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987 vote 0 2021.10.07 (11:09:05)

    세상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니 세상이라는 집을 짓는 뼈대가 된다. 구조는 의사결정구조다. 의사결정은 사건 속에서 일어난다. 구조론은 사건을 해명하는 이론이다. 일찍이 사물에 대한 관점은 있었어도 사건에 대한 관점은 없었다. 사건을 어떻게 볼 것인가? 의사결정은 닫힌계 내부에서 대칭을 이루고 축을 이동시켜 또다른 대칭을 만드는 형태로 일어난다. 사건에는 공간의 방향과 시간의 순서가 있으니 질서가 된다. 사건에는 질서가 있으므로 우리는 사건의 다음 단계를 내다볼 수 있다.


    자연이 먼저 있었고 인간이 나중 왔으며 자연과 인간의 상호작용에서 변화가 일어났고 인간의 지식은 변화에 대응하는 것이다. 변화를 어떻게 추적할 것인가? 변화는 움직이고 움직임을 따라잡는 과정에 관점의 이동이 일어난다. 주체의 관점과 객체의 관점이 있다. 보통은 객체의 변화를 추적하지만 주체도 변한다는게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이다. 불변의 잣대로 변화를 계측할 수 있다. 사물이 궁극적인 단계에서는 변하지 않는다고 가정하는 것이 원자론이고 그것도 변하더라는게 양자역학이다. 사물은 변하지만 그 사물을 태우고 가는 사건의 구조는 변하지 않는다. 사건의 질서야 말로 우리가 의지해야할 불변의 절대진리다.


    영어 truth는 단순히 참인 진술을 뜻하지만 우리말 진리는 절대적이고 유일하고 불변하며 의지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심오하다. 사물에는 그것이 없지만 사건에는 그것이 있다. 사건은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진다. 의사결정이 일어나는 사건의 연결고리를 장악하고 통제할 수 있다. 하나의 스위치를 조작하여 일만 개의 가로등을 켜고 끌 수 있다. 산의 정상처럼 뾰족한 그것은 있다. 그것을 표현하기에는 인간의 언어가 부족하다. 언어를 탓해야지 진리를 탓하면 안 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2533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1667
5866 1 법칙과 2 법칙 김동렬 2021-09-29 2978
5865 이대남의 퇴행행동 김동렬 2022-03-25 2978
5864 러시아의 패배 김동렬 2022-11-11 2978
5863 사건의 정의 1 김동렬 2019-11-14 2979
5862 방향성으로 모두 설명한다 1 김동렬 2019-12-17 2979
5861 탈 사회주의 제언 1 김동렬 2020-08-02 2979
5860 점 선 각 체 계 김동렬 2020-04-21 2980
5859 량이 결정한다 김동렬 2023-04-04 2980
5858 인간의 이야기 3 김동렬 2020-03-07 2981
5857 폭군 윤석열 김동렬 2023-04-26 2981
5856 공간에서의 이동 1 김동렬 2019-10-04 2983
5855 위하여냐 의하여냐 4 김동렬 2021-05-15 2983
5854 인간의 비극 김동렬 2022-01-22 2983
5853 속성이 아니라 관계다. 1 김동렬 2019-08-26 2984
5852 관계를 사유하라 2 김동렬 2020-10-04 2984
5851 신라가 흥한 이유 김동렬 2023-04-10 2984
5850 원자는 없고 구조는 있다 김동렬 2021-07-09 2988
» 진리에의 초대 김동렬 2021-10-07 2987
5848 문명은 3이다 김동렬 2022-01-21 2989
5847 유물론 유심론 구조론 1 김동렬 2020-05-12 2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