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7]현강
read 1460 vote 0 2020.08.07 (08:16:16)

공간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여 어떻게 우주를 설명할 수 있을까? 부분되는 언어를 사용하여 어떻게 전체를 설명할 수 있을까? 유튜브 과학 채널에서 어차피 인간은 아무것도 알 수 없다는 널리고 널린 댓글들의 숨은 전제이다.

이런 난맥을 극복하고자 과학자들은 온갖 어려운 용어들을 발명해서 제시한다. 암흑 에너지나 수십 차원이나 다중우주 따위이다. 그러면 독자들은 '음 과연 내가 짐작하기도 힘든 단어들을 사용하는 군'거리며 보다 신빙성을 느낀다.

혹은 아직도 불만족하여 더 끝판왕되는 'ㄴㅇㄹㄷㅈㅂㅊ' 같은 말을 제시하라고 요구한다. 사실 자신이 뭐에 불만인지도 잘 모르는 것이다. 하지만 사실이지 공간이라는 말에는 공간이 없다. 그러므로 애초에 단어 하나 가지고 꼬투리 잡을 이유도 없다.

구조론에 따르면 인간은 숫자를 말하지만 진법을 복제해낸 거다. 마찬가지로 단어를 말하지만 문법을 복제해내어 그 단어가 뜻을 가지게 한다. 동등한 단어들의 나열은 합이다. 그런데 그 단어들이 문법에 맞추어 나열된다면 그건 곱이다.

부분의 합식은 여전히 부분이지만 부분의 곱식은 전체에 대한 묘사이다. 교환법칙이나 결합법칙이 성립하지 않도록 정의된 곱셈은 그 자체로 문법을 가리킬 수도 있다. 두 단어의 나열이라도 그 순서가 바뀌면 전혀 다른 전체 의미를 가르킬 수 있다.

숲의 피아노와 피아노의 숲은 다르다. 숲과 피아노나 피아노와 숲은 같다. 유튜브 댓글의 포기주의는 합의 교환법칙이라는 순환에 갖힌 답답함이다. 무한순환 무한교환은 공짜라서 좋을 듯 하지만 사실 값어치가 없다는 말과도 닿는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6184
1755 자와 콤파스. 1 아제 2010-02-06 5372
1754 툰서방의 구조론 image 1 양을 쫓는 모험 2010-03-02 5371
1753 탄허스님의 깨달음 image 2 김동렬 2016-05-09 5366
1752 대답해도 되는 질문 17 김동렬 2013-07-09 5343
1751 왕의 시대 그리고 민중의 시대 image 5 김동렬 2015-02-09 5342
1750 구조론적 육아법 2 김동렬 2012-02-20 5342
1749 손톱 발톱 모래톱 image 3 김동렬 2012-01-03 5341
1748 질문)구조론을 읽다가..질. 량. 아시는분? 2 x맨의 비극 2007-11-30 5341
1747 국민 불패 선거 구조 2 ░담 2010-06-03 5337
1746 파시즘의 도래 가능성 1 선풍기 2009-03-01 5318
1745 교사란 무엇일까요? 4 후추 2009-02-23 5287
1744 서늘한 날. image 3 참삶 2009-01-16 5283
1743 쉬어가며 읽는 글: 서로 다른 관점이 낳는 오해의 예 2 기준님하 2009-07-21 5277
1742 이스터 섬의 진실 4 김동렬 2014-06-30 5274
1741 질문 - 숨은 전제를 찾아보세요. 8 김동렬 2013-02-09 5271
1740 내가 미친건가? 13 오세 2010-02-17 5264
1739 장안생활 격주 목요모임 image 오리 2023-04-26 5261
1738 뭔가 예언한 윤태호의 이끼 결말 image 김동렬 2016-11-20 5258
1737 통짜, 통짜 덩어리란 말 4 굿길 2010-01-05 5257
1736 구조론 3줄 요약 바람21 2022-07-31 52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