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론 방송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1313 vote 0 2020.07.16 (16:58:35)

https://youtu.be/fNdbDBhy2RQ



 


    어제 방송한 내용의 2부입니다.


   게이는 이성애자 남자를 좋아하지 게이를 좋아하지 않는다. 현실적인 제약에 의해 게이를 선택하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파트너가 쉽게 바뀐다. 물론 사람에 따라 다르지만 말이다. 지조가 없어서 그런게 아니고 원래 본능과 충돌하는 모순된 부분이 있다. 


    이런 발언은 위험하다. 그러나 내친 걸음이다. 고정관념을 깨고 한 꺼풀 더 벗겨보자. 페미니즘은 여성주의다. 남자가 여자를 지배하고 주도하는게 잘못되었다면 여자가 여자를 지배하거나 주도하는 것은 정당한가? 레즈비언이 여성주의를 주도한다면? 


    그 레즈비언이 남자의 뇌를 가졌다면? 페미니즘이 잘못 가면 결국 남자의 뇌를 가진 사람이 여자를 지배하는 결과로 되어버린다. 소수파는 언제나 이런 식으로 뒤틀릴 위험이 있다. 이상하게 왜곡되고 변질된다. 진보는 반드시 다수파를 지향해야 한다. 


    남성과 여성이라는 대립구도를 만들면 판이 왜곡된다. 소수파 안에서 더 소수파가 권력을 잡는 것이다. 점차 극단적인 성향을 가지고 폭주한다. 본질에서 벗어나 점차 산으로 간다. 강자와 약자라는 큰 틀 안에서 진보의 전략을 수립하지 않으면 안 된다. 


    마초를 비판하다가 울산 창원의 남자 노동자가 정의당을 떠나게 만든다. 약자의 연대라는 대의를 저버리고 단기적인 성과에만 집착하다가 꼴이 우습게 된다. 소수자의 딜레마다. 소수파에게 권력을 주면 감당하지 못한다. '거 봐 안되잖아.' 이렇게 된다.


    내부의 역량을 기르는게 먼저다. 인간은 시행착오와 오류시정에 의해 진보하는 동물이므로 감당을 못해도 일단 도전해야 한다. 중요한 것은 그런 위험이 잠재해 있다는 사실을 정확히 아는 것이다. 소수파의 승리>시행착오 의한 개혁실패>반동의 등장.


    반동과의 투쟁>역량의 강화>소수파의 재도전>개혁의 성공이라는 코스를 밟으며 우여곡절 끝에 진보하게 되는게 보통이다. 역사는 언제나 일직선으로 곧장 가지 못하고 중간에 한 번 뒤틀렸다가 실패를 맛 보고 주저앉았다가 다시 부활해서 겨우 간다. 


    ###


    게이를 좋아하는 게이는 동성애자가 아니라 게이성애자라고 불러야 할 것이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201 제 190회 2부 공자가 가르친 사람의 도리 1 오리 2020-04-12 1336
200 제 114회 준비자료 5 김동렬 2018-10-21 1336
199 판사와 도둑 나경원 VS 전여옥 김동렬 2023-01-15 1334
198 제 103회 준비자료 image 1 김동렬 2018-08-05 1334
197 제 188회 2부 박사방 그리고 거짓말의 향연 오리 2020-03-29 1333
196 제 182회 2부 의리가 진짜다. 오리 2020-02-16 1329
195 제 143회 준비자료 김동렬 2019-05-12 1329
194 제 187회 2부 유발 하라리의 오판과 진실 오리 2020-03-22 1327
193 제 130회 구조론 열린방송 준비자료 김동렬 2019-02-10 1325
192 유시민과 김어준의 쌍두마차 김동렬 2023-01-08 1323
191 나라 망치는 감성팔이 신파정치 한동훈 김동렬 2023-12-19 1322
190 제 196회 1부 광주, 우리에게는 에너지가 있었다. 오리 2020-05-21 1320
189 제 147회 준비자료 김동렬 2019-06-09 1320
188 제 162회 준비자료 1 김동렬 2019-09-22 1319
187 제 126회 팟캐스트 준비자료 7 김동렬 2019-01-13 1319
186 철학이란 무엇인가? 김동렬 2020-07-23 1318
185 제 176회 2부 이춘재의 욕망동기 오리 2020-01-05 1315
184 제 128회 2부. 허무와 초인 ahmoo 2019-02-04 1315
» 게이는 게이를 좋아하지 않는다 김동렬 2020-07-16 1313
182 권력생산 마크롱 권력소비 르펜 2 김동렬 2022-04-25 1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