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이금재.
read 1733 vote 0 2020.10.21 (16:05:18)

https://youtu.be/OG3XkRIBbCI

"유클리드 > 비유클리드"가 베이스를 평면이나 곡면이냐로 구분하는 것이었다면,
"뉴턴 > 아인슈타인"도 베이스를 다루기 때문에 아인슈타인이 시공간이 휘었다는 표현을 한 거였군요.

재밌는 지점은 "곡률"이라는 표현인데, 왜냐하면 어떤 비율이라면 "무엇이다"라고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아인슈타인이 시공간 혹은 빛의 속도라고 얼버무린 거시기는 무려 비율을 가진 가상의 전제가 되는 것입니다.


영상 중간에 미적분이 나오는데, 미적분이 나오는 이유는 수학에서 미분이 하방추론으로, 적분이 상방추론으로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미적분의 연산 자체는 대수학적인데, 그 연산의 베이스는 당연히 기하학입니다. 


참고로 미분은 나눗셈의 일반화 연산으로, 적분은 곱셈의 일반화 연산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하는 나눗셈과 곱셈은 대수학적으로 정의된 것으로 차원을 전제하지 않으나 미적분은 기본이 기하학이므로 차원을 전제하여 계산하되, 다만 그 결과는 대수학적으로 표현됩니다. 


일각에서 미분을 나눗셈으로 생각하면 안 된다고도 하는데, 이는 반만 맞는 말입니다. 미분은 나눗셈이 아니나 나눗셈은 미분에 속한다고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즉 우리가 사용하는 나눗셈은 미분의 특수한 형태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미적분에서 곱셈을 하는데 뜬금없이 덧셈이 보이는 이유는 행렬곱을 할 때 뜬금없이 덧셈이 튀어나오는 이유와 정확히 같습니다. 차원간 연산을 할 때 곱셈은 차원간연산으로 덧셈은 차원내연산을 표현하는데, 차원을 이동할 때는 둘 다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아무튼 기하학은 행렬을 다루고, 행렬은 곧 텐서로 확장되므로 상대성이론에서 텐서를 사용했다는게 대강 연결이 되죠. 좀 더 나가면 양자역학이 행렬을 주로 다루고 퀀텀 점프를 다루는데, 퀀텀점프는 계를 다루는 표현이고.. 하는 식으로 가다보면 언젠가는

Drop here!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3069
368 올해 구조론 정기모임은 없습니다. 오리 2020-12-15 1466
367 반쪽 부동산 정책! 2 아나키(÷) 2020-12-17 2103
366 사회대개혁지식네트워크 교수연구자 선언 1 수원나그네 2020-12-28 1576
365 <구조론 글쓰기 겸 질문에 대한 답변을 글로 써보기 후, 소감> image 1 아란도 2021-01-01 1668
364 구조론 : 구조의 일의성(질문에 대한 답변을 글로 써보기) image 4 아란도 2021-01-01 1933
363 게시판 파일 첨부 방식이 변경 되었습니다. image 22 오리 2021-01-01 2778
362 미분과 제논 그리고 시간과 속도 이금재. 2021-01-03 1991
361 학문의 분류 바람21 2021-01-04 1909
360 영어 천재가 되는 법 2 이금재. 2021-01-05 3610
359 주체의 관점으로 올라서라 1 아란도 2021-01-06 1791
358 내쉬와 노이만 2 이금재. 2021-01-07 2246
357 학습의 원리 이금재. 2021-01-09 2073
356 인생의 목적 이상우 2021-01-29 2065
355 탈북작가 장진성 대표(뉴포커스) 입장 표명 영상 수피아 2021-01-30 2121
354 <이 달의 가짜뉴스·나쁜뉴스> 공모 image 11 수원나그네 2021-02-04 2104
353 게임의 복제 systema 2021-02-12 1715
352 구조론 간단공식 1 바람21 2021-02-13 2347
351 게임 속 민주주의 바츠해방전쟁 1 SimplyRed 2021-02-14 2254
350 어렸을 적의 결론 1 다음 2021-03-01 2322
349 조선일보 고발 + '가짜뉴스'상금 60만원 image 수원나그네 2021-03-08 20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