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813 vote 0 2020.09.23 (16:31:08)


    언어는 연결되고 과학은 재현된다. 연결되지 않으면 틀린 언어이고 재현되지 않으면 틀린 과학이다. 진리가 언어에 있다는 말은 연결에 의미가 있다는 말이다. 연결되면 참이고 연결되지 않으면 거짓이므로 순식간에 검증된다. 불러도 상대가 대답하지 않으면 그것은 틀린 언어다.


    스위치를 눌렀는데 전구에 불이 켜지지 않으면 고장난 회로다. 세상은 애초부터 연결되어 있었다. 그러므로 끊어질 가능성만 있다. 이미 연결되어 있다는 전제를 깔고 들어가므로 거기서 일어나는 변화는 끊어지는 형태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 엔트로피 증가 곧 끊어짐의 증가다.


    우리가 떠올리는 원자는 끊어져 있는 그림이므로 애초부터 연결되어 있었다는 전제와 모순된다. 애초부터 연결되어 있었다는 전제를 반영한 이미지를 떠올려야 한다. 초끈이론이든 양자역학이든 구조론의 그림과 가까워지고 있다. 연결의 대칭성과 비대칭성을 반영한 그림과 닮았다.


    연결은 둘의 연결이지만 연결되었으므로 하나다. 1이면서 2다. 그것이 구조다. 빨대의 구멍은 둘이지만 수학적으로는 하나다. 1회의 개입으로 두 개의 구멍을 막을 수 있다. 전화의 송신기와 수신기는 둘이지만 라인은 하나다. 하나의 라인을 끊어서 두 사람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다.


    암구어는 둘이지만 하나다. 문어와 답어 둘 중에 하나만 틀려도 틀린 것이다. 그렇다. 진리는 둘이면서 하나다. 하나이므로 1회의 개입에 의해 통제된다. 그러므로 보다 효율적이다. 에너지의 효율성에 따른 상대적 우위가 세상을 컨트롤할 수 있는 근본이다. 진리는 비대칭이다.


    그러면서 대칭이다. 세상이 혼란한 이유는 이러한 근본을 모르기 때문이다. 세상은 선과 악, 강자와 약자, 부자와 빈자, 승자와 패자의 둘로 나누어져 각각 별도로 대응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통제가능성 하나로 해결된다. 부자를 비난할 필요가 없고 강자를 모욕할 이유가 없다.


    통제하면 된다. 통제되면 재벌도 선이다. 통제되지 않으면 악이다. 자본주의가 옳으냐 사회주의가 옳으냐 따질 이유가 없다. 사회주의가 망한 것은 스스로를 통제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자본주의가 전쟁과 공황으로 치달은 것도 스스로를 통제하는 기술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세상이 이 모양 이 꼴인 것은 이러한 형태로만 통제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생산력의 증대, 인구의 이동, 제도의 혁신을 통해 통제가능성은 증대된다. 우리가 조중동과 사이비종교와 재벌을 치는 것은 그들이 민주통제를 벗어나 폭주하기 때문이다. 한경오와 정의당도 마찬가지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1070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9269
5024 영화 짝패 그리고 지식인의 병폐 2 김동렬 2020-11-09 4015
5023 바이든 당선은 한국에 대형 호재 2 김동렬 2020-11-08 4186
5022 트럼프주의는 계속된다 2 김동렬 2020-11-06 3893
5021 트럼프 파워의 교훈 3 김동렬 2020-11-05 4573
5020 이제는 세계가 한국을 배울 때 image 2 김동렬 2020-11-03 4546
5019 연쇄살인범 이춘재의 입장 1 김동렬 2020-11-03 4813
5018 힐러리의 실패와 나꼼수의 역설 7 김동렬 2020-11-03 3927
5017 다섯 번째 힘을 발견하라 김동렬 2020-11-02 2963
5016 김어준 강준만의 전세역전 1 김동렬 2020-11-01 3850
5015 3축짐벌 구조론 김동렬 2020-11-01 4123
5014 릭트먼 정치 판구조론 김동렬 2020-10-30 3627
5013 구조론 입문 해설 김동렬 2020-10-29 3038
5012 의사결정이 존재다. 김동렬 2020-10-29 2704
5011 뱅크시의 지갑 image 김동렬 2020-10-29 3112
5010 지갑을 주워야 천재다 image 1 김동렬 2020-10-28 3935
5009 노무현이 위대한 이유 1 김동렬 2020-10-27 4006
5008 구조론 입문 image 김동렬 2020-10-26 2883
5007 이건희 정주영 김우중 1 김동렬 2020-10-25 3652
5006 X세대는 노무현주의다 김동렬 2020-10-25 3177
5005 왜 노무현주의가 뜨는가? 김동렬 2020-10-24 27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