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107 vote 0 2021.02.20 (21:58:50)


    담로와 계림


    백제에 지방 제후로 22 담로가 있었다. 왕족을 파견했기 때문에 실제로는 제후국도 아니다. 한의 군현제에 가깝다. 지방의 실력자를 중앙에서 추인하는 일본의 다이묘와 다르고 당의 절도사와 다르다. 담로가 뭘까? 침미다례나 탐라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다. 


    담로의 옛 발음은 다로다. 신라에는 탈해가 있다. 대구는 달벌이다. 신라발음은 닭이 아니라 달이다. 신라의 다른 이름은 계림인데 탈해가 지었다. 계림은 달숲이거나 달벌이다. 냉수리비 등을 참고하면 신라인은 우두머리는 죄다 임금으로 불렀음을 알 수 있다. 


    왕과 육부촌장과 지방촌장이 다 임금이었다. 임금들 간의 급을 구분하려고 왕은 매금으로 부른 것이다. 신라인들은 찬, 아찬, 간, 아간, 각간, 대각간, 태대각간, 간지, 한기라고 다르게 표현했는데 어원은 모두 같다. 어원은 칸이다. 투르크어에서 들어왔다.


    간을 한으로 발음하는 나라도 있고 찬으로 발음하는 나라도 있다. 한국을 일본인들이 간국이라고 하는 것은 옛날에 H 발음을 못해서 그런 것이다. 몽골인들은 옛날에는 칸이라고 했는데 지금은 칸을 발음 못하고 X발음을 끼워서 찬에 가까운 발음을 한다고.


    왕을 일금이라고도 하고 매금이라고도 하는데 같은 이름을 다른 한자로 적는 경우는 계급이 다르기 때문이다. 6부왕도 임금이고 지방의 촌장도 임금인데 한자 표기가 다르다. 결론은 담로와 다례와 탐라와 달벌과 탈해와 계림은 뿌리가 같은 말이라는 것이다.


    그중에 몇은 우연의 일치일 수도 있다. 탈해는 원래 왕의 신하였는데 어쩌다 왕이 되었기 때문에 이름이 이상해진 것이며 그 와중에 국명도 바뀐 것이다. 계림은 달숲인데 경주의 숲을 뜻하지만 탈해는 신하가 왕이 되면서 신라를 담로연맹으로 정의한 거다. 


    이상은 나의 추측이다. 시도할 만한 가치가 있는 추론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6257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6121
1092 1차대전의 참호전 1 김동렬 2022-01-22 3074
1091 유전자의 눈 김동렬 2021-11-14 3072
1090 인상주의 혁명 김동렬 2021-02-07 3071
1089 구조론은 언어다 1 김동렬 2019-10-21 3071
1088 사건이 사물에 앞선다 김동렬 2021-10-24 3067
1087 무능한 장군과 유능한 장군 image 김동렬 2022-10-26 3066
1086 하루에 1초만 생각을 하자 김동렬 2021-09-13 3066
1085 일원론으로 바라보라 김동렬 2020-09-03 3065
1084 구조론적 행동주의 김동렬 2022-01-09 3064
1083 구조론 입문 해설 김동렬 2020-10-29 3064
1082 사냥꾼의 관점 김동렬 2023-07-06 3062
1081 상호작용론 1 김동렬 2021-10-18 3062
1080 자기소개의 문제 1 김동렬 2019-06-18 3061
1079 독고다이 윤석열 김동렬 2023-04-10 3059
1078 전두환은 대통령 된 적이 없다 김동렬 2021-11-24 3059
1077 생각은 도구를 쓴다. 1 김동렬 2019-11-26 3057
1076 손가락이 다섯인 이유 김동렬 2021-11-17 3056
1075 방시혁과 민희진 3 김동렬 2024-04-25 3053
1074 한일관계를 보는 시선 2 김동렬 2023-03-16 3053
1073 엘리트의 생존법 김동렬 2022-09-28 30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