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268 vote 0 2021.11.10 (00:02:49)

    무슨 주의가 어떻고, 주장이 어떻고, 사상이 어떻고, 이념이 어떻고 말들 하지만 개소리다. 언어가 문제다. 말을 똑바로 해야 한다. 일찍이 말을 똑바로 하라고 가르친 철학가는 없었는가? 없었다. 황폐한 중에 공자의 정명사상이 그나마 좋은 가르침이 된다. 


    그의 괴력난신, 온고이지신, 술이부작, 극기복례는 모두 말을 똑바로 하는 문제에 대한 것이었다. 괴력난신은 근거 없는 개소리를 하지 말자는 거다. 음모론, 초능력, 사차원, 텔레파시, 안아키, 신토불이, 귀신, 천국, 내세 기타등등 무수하다. 


    온고이지신은 흘러간 옛날 것이 아니라 확실한 근거가 있는 것이다. 공자가 그 시대의 수준에 맞게 표현을 그렇게 했을 뿐 우리가 맥락을 헤아려서 들어야 한다. 공자가 무슨 논문을 쓴 것도 아니고 대화 중에 직관적으로 내뱉은 말이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화두를 던진 것이다. 스승이 뼈대를 세우면 제자가 살을 채우는 것이다. 공자가 빠뜨린 부분을 우리가 채워야 한다. 직관은 그냥 나오는게 아니고 관점에서 나온다. 그 관점을 포착해야 한다. 술이부작은 귀납하지 말고 연역하라는 말이다. 


    모형을 복제해야 한다. 극기복례는 동물적 본능과 집단의 무의식에 휘둘리지 말고 차분히 생각하여 이성적으로 판단하라는 말이다. '아! 그러고 보니 내가 하고 싶은 말을 공자가 다 했잖아.' 다만 후학들이 공자의 참뜻을 모르고 아랫사람들을 제압하고 단속하는데 이 말을 써먹으니 어찌 유감천만이 아니겠는가? 


    한 줄기 빛이 다양한 피사체를 만나 스크린에 여러 가지 그림자를 만든다. 다양한 피사체를 보지 말고 하나의 빛을 봐야 한다. 사람과 사람 사이가 인간이다. 그사이를 바로잡는 것이 의리다. 


    말을 똑바로 하여 의를 세울 수 있다. 언어는 화자와 청자의 대칭을 따르며 주거니 받거니 호응하여 담론과 명제를 만든다. 담론은 부르는 말과 응답하는 말이 호응하고 명제는 전제와 진술이 호응한다. 공자가 불렀으니 우리가 대답할 차례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5637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5461
5632 쥴리의 비극 김동렬 2021-12-14 3375
5631 에너지의 이해 김동렬 2021-12-13 2854
5630 일본의 몰락과 한국의 전략 4 김동렬 2021-12-13 4029
5629 쉬운 엔트로피 김동렬 2021-12-12 2660
5628 윤석열 짐승을 타격하라 김동렬 2021-12-12 3348
5627 확률과 게임 김동렬 2021-12-11 2470
5626 원삼국의 문제 김동렬 2021-12-11 2533
5625 쥴리의 진실 1 김동렬 2021-12-10 4376
5624 사유의 법칙들 김동렬 2021-12-09 2604
5623 누가 볼츠만을 죽였는가? 김동렬 2021-12-09 3163
5622 갈릴레이의 확신 김동렬 2021-12-08 2493
5621 사건의 해석 김동렬 2021-12-08 2652
5620 설거지 당한 남자 윤석열 김동렬 2021-12-08 3359
5619 양질전화는 없다 김동렬 2021-12-07 2616
5618 구조론의 5단계 김동렬 2021-12-07 2471
5617 슬픈 대한민국 김동렬 2021-12-06 3648
5616 비겁한 과학자들 김동렬 2021-12-05 3176
5615 구조론의 힘 3 김동렬 2021-12-04 2826
5614 사건의 퍼즐 맞추기 김동렬 2021-12-03 2946
5613 구조의 발견 김동렬 2021-12-02 25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