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830 vote 0 2020.06.03 (17:24:23)


    아킬레스와 거북이


    우리는 수학을 통해 세상을 바라보지만, 수학도 한계가 있다. 수학의 논리는 관계의 논리다. A면 B다. 그냥 A는 불성립이다. 사과가 1이면 배는 2고, 감은 3이다. 그런데 그것이 과연 사과인가? 사과 통조림이잖아. 벌레 먹은 사과는? 풋사과를 들고 오면 어쩌자는 거냐? 그것은 관측자인 인간의 사정이다. 수학은 자체적으로 완전하다.


    인간과 수학이 만나는 접점의 문제는 해결되지 않는다. 혹은 자연과 수학의 접점이라고 말할 수도 있다. 수학의 모든 규칙은 수학원리 안에서 해결된다. 수학 자체는 무오류의 완전한 세계이지만 수학에 관측자인 인간을 대입하거나 혹은 자연을 대입하는 절차는 당연히 불완전하다. 프로야구라고 치자. 스트라이크존은 불완전하다.


    미국인은 키가 커서 위아래가 후하고 일본은 키가 작아서 좌우폭이 후하다. 그런데 롯데는 짜게 판정하고 기아는 후하게 판정한다든가 하는건 완벽하게 대응할 수 있다. 수학은 롯데와 기아 중에서 공정하게 판정할 것을 기대할 뿐이다. 어쨌든 수학의 체계는 완전하다. 그런데 우리가 무엇을 수학으로 볼 것이냐다. 수학은 비례다. 


    비례가 1 대 1이든 1 대 2든 1 대 3이든 나란하다. 풍선에 비유할 수 있다. 풍선에 공기를 많이 집어넣으면 크고 작게 집어넣으면 작다. 즉 우리가 따지는 비율의 숫자는 풍선에 들어간 공기를 나타내는 것이다. 바람을 많이 넣으면 커지고 적게 넣으면 작아진다는 원리 자체가 비례이며 그 비례는 나란하며 그러므로 완전한 것이다. 


    그러나 그 풍선에 물을 집어넣으면? 흙을 넣으면? 돌을 넣으면? 이는 결정론의 오류다. 수학이 완전하므로 물질도 완전하다는 것은 터무니없는 착각이다. 물질은 물질이고 수학은 수학이며 수학은 비례이고 비례가 완전한 것이며 그 둘의 연결지점은 애매하고 불완전하다. 그리고 우리는 물질의 문제를 수학의 문제로 착각한다. 


    결정론적 사고가 위험한 것은 그 때문이다. 아킬레스와 거북이 패러독스는 이러한 착각에 기인한다. 수학이 완전하므로 수학에 무엇을 대입해도 완전해야 한다는 믿음은 터무니없다. 완전이라는 개념을 잘못 해석한 것이다. 풍선효과는 이상기체를 넣었다고 가정한 것이며 자연에 이상기체는 없지만 그렇다고 치고 말하는 것이다. 


    기체는 높은 온도와 낮은 압력에서 이상기체에 가까워진다. 우주 안에 완전한 것은 비례밖에 없고 비례는 나란하며 그 나란함이 완전할 뿐 다른 데서 완전함을 찾으면 안 된다. 이상적인 풍선에 이상기체를 넣으면 그 풍선효과가 완전하다. 비례의 완전성은 우주 안의 모든 것은 일정한 조건을 걸어 대칭을 만들 수 있다는 의미다.


    아킬레스와 거북이의 현실속도는 다르지만 일정한 조건을 걸어서 둘의 속도를 일치시킬 수 있다. 우주공간에서 아킬레스와 거북이의 상대속도는 완전히 같다. 어떤 것이든 일정한 조건을 부여하여 나란함을 끌어낼 수 있다. 그것이 수학의 완전성이다. 골프는 핸디캡을 부여하고 경주마는 부담중량을 이용하여 나란함을 끌어낸다. 


    물론 당구장에서 점수를 속이는 짓은 얼마든지 일어난다. 물질은 완전하지 않다. 에너지가 이상기체의 성질을 가지므로 투박하지만 완전하다고 간주하는 것이다. 이쪽에서 없어진 것은 저쪽에 모여 있다. 완전한 것은 비례와 비례를 통한 대칭과 대칭을 통한 나란함뿐이지만 한 가지 완전함에 의지해 우리는 세상을 해석할 수 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5783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5603
4872 동영상강의 일부 해설 김동렬 2009-08-31 16220
4871 양자구조론 1 김동렬 2009-09-07 14811
4870 관계를 깨닫기 김동렬 2009-09-11 16104
4869 잡다한 이야기 김동렬 2009-09-14 16711
4868 발달린 뱀 image 1 김동렬 2009-09-16 21455
4867 정복해야 할 세 극점 3 김동렬 2009-09-17 15688
4866 서북에서 부는 바람 2 김동렬 2009-09-22 15682
4865 인생에 정답은 있는가? 4 김동렬 2009-09-22 17363
4864 학문의 족보 2 김동렬 2009-09-24 17045
4863 구조차원 개념 image 3 김동렬 2009-09-29 16088
4862 과학을 보내고 미학을 맞는다 5 김동렬 2009-10-01 14698
4861 미학으로 확 바꿔라 6 김동렬 2009-10-06 15197
4860 미학은 전복이다 image 7 김동렬 2009-10-08 15735
4859 갈라파고스 일본 김동렬 2009-10-13 15898
4858 앎, 믿음, 사랑 2 김동렬 2009-10-15 16136
4857 과학과 미학의 전략 6 김동렬 2009-10-16 15970
4856 르네상스적 인간 5 김동렬 2009-10-20 14991
4855 새로운 시선[업글판] image 4 김동렬 2009-10-21 15636
4854 소실점의 소실점(업데이트) 2 김동렬 2009-10-25 15583
4853 신과 종교와 인간 4 김동렬 2009-10-28 157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