이념을 버리면 지역주의로 간다 김동렬 2004-04-30 12705
1110 조기숙님 어이가 없수! 김동렬 2004-04-29 17361
1109 17대 대선의 의의는 국민참여 김동렬 2004-04-29 14488
1108 가능성을 모색하는 입장에서 김동렬 2004-04-29 14456
1107 정동영 보며 화내지 않는 법 김동렬 2004-04-29 13404
1106 조중동에게 기쁨주는 우리당 김동렬 2004-04-28 14000
1105 박근혜의 보수를 달라 김동렬 2004-04-27 14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