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801 vote 0 2021.05.03 (21:13:30)

      

    우리는 인과를 시간으로 이해한다. 시간은 흐른다. 멀어진다. 떠나버린다. 알 수 없게 되는 것이다. 공간은 그곳에 있다. 어디 가지 않는다. 인과를 공간으로 이해해야 바르다. 공간은 안과 밖이 있다. 원인은 안에 있다. 가운데 있다. 코어에 있다. 그러므로 알 수 있다.


    원인이 원인이다. 원인은 원인 그 자체다. 외부의 어떤 원인 말고 원인 그 자체에서 답을 찾아야 한다. 원인은 메커니즘이다. 메커니즘은 에너지의 확산을 수렴으로 바꾸는 것이다. 닫힌계 안에서 에너지의 방향성이 확산에서 수렴으로 바뀌는게 사건의 진짜 원인이다.


    닫힌계를 찾고 에너지의 방향을 추적하면 코어가 발견된다. 원인은 그곳에 있다. 중국은 왜 그랬을까? 에너지가 수렴되었기 때문이지. 일본은 왜 그랬을까? 역시 에너지가 수렴되었기 때문이야. 메갈은 또 왜 그랬을까? 역시 에너지가 그리로 수렴되었기 때문이지.


    국힘당은 왜 그럴까? 에너지가 수렴되니까 그렇지. 모든 사건에 공통된 원인은 에너지의 수렴에 의한 격발이다. 활시위가 풀어져 있는 것은 에너지의 확산이다. 활시위가 팽팽하게 당겨지는 것은 에너지의 수렴이다. 에너지는 활에서 활시위를 거쳐 화살로 수렴된다.


    바람의 방향이 바뀌듯이 에너지의 방향이 바뀌는게 사건의 원인이다. 왜 방향이 바뀌는 것일까? 상부구조가 개입할 때 자석의 극이 바뀌듯이 에너지의 방향이 바뀐다. 남극과 북극의 위치가 바뀌기도 한다. 지각 속에서 철의 회전방향이 자기장의 방향을 결정한다.


    부인에게 살갑게 대화하다가도 친구가 집에 방문하면 갑자기 어깨에 힘이 들어가서 남편이 고압적으로 변한다. 친구 앞에서 마초 가부장의 체면을 세우려고 한다. 그럴 때 에너지의 방향이 바뀐다. 외력의 작용에 대항하려고 에너지를 가장 중심으로 결집한 것이다.

   

    난 당당한 가장이라구. 에헴! 이런 것을 연출하려는 것이다. 친구가 돌아가고 난 후에는 헤헤거리며 부인의 비위를 맞춰주지만 이미 늦었다. 부인도 외부인 앞에서는 당당하고 싶기 때문이다. 외세를 끌어들이면 역효과 난다. 역시 에너지의 방향이 바뀌기 때문이다. 


    자연상태는 에너지의 확산상태다. 외력이 작용하면 대항하려고 에너지의 방향을 수렴으로 바꾸고 내부에 코어를 형성한다. 그것이 모든 사건의 모든 원인이다. 총이 격발되듯이 사건은 일어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8128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8100
5295 김종인을 처절하게 밟아버려야 한다. 1 김동렬 2020-06-02 3550
5294 조응천 박용진 금태섭의 화병 김동렬 2020-09-30 3550
5293 모순은 언어에 있다 2 김동렬 2019-01-20 3551
5292 구조가 다섯인 이유 김동렬 2023-07-07 3551
5291 여자의 흰색과 남자의 검은색 image 3 김동렬 2019-11-27 3552
5290 무너진 독재자 김동렬 2022-09-12 3552
5289 구조론의 길 김동렬 2021-06-11 3553
5288 질문하지 마라 1 김동렬 2019-11-15 3553
5287 교육이 가장 중요하다. 1 김동렬 2020-05-27 3553
5286 사유의 프로페셔널과 아마추어 2 김동렬 2021-09-18 3554
5285 소승과 대승 1 김동렬 2020-05-19 3555
5284 인간의 멍청함 1 김동렬 2019-06-17 3555
5283 진리의 기쁨 5 김동렬 2021-09-17 3556
5282 한국의 미래는 영국인가, 중국인가? 1 김동렬 2022-07-25 3556
5281 윤석열 김종인 이준석 삼국지 김동렬 2022-01-06 3561
5280 헷갈리는 이유 1 김동렬 2019-10-10 3564
5279 테넷, 열역학 1법칙과 2법칙 김동렬 2020-08-28 3565
5278 사건의 평형법칙 1 김동렬 2019-05-30 3566
5277 유튜브 구조론 1회 24년 1월 7일 김동렬 2024-01-07 3567
5276 노무현의 혁명 3 김동렬 2020-10-18 35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