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이상우
read 2426 vote 1 2021.11.08 (10:10:32)

어젯 밤 평창에서 집으로 차몰고 오는데 역시나 이천의 호법 분기점 부근에서 용인 양지까지 19km가 막힌다. 영동고속도로와중부고속도로 합류지점이니 이해도 간다.
쫄쫄쫄 정체구간을 갈 생각을 하니 좀 갑갑증이 몰려온다. 어쩌면 좋을까? 마침 네비 언니가 우회도로를 알려준다. 무려 15분이나 빠른 길이네. 진출입로가 몇 백 미터 안남았지만 1차선에서 살살 차선 변경해서 겨우 중부 고속도로로 접어들어서 이천의 국도로 우회를 했다. 신호대기중 확인해보니 덕평ic로 들어간다. 잘 되었다 싶었다. 도착 시간도 십 몇 분 줄어들었으니.
어라, 그런데 중간에 한 국도의 삼거리에서 신호대기를 3~4번 받고, 덕평 ic진입 삼거리에서 그만큼 신호를 받으니 결국 도착 시각이 마이너스 15에서 제로가 되었다. 옆에 있던 아내 말대로 하면 도리어 1~2분 늘었단다.
결국 우회하면서 시간은 못줄이고 기름값만 손해니 아내는 괜히 나갔다며 투덜투덜.

음.. 그런데 과연 그럴까? 우회도로로 운전하며 새로운 루트를 알게 되었다. 고속도로 쫄쫄쫄 보다는 우회로가 지루함이 덜했다. 만약 아까 이 길로 안오고 정체된 원래 길로 갔다면 우회도로로 못나간 걸 아쉬워했을 거다. 앞으로 비슷한 시간에 우회도로 감속 메시지가 떠도 우회하진 않을 거다. 딱 떠올려봐도 장점이 4가지나 된다.

교직도 이와 비슷하다. 샘들은 결과가 안좋으면 괜히 했다고 후회를 한다. 그냥 후회만 하면 다행인데, 주로 반 애들과 감정 싸움으로 이어져서 뒤끝도 안좋다. 너무 위험하지만 않으면 새로운 시도는 언제나 옳다. 실패는 없고 실전 데이터가 쌓인다. 실패한 만큼 나중에 성공의 확률도 올라간다. 부족한 부분은 원인을 분석해서 보완하면 된다. 교육의 방향만 맞다면 그리 걱정할 것이 못된다.

그럼에도 사람들은 결과만 보고 판단한다. 교육의 아버지라는 페스탈로찌를 보라. 그는 늘 실패만 했다. 그가 산 시대야 말로 격동과 혼란 그 자체였다. 성공 자체가 불가능한 것이 정상이다. 한 인간 자신의 교육에 대한 성공과 실패를 논하는 것은 그 당시로서는 알 수가 없다. 지나고 나야 성공인지 아닌지 어렴풋이 알 수가 있다. 교육은 지금 현재가 가장 중요하나, 교육은 큰 흐름이 있고 그 효과와 부작용이 나오는데 시간이 걸리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인간 자체의 변화와 성장의 그러하다. 교육백년지대계의 마음으로 일희일비하지 않고 긴 안목을 갖고 지금 최선을 다하는 것이 모든 교육자가 할 일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699
1915 조직 원리 image 4 눈내리는 마을 2010-08-04 8739
1914 성매매 문제에 대한 합리적인 관점 1 오세 2010-08-04 7162
1913 그 변방세력이 주류를 치게 된 이유, 질문하기 ░담 2010-08-06 6958
1912 태초의 비밀. 아제 2010-08-07 7661
1911 포지션 에너지 image 눈내리는 마을 2010-08-07 8132
1910 원인과 결과 그리고 판단. image 3 아란도 2010-08-10 7451
1909 구조론으로 본 에너지 장애 진단론 1 -에너지 입구의 문제 4 오세 2010-08-11 7160
1908 타짜 아니면 호구 image 1 양을 쫓는 모험 2010-08-16 9723
1907 복잡한 인간. 4 아제 2010-08-16 7727
1906 밀도는 질의 성질이다. 5 아제 2010-08-24 6871
1905 권구조담 1 ░담 2010-08-26 6097
1904 사람무늬 그리고 구조론., 5 오세 2010-08-26 6252
1903 직업이란 무엇인가 - 허무한 스펙 쌓기에 빠지지 마시라 2 ░담 2010-08-27 9878
1902 진화와 인간.. 아제 2010-08-31 7465
1901 부력은 결국 중력이더이다. 선풍기 2010-09-02 8339
1900 -학부모에게 쓴 글- 창의란 무엇인가? 4 오세 2010-09-09 6936
1899 부(富)의 비교 -구조론적 관점- 5 오세 2010-09-10 8990
1898 구조의 의미. 1 아제 2010-09-17 5829
1897 권태. 1 아제 2010-09-18 6920
1896 화투의 밸런스 image 4 양을 쫓는 모험 2010-09-27 90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