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이금재.
read 2371 vote 0 2021.10.05 (02:34:36)

1. 미국의 입장(내가 영웅이다)

영웅은 나고 저놈은 나쁜놈이야. 어쨌든 세상은 선과 악의 이분법이야. 소련이 없어졌으니 이제 중국이 악이야. 나쁜 원자는 착한 짓을 해도 나쁘고, 좋은 원자는 나쁜 짓을 해도 좋지.

> 디파티드


2. 일본(홍콩)의 입장(나는 꼬붕이다)

일본과 홍콩은 대표적인 기생국이지. 영웅은 영미며 우리는 그들의 꼬붕이야. 우리 중에 영웅은 없어. 우리끼리 승자없이 경쟁하므로 여기는 지옥. 결과가 정해져 있으므로 뭘 해도 허무할 뿐.

> 무간도


3. 한국의 입장(우리가 영웅이다)

인간은 나쁘기도 좋기도 하지. 선과 악, 영웅과 악당이 누군지는 아직 알 수 없어. 게임을 하다보면 방향이 생기고 영웅은 만들어지는 거야. 

> 신세계


패권을 가진 미국, 미국의 꼬봉인 일본, 한창 성장하는 한국은 각자의 입장이 다르죠. 한국의 드라마가 세계인에게 받아들여지는 이유는 한국인이 성장 드라마를 그리기 때문입니다. 결론이 정해진 미국과 일본의 드라마는 재미가 없죠. 재미가 없는 것은 변화가 없는 것과 비슷한 겁니다. 그들의 인물 간 관계가 변화 없이 뻔하죠. 그래서 인물의 내적 변화에 집중하게 됩니다. 미국식 영웅은 슈퍼맨처럼 주로 또라이가 내적 각성하는 걸 조명하고, 일본은 영웅없이 에반게리온의 이카리신지같은 히키꼬모리가 끊임없이 내적 고민만 합니다. 일본영화의 제목이 길어지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소시민의 삶을 조명하기 때문. 주어나 목적어가 아닌 동사에 집중하기 때문에 문장을 사용하게 됩니다. 동사는 행위를 의미하며, 이는 일본인이 일상에서 재미를 찾자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한국이나 미국과는 관심 분야가 다른 겁니다. 한국영화 중에도 긴 제목을 가진 경우가 있는데, 돼지가 우물에 빠진날 처럼 대개 일본영화를 흉내낸 것입니다. 홍상수의 모든 영화 제목이 긴 이유. 홍상수 영화를 보면 가슴이 답답해집니다. 빠져나올 수 없는 지옥에서 허우적대는 인간을 찍기 때문. 군대에 가면 이카리신지의 마음을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 외부로 저항할 수 없는 지옥에서 할 수 있는 것은 자살뿐. 그래서 허무. 반면 한국식 영웅은 선과 악을 내부에 두루 갖추고 좌충우돌 하며 팀을 만들어 성장합니다. 즉 한국의 드라마는 인물 간 관계에 변화가 있어 바라보는 관객이 힘을 느낄 수 있습니다. 오징어게임의 결말에서 성기훈이 자신과 대결했던 조상우의 엄마에게 보은하는 것은 한국에서만 나올 수 있는 그림입니다. 물론 한국인에게는 너무 뻔한 거라 신파. 


인디언을 쏴죽이고 만들어진 미국, 미국의 똥꼬를 빨아 성장한 일본, 미중러 사이에 낑겨서 민주주의를 만들며 성장한 한국은 이야기의 결이 다릅니다. 

Drop here!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3179
1888 모든 구조의 구조 (서점리뷰) 6 lpet 2010-09-27 6635
1887 오캄의 면도날 1 다원이 2010-09-28 6944
1886 여성 많은 집단이 문제해결력 높다 6 김동렬 2010-10-01 6910
1885 소비의 격 - 구조로 본 소비의 다섯 수준 3 오세 2010-10-01 6383
1884 감자탕은 감자뼈? 1 김동렬 2010-10-20 14765
1883 여자가 오래 사는 이유 3 김동렬 2010-10-26 7644
1882 시선의 방향 4 lpet 2010-10-27 5042
1881 혈액형과 인류구조관점 4 지여 2010-10-31 8345
1880 가슴하나에 시크릿 하나씩 image 눈내리는 마을 2010-11-06 5489
1879 (동서정신과학 학회 발표용 논문) 구조론으로 본 마음의 작동구조--새로운 통합적 심리치료 이론으로서의 구조론 마음이론의 가능성의 모색- 3 오세 2010-11-12 3760
1878 마음의 병리에 존엄으로 답하라 image 오세 2010-11-12 3732
1877 구조론과 정신분석 (논문에서 발췌) 오세 2010-11-12 4121
1876 기존의 마음 이론의 한계 오세 2010-11-12 5760
1875 Ⅰ. 왜 구조론인가? (논문 발췌) 오세 2010-11-12 4324
1874 구조론의 마음이론 (논문발췌) 3 오세 2010-11-12 4188
1873 1분 안에 보는 구조론 마음이론(엑박수정) image 3 오세 2010-11-19 4230
1872 정신-의식-의도-생각-감정 image 5 오세 2010-11-19 4452
1871 인생의 질문을 알려주시오. 11 김동렬 2010-11-22 4404
1870 인생의 질문 대략 실패 4 김동렬 2010-11-24 4051
1869 소통지능을 뒷받침하는 뉴스 image 2 김동렬 2010-11-24 44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