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시스템은 외력을 먹고 산다. 외력의 공급이 중단되면 스스로의 구조값을 소모시키며 존재를 연출할 수 밖에 없다. 만화에서는 적이 중요하다. 적은 말하자면 외력이다.

그런데 적이 찾아올 때까지 아무것도 안 하는 주인공은 적에게 심히 의존적이다. 외력이 가해질 때까지 기다리는 게 아니라 적극적으로 외력을 찾아 나서야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적을 동네 양아치에서 세계의 모순 그 자체로 넓혀나갈 수 있다. 감당해내는 외력의 크기와 비례하여 주인공의 구조값은 마찬가지로 커진다.

그렇다고 외력이 입자의 구조값보다 커도 안 된다. 빌런이 너무 멋져버리면 빌런이 주인공이 된다. 외력의 밀도가 입자의 밀도보다 높으면 이미 외력과 입자가 전도된 셈이다.

쉬운 밖을 선택하면 자연인이며 고립이다. 너무 어려운 밖을 선택해도 된통 깨져서 강제로 노숙자가 된다. 적절한 황금비율로 전진할 때 밖과의 경계면은 생장점이 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5285
1755 몸속에는 항체의 유전자를 몇 개로도 나누어 부품화해서 가지고 있다. 4 오세 2012-02-02 3964
1754 기술결정론 vs 도구주의 1 오세 2012-02-12 7588
1753 구조론적 육아법 2 김동렬 2012-02-20 5328
1752 모티브교육으로 가야 한다. ahmoo 2012-02-26 4004
1751 김유신묘 관련 이야기 조금 더 김동렬 2012-03-04 4990
1750 척추동물의 탄생? 4 김동렬 2012-03-06 4316
1749 원시 언어는 존재한다. 1 오세 2012-03-11 4633
1748 최신 심리치료 ACT, 하지만 갈 길이 아직 멀다. 2 오세 2012-03-11 4763
1747 모듈진화의 증거 7 김동렬 2012-03-12 4560
1746 폭력에 대한 구조론적 접근: 폭력의 자궁은 바운더리의 침해. 1 오세 2012-03-22 4106
1745 혈액형별 유명 운동선수 비율 image 4 김동렬 2012-04-03 9534
1744 완벽보존’ 새끼 매머드 발견 image 1 김동렬 2012-04-05 11145
1743 상호작용설이 옳다는 결정적인 증거 image 1 김동렬 2012-04-11 4089
1742 벌인척 하는 벌레 image 4 김동렬 2012-04-16 6248
1741 과학의 25가지 난제들 2 김동렬 2012-04-19 5654
1740 한옥 짓는 순서 2 김동렬 2012-05-07 6468
1739 진화 - 과학의 붕괴 image 1 김동렬 2012-05-17 4502
1738 제민일보 칼럼 - 방향을 이야기하는 교육 3 ahmoo 2012-05-30 3191
1737 진화의 오류? image 10 김동렬 2012-06-06 15596
1736 하나부터 열까지 다 허튼소리. image 4 김동렬 2012-07-03 4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