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361 vote 1 2021.05.01 (21:03:54)

    정봉주의 죽음과 부활


    유튜브 방송에서 언급한 이야기입니다.


    의심이 드는 이유는 인간의 의심하는 본능 때문이다. 합리적 의심을 해야 한다. 마음속 의심은 마음속에 담아두되 꺼내지 말아야 한다. 공사구분 때문이다. 한강에서 의대생이 죽었다. 사적인 공간에서는 같이 한강 둔치에서 술 먹던 친구가 의심스럽다고 말할 수 있지만, 공적공간에서는 그게 불필요한 자기소개다.


    그게 못 배운 티를 내는 것이다. 공적공간에서는 근거를 가지고 책임질 수 있는 말을 해야 한다. 근거 없이 그냥 의심이 든다는 비합리적인 의심이 정봉주를 죽이고 박원순을 죽였다. 생사람을 잡았다. 정봉주가 자살했다면 박원순과 같은 결과가 되었다. 정봉주가 죽었다면 진중권서민은 의기양양해서 떠들었을 것이다.


    살인자의 건강법이다. 알아야 한다. 죽인 자는 또 죽인다는 사실을. 노무현을 죽여서 재미를 봤기 때문이다. 한 번 피맛을 본 늑대가 순순히 물러서겠는가? 유창선, 성한용, 진중권 패거리들 말이다. 그 외에도 무수히 많다. 정봉주의 경우는 충분히 해명할 수 있는 일이지만, 선거 며칠 앞두고 제 3자가 끼어들었다.


    세력을 끼고 정치적 협잡을 하면 일방적으로 타살된다. 해명할수록 꼬인다. 해명하면 그 기자 지망생이 리플리증후군이다 허언증이다 이런 말이 나올 수밖에 없는 구조다. 그게 2차 가해다. 해명하지 말라는 이야기다. 그럼 어쩌라고? 박원순처럼 자살하라는 말이다. 아마 정상수명을 10년 넘게 깎아먹었을 것이다. 


    1/10 살인은 살인이 아닐까? 살인전문지 프레시안은 선진국 기준에 맞추어서 1천억 원을 배상하고 폐간하는게 맞다. 그 외의 인간이 아닌 자에 대해서는 더 말하지 않겠다. 정봉주도 잘못 대응한 점이 있다. 구속을 앞두고 심리적 공황상태에서 일어난 무리한 스킨십이 오해될 만했다고 솔직히 말하면 되는 거였다.


    그런데 하필 선거 직전에 타이밍을 맞춘 기습이라 꼬인 것이다. 서울시장에 미련을 두고 1퍼센트의 가능성을 보고 잡아떼기 도박을 한 것이 이렇게 되었다. 칼에 찔리면 어떻게 해도 죽는다. 해명해도 죽고 해명 안 해도 죽는다. 정봉주의 잘못된 대응은 덫에 걸린 상태에서 내가 살기 위한 몸부림이니 이해될 만하다. 


    덫에 걸렸으니 박원순처럼 죽어라고 말하면 그게 진중권 악마다. 싸이코패스만 쓸 수 있는 말이다. 글자 배운 사람이라면 덫을 놓은 자를 비판해야 한다. 누가 선거날짜에 맞춰서 덫을 놓았나? 사람 죽이고 재미들인 자들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update 2 김동렬 2024-05-27 2651
1721 유시민과 한동훈 김동렬 2021-01-23 3469
1720 잘 모르면 신과 연결하고 답을 기다려라 1 김동렬 2021-01-24 3469
1719 코끼리를 생각하라 1 김동렬 2021-01-25 3517
1718 정의당 김종철의 경우 김동렬 2021-01-25 3705
1717 매트릭스 구조론 image 김동렬 2021-01-27 3139
1716 인생에 남는 것은 의미뿐이다 1 김동렬 2021-01-27 3852
1715 모닥불 구조론 김동렬 2021-01-29 3393
1714 행복타령 김형석, 어리광 빌런 박영선 image 김동렬 2021-01-30 3591
1713 세상은 존재하는가? 김동렬 2021-01-31 2888
1712 행복에는 행복이 없다. 2 김동렬 2021-02-01 3267
1711 인간은 의리다 김동렬 2021-02-01 3117
1710 의리 문재인 배신 김종인 2 김동렬 2021-02-01 3423
1709 공리주의와 구조론 김동렬 2021-02-03 2687
1708 원자론에서 구조론으로 1 김동렬 2021-02-03 2513
1707 하다하다 해저터널 조공이냐? 2 김동렬 2021-02-03 3373
1706 우주의 제 1 원리 만유척력 김동렬 2021-02-04 3221
1705 복장 박영선 1 김동렬 2021-02-06 3309
1704 인상주의 혁명 김동렬 2021-02-07 2946
1703 서민충의 서민행동 image 김동렬 2021-02-07 3008
1702 질문과 답변 김동렬 2021-02-07 3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