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7]현강
read 1203 vote 0 2020.07.25 (11:31:56)

뭔가에 외력을 가하면 그 뭔가의 안에서의 관계쌍에 따라 외력이 처리되어 결과를 내놓는다. 두 남녀가 있다면 둘이 무슨 관계인지는 불확정적이다. 그런데 관측자인 내가 여자한테 가서 말을 거는 외력을 가한다고 치자.

옆에 있던 남자가 같이 주의를 기울인다는 결과를 보인다면 이 둘이 서로 아는 관계였음을 추론할 수 있다. 이번엔 관측자인 내가 둘 중 한명에게 대쉬를 하는 외력을 가한다. 이때 옆에서 다른 한명이 연동되는 결과값이 나온다면?

그 둘이 연인관계임을 추론할 수 있다. 혹은 다른 한 명이 연동되지 않는 정보값이 나온다면 그 둘이 연인관계는 아님을 추론할 수 있다. 그런데 나한테 대쉬를 받은 여자가 멀뚱멀뚱 있던 남자에게 이럴거면 썸타지 말자는 신호를 보낸다면?

이 대목이 키포인트다. 둘 사이 라인과 외력과의 관계는 둘 사이로 복제된다. 둘 사이 라인이 연인이냐 썸이냐 그냥 지인이냐에 따라 외력인 나의 추근댐과의 관계가 설정되는 것이 사건의 시작이다.

이러한 계외부와 내부 간 상부구조의 관계가 계 내부 하부구조 남녀 라인을 타고 복제된다. 최종적으로 남자가 화를 내든 가만히 서있든 그러다가 여자에게 핀잔을 듣든 하는 식으로 량이라는 정보가 배출된다.

즉 둘 사이 라인은 외력이 가해져서 정보를 토해내기 전까지 서로에 대하여 불확정적인 관계이다. 다만 최초 외력과 계의 대칭 단계에서 이미 최후 배출되는 량은 확정된다. 설사 연인관계였더라도 대쉬 받는 애인을 두고 멀뚱멀뚱 한다면?

그 순간 관계를 쫑나고 남남사이로 강등되어버린다. 구조론에서 강조하는 라인은 한 번 개설하면 천년만년 가는 것이 아니라 상시 긴밀하게 유지되어야 작동한다. 이에 주체성이 요구된다. 계 내부의 둘은 사이 관계를 기준으로 쌍으로 성립한다.

그 이전에 계 내부 관계와 외부 외력은 사이 계를 기준으로 쌍으로 성립한다. 관계가 하부구조를 통제하려면 먼저 그 관계는 외력에 대하여 팔팔하게 살아있어야 한다는 게 상부구조이며 추론의 근거다. 이게 이렇게 변할 때 저게 저렇게 변하는 연동 비율이 관계의 긴밀함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775
1747 몸속에는 항체의 유전자를 몇 개로도 나누어 부품화해서 가지고 있다. 4 오세 2012-02-02 3936
1746 기술결정론 vs 도구주의 1 오세 2012-02-12 7544
1745 구조론적 육아법 2 김동렬 2012-02-20 5285
1744 모티브교육으로 가야 한다. ahmoo 2012-02-26 3975
1743 김유신묘 관련 이야기 조금 더 김동렬 2012-03-04 4956
1742 척추동물의 탄생? 4 김동렬 2012-03-06 4284
1741 원시 언어는 존재한다. 1 오세 2012-03-11 4599
1740 최신 심리치료 ACT, 하지만 갈 길이 아직 멀다. 2 오세 2012-03-11 4722
1739 모듈진화의 증거 7 김동렬 2012-03-12 4515
1738 폭력에 대한 구조론적 접근: 폭력의 자궁은 바운더리의 침해. 1 오세 2012-03-22 4074
1737 혈액형별 유명 운동선수 비율 image 4 김동렬 2012-04-03 9464
1736 완벽보존’ 새끼 매머드 발견 image 1 김동렬 2012-04-05 11095
1735 상호작용설이 옳다는 결정적인 증거 image 1 김동렬 2012-04-11 4058
1734 벌인척 하는 벌레 image 4 김동렬 2012-04-16 6196
1733 과학의 25가지 난제들 2 김동렬 2012-04-19 5601
1732 한옥 짓는 순서 2 김동렬 2012-05-07 6415
1731 진화 - 과학의 붕괴 image 1 김동렬 2012-05-17 4459
1730 제민일보 칼럼 - 방향을 이야기하는 교육 3 ahmoo 2012-05-30 3153
1729 진화의 오류? image 10 김동렬 2012-06-06 15462
1728 하나부터 열까지 다 허튼소리. image 4 김동렬 2012-07-03 42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