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087 vote 0 2021.01.04 (20:49:49)


    구조론은 세상을 구조로 설명한다.


    구조는 의사결정구조다.


    의사결정구조는 대칭구조다.


    대칭에는 대칭된 둘이 공유하는 접점이 되는 축이 있다.


    축이 이동하면서 대칭이 비대칭으로 바뀌는 것이 의사결정이다.


    하나의 사건은 원인에서 결과까지 진행하는 동안 다섯 번 대칭을 조직한다.


    닫힌계의 안과 밖, 코어의 중심과 주변, 균형의 좌우, 방향의 앞뒤, 변화의 위치와 관측자로 다섯 가지 대칭과 비대칭이 차례로 일어난다.


    짝수인 대칭이 홀수인 비대칭으로 바뀌면서 보다 사건의 범위를 좁혀서 새로운 짝수로 대칭을 만들며 자투리가 남아서 엔트로피가 증가된다.


    외부의 개입이 없는 닫힌계 안에서의 의사결정은 대칭을 조직하는 절차에 자원의 일부가 동원되므로 그만큼 의사결정구조에서 이탈하며 이를 무질서도로 표현한다.


    의사결정은 짝수를 홀수로 바꾸는 과정을 5회 반복하여 축을 이동시키며 나머지는 축에 맞물려 따라온다.


    내부적인 연결상태를 의미하는 닫힌계 내에서의 어떤 결정은 연결의 단절 형태로만 가능하다.


    사건이 진행하는 다섯 단계에 걸쳐 의사결정지점이 점차 국소화되고 부분화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사건의 추이를 판단하고 미래를 예견할 수 있다.


    상하 좌우 전후 고저 장단 흑백 명암 원근 강약 흥망 내외 대소 기타등등 무수한 대칭이 있다.


    대칭에는 반드시 코어와 균형이 있다.


    닫힌계 내부에 에너지의 모순이 발생하면 먼저 균형을 이루고 다음 코어를 이동시켜 균형을 깨뜨리며 새로운 균형을 찾아내는 형태로 사건은 진행된다.


    전체의 균형에서 의사결정을 일으키며 일부가 죽고 살아있는 나머지의 균형에서 다시 의사결정을 일으키며 일부가 죽는 형태로 사건은 일어나며 점차 국소화된다.


    연결이 끊어져 모순이 닫힌계 밖으로 배출되는 형태로 사건은 종결된다.


    부분에서 균형을 찾아가는 현상이 도리어 전체의 불균형을 유발하므로 사건은 알 수 없게 된다.


    두 선박이 가까운 거리에서 나란히 가면 좁은공간 효과로 두 선박 사이의 유속이 빨라지고 수압이 낮아져서 두 선박이 붙어버린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4282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3962
5169 백기완의 완결 3 김동렬 2021-02-15 3252
5168 금태섭 심상정의 기생寄生정치 김동렬 2021-02-13 3133
5167 원자론과 구조론의 세계관 차이 2 김동렬 2021-02-12 2732
5166 기다리는 자가 이긴다 김동렬 2021-02-11 3838
5165 구조론적 세계관 2 김동렬 2021-02-11 3187
5164 명절증후군은 거짓말이다 김동렬 2021-02-10 3440
5163 위안부 문제의 본질 김동렬 2021-02-09 2991
5162 셈이 먼저냐 숫자가 먼저냐? 김동렬 2021-02-08 5101
5161 구조론에 대해 질문하려면 1 김동렬 2021-02-08 3124
5160 질문과 답변 김동렬 2021-02-07 3481
5159 서민충의 서민행동 image 김동렬 2021-02-07 3151
5158 인상주의 혁명 김동렬 2021-02-07 3063
5157 복장 박영선 1 김동렬 2021-02-06 3445
5156 우주의 제 1 원리 만유척력 김동렬 2021-02-04 3391
5155 하다하다 해저터널 조공이냐? 2 김동렬 2021-02-03 3547
5154 원자론에서 구조론으로 1 김동렬 2021-02-03 2601
5153 공리주의와 구조론 김동렬 2021-02-03 2764
5152 의리 문재인 배신 김종인 2 김동렬 2021-02-01 3581
5151 인간은 의리다 김동렬 2021-02-01 3257
5150 행복에는 행복이 없다. 2 김동렬 2021-02-01 3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