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systema
read 1468 vote 0 2020.05.06 (05:42:36)

상대와의 대화라는 언어의 형식이 사고를 제한한다. 대화는 대상이 있어야 하고, 그 대상과의 대칭관계로 대화를 만들어가기 때문이다. 대칭이냐 비대칭이냐, 상대어냐 절대어냐의 문제가 있다. 

타자성의 문제와도 통한다. 나와 타자사이의 벽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토대를 확보해야 한다. 토대가 절대어다.

사건을 통제하려는 사람은 토대를 확보해야하고, 사건을 언어에 반영하려면 절대어를 확보해야 한다. 

즉 핑퐁형식의 대칭관계를 넘어서, 절대어의 비대칭적 전개를 언어화해야 한다. 

문명의 지속가능한 발전 혹은 지속가능성이라는 단어가 유행했던 적이 있다. 누군가가 머리를 써서

만들어낸 멋진 단어다. 사건이 반영된 언어는 토대(에너지원)을 확보해 비대칭적으로 자체 전개할 수 있다.


타자와의 경계선에 전율해야 한다. 먼저 토대를 확보해야 발언권을 얻는다.

인간들은 멋쩍은 웃음으로 경계선의 문제를 해결하려 하지만 동물의 방법이다. 

언어가 당당해야 한다. 절대어를 확보해야 한다.

한쪽에서는 문명, 사회, 역사, 진보, 진리를 이야기하는데 한쪽에서 나, 너를 이야기하면 언어의 격이 떨어지는 것이다.

결국은 언어의 문제에 관점의 문제가 연동된다. 상대어냐 절대어냐에 따라 자신이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이

드러나는 것이다. 세상을 통합의 관점으로 바라볼 수 있어야 사회적 발언권을 얻는다. 


[레벨:15]오민규

2020.05.27 (22:59:04)

"상대와의 대화라는 언어의 형식이 사고를 제한한다."
언어는 대화하는데 맞추어져 있는데 언어를 가지고 사고를 하니 뭔가 문제가 생기는 것 아닌가 싶네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713
1687 요즘 초딩들은 무서워. image 김동렬 2015-05-06 5040
1686 이야기를 만드는 방법 1 김동렬 2013-10-21 5040
1685 남녀간의 사랑에 대해서 질문 드립니다. 1 자유 2008-11-09 5038
1684 여전한 서구의 인종주의 6 김동렬 2013-08-25 5037
1683 집 한 채의 미학. 6 아제 2010-02-04 5037
1682 답이 나온 문제 18 김동렬 2013-02-27 5021
1681 뇌에 ‘유령 신경세포’ 많다 2 김동렬 2011-01-18 5016
1680 이 거짓말에 대해 논해보시오. 7 김동렬 2013-08-18 5014
1679 쉬어가며 읽는 글: 우리는 왜 자본주의를 해야하는 거죠? 기준님하 2009-07-23 5003
1678 노무현이 죽는 이유 그리고 우리가 필승하는 방법 4 이기준 2009-07-22 5003
1677 [질문] 개념도에 나오는 모래시계의 사례에서. 3 르페 2009-01-06 4995
1676 '기준님하'의 '노무현이 죽는 이유에' 대한 댓글. 3 눈내리는 마을 2009-07-24 4989
1675 진화의 목적은 없는가? 9 김동렬 2013-12-29 4987
1674 시스템에서 감각으로 5 양을 쫓는 모험 2009-06-04 4980
1673 본격 변희재 때리는 만화 image 7 김동렬 2016-10-10 4976
1672 존재론과 인식론 아제 2010-12-09 4973
1671 구조론 1번 읽은 기념 글쓰기 image 3 이상우 2010-01-31 4971
1670 남자는 진보의 적이다 image 4 김동렬 2013-06-26 4964
1669 김유신묘 관련 이야기 조금 더 김동렬 2012-03-04 4955
1668 근원의 표정 image 8 ahmoo 2011-03-09 49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