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630 vote 0 2021.10.09 (09:33:09)

    세상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가? 쉽게 공간, 시간, 물질 따위를 떠올릴 수 있다. 공간과 시간에 대해서는 정체가 뭔지 잘 모르겠고 보통은 물질 중심으로 이야기한다. 물질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가? 원자의 집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집합이 뭐지? 그건 수학자에게나 물어보셔. 피곤하다. 


    생물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가? 세포의 집합이라고 하면 된다. 그럼 생명은 뭐지? 세포는 공간 속의 존재다. 시간 속의 생명활동은? DNA는 또 뭐야? 컴퓨터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되어 있다. 하드웨어가 세포라면 소프트웨어는 생명이다. 물질이 하드웨어라면 물질의 소프트웨어는 뭐지? 시간과 공간은 뭐지? 시간과 공간은 그냥 존재할 뿐 특별히 하는게 없는데? 물질의 집합이라고는 하는데 집합은 뭐지? 우리는 기본적인 의문에 합당한 대답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바둑은 바둑판과 바둑알 그리고 기보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고수들은 바둑판과 바둑알이 없이도 둔다. 바둑은 대국자의 마음 속에 있다. 바둑알과 바둑판은 확인을 위한 약속이다. 과학자가 투명한 염색체에 염색약을 뿌려 보이게 하듯이 투명한 마음에 잉크를 뿌려서 색깔을 입힌 것이다.


    모든 것의 출발점 찾기다. 우리는 기본적인 것에 대해 하나도 모르고 있다는 사실을 고백해야 한다. 물질이 원자의 집합이라는 말은 얼버무린 말이다. 원자는 양자역학에 깨졌고 집합과 시간과 공간의 관계는 아리송하다. 누가 물질을 집합시켰지? 생물이 세포와 생명으로 이루어지고, 바둑이 바둑판과 대국으로 이루어지고, 컴퓨터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이루어지듯이 물질이라는 하드웨어와 짝이 맞는 소프트웨어로서의 무엇이 나와야 한다.


    뭔가 근본적으로 틀어져 있다. 애초에 보는 방법이 잘못되었다. 세상은 사물이 아닌 사건이다. 사물은 일방작용이고 사건은 상호작용이다. 일방작용의 관점으로 보면 항상 뭔가 둘로 나누어진다. 쪼개진다. 수습이 안 된다. 이원론으로 흘러가는 것이다. 우리는 세상이 일원론이라는 사실을 직관적으로 알고 있다. 바둑은 바둑판과 기보 두가지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두 대국자 사이에 오가는 하나의 랠리로 이루어져 있다. 생물은 DNA의 자기복제 하나로 이루어져 있다. 사건은 하드웨어가 소프트웨어를 겸한다. 물질은 집합된 것이 아니라 복제된 것이다. 집합의 원소를 찾아야 할 것이 아니라 복제의 원본을 찾아야 한다. 그것은 의사결정구조다. 세상은 사건을 연결하는 구조의 복제로 이루어져 있다.


[레벨:4]고향은

2021.10.09 (11:27:07)

세상은, 생명은
자신의 원본을 투사할 대상과
구조를 이루고 시간을 살아간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7708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updateimage 7 김동렬 2024-06-12 933
5579 윤석열의 진정성 김동렬 2021-11-10 3806
5578 공자의 길 김동렬 2021-11-10 3215
5577 윤석열 지지자 이재명 지지자 김동렬 2021-11-08 3931
5576 공의功義 공리功利 1 김동렬 2021-11-07 3595
5575 여포의 배신 윤석열 김동렬 2021-11-06 4160
5574 틀딱의 역습 김동렬 2021-11-06 3828
5573 전략과 전술 김동렬 2021-11-05 3549
5572 심리적 지정학 김동렬 2021-11-04 3436
5571 기본구조 김동렬 2021-11-03 2974
5570 주몽은 누구인가? 김동렬 2021-11-03 3361
5569 이재명이 해야할 일 김동렬 2021-11-02 3929
5568 설거지론은 또 뭐야? 4 김동렬 2021-11-01 4434
5567 덫에 걸린 일본국힘 김동렬 2021-11-01 3691
5566 질 입자 힘 운동 량 김동렬 2021-10-31 3013
5565 노태우 김영삼 살인시대 김동렬 2021-10-30 3292
5564 사건과 사물 김동렬 2021-10-29 2912
5563 윤석열은 대구로 가라 2 김동렬 2021-10-28 3907
5562 의리란 무엇인가? 김동렬 2021-10-27 3587
5561 이념과 사상을 넘어 김동렬 2021-10-26 3524
5560 자유의지의 의미 김동렬 2021-10-25 31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