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5]윤민
read 4198 vote 0 2021.05.28 (16:18:56)

카피라이터는 자신의 생각없이 문서제작만 기획자를 비하하는 표현이다 카피라이터와 기획자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의사결정능력의 유무가 그 경계선을 그린다.


기획업무의 본질은 의사결정이다. 문서작성, 프레젠테이션 등 정리하는 능력과 전달하는 능력도 필요하겠지만 부차적이다. 이정도는 카피라이터도 할 수 있다. 


기획자라면 의사결정을 잘해야 한다. 특히 방향에 대한 판단이 중요하다. 방향판단의 기준은 무엇인가? 그대가 기획자라면 자부한다면 1초 안에 답할 수 있어야 한다. 


과거의 사례가 판단기준이라면 위태롭다. 과거의 사건이 영원히 반복된다는 보장은 없다. 환경이 변화하기 때문이다. 직감을 믿는 것도 위태롭다. 하루하루 컨디션에 따라 달라지는게 직감이다. 탁월한 직감을 가졌다는 잡스조차 어제 쓰레기라 말하고 버렸던 아이디어를 하루아침에 극찬했다고 하는데 말이다.나는 그대가 잡스 이상의 직감을 가졌다고 해도 위태롭다고 할 것이다.


데이터를 기반으로 판단하는가? 물론 데이터는 의사결정을 돕는다. 현재 상황을 또 추이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준다. 그러나 데이터는 이미 내려진 의사결정의 옳고 그름을 판별하는데 사용하는 것이지 이를 절대적인 기준으로 삼아 의사결정을 하는 것은 위태롭다. 이 한계를 극명하게 보여주는게 자동주식거래 아니겠는가? 


변화하는 것을 의사결정의 기준으로 삼는 것은 언제라도 위태롭다. 절대로 변화하지 않는 것을 의사결정의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 그것을 도구로 삼아 의사결정하는 것이다. 절대로 변화하지 않는 것은 이치다. 물리는 변하지 않는다. 언제라도 F=ma다. 변하지 않으니 기준으로 삼을만 하다. 이러한 이치를 깨달아 인류는 비로소 힘과 질량과 가속도를 통제할 수 있게 되었다. 


모든 기획자의 꿈은 내 기획에 세상이 호응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기획자는 언제라도 변하지 않는 세상의 이치를 추적해야 한다. 그대가 세상의 결을 따라갈 때 그대의 기획이 순풍을 타고 갈 수 있다. 기획자에게 인문학이 강조되는 이유다. 인문학을 배우라는 진정한 이유는 깨달은 자들의 입을 통해서 또는 인간사회를 통해서 세상의 결을 찾으라는 것이다. 


단순하게 지식으로 인문학은 쓸모가 없다. 플라톤이 이데아를 말하든, 니체가 초인을 말하듯 어쩌라고? 남들 앞에서 지적허세를 위한 도구로는 좋을지 몰라도 실상은 쓸모가 없다. 플라톤의 부부공유제를 실천할 것도 아니고 말이다. 권위라는 베일을 걷어내서 보면 이데아나 초인이나 그냥 하나의 아이디어에 불과하다. 


중요한 것은 그 시대가 아이디어에 호응했다는 것이다. 아이디어에 주목하는게 아니라 그 관계에 주목해야 한다. 그 관계를 추적하여 세상의 결을 읽는 것이다. 카피라이터가 아닌 기획자의 출발점은 여기서부터 시작하는거다.  


[레벨:5]윤민

2021.05.28 (16:29:24)

변하지 않는 세상의 이치를 배우는 곳은 역시 구조론이죠 ^^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4270
2113 무한과 연속성의 차이 chow 2023-01-12 1078
2112 냉전 이후 자본주의와 디지털 혁신 dksnow 2023-01-16 1080
2111 삼성과 남한 dksnow 2022-05-27 1081
2110 다이아몬드는 왜 가치가 있는가? chow 2022-05-29 1119
2109 구조론의 응용 dksnow 2022-04-07 1124
2108 생명로드55 - 기후위기시대의 문법을 생각한다 수원나그네 2020-04-12 1139
2107 21세기 진보 dksnow 2022-04-25 1139
2106 손잡이의 원리 2 chowchow 2022-05-20 1149
2105 곡성과 라쇼몽, 아킬레스와 거북이, 상대성이론 chow 2022-05-31 1156
2104 선거 후기 1 레인3 2022-06-02 1164
2103 생명로드50- 지구촌 '마더'를 만드는 길 image 수원나그네 2019-12-10 1166
2102 밖이 답이지만 그 밖은 우리가 찾아나서야 한다. 현강 2020-08-14 1167
2101 구조론 목요모임(서울역) image 오리 2020-07-23 1169
2100 움직이면 시간이 천천히 간다? chow 2022-05-28 1173
2099 구조의 확장 현강 2020-01-07 1181
2098 관계와 관측 그리고 사건 현강 2020-08-09 1183
2097 문명은 하나 dksnow 2022-05-03 1184
2096 외력을 맞이하는 관점을 비틀기. 현강 2020-08-05 1191
2095 노동운동의 문제 image 1 chowchow 2022-05-01 1195
2094 확률은 바꿀 수 있다. 현강 2020-08-13 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