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실
프로필 이미지
[레벨:9]systema
read 1467 vote 0 2020.05.06 (05:42:36)

상대와의 대화라는 언어의 형식이 사고를 제한한다. 대화는 대상이 있어야 하고, 그 대상과의 대칭관계로 대화를 만들어가기 때문이다. 대칭이냐 비대칭이냐, 상대어냐 절대어냐의 문제가 있다. 

타자성의 문제와도 통한다. 나와 타자사이의 벽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토대를 확보해야 한다. 토대가 절대어다.

사건을 통제하려는 사람은 토대를 확보해야하고, 사건을 언어에 반영하려면 절대어를 확보해야 한다. 

즉 핑퐁형식의 대칭관계를 넘어서, 절대어의 비대칭적 전개를 언어화해야 한다. 

문명의 지속가능한 발전 혹은 지속가능성이라는 단어가 유행했던 적이 있다. 누군가가 머리를 써서

만들어낸 멋진 단어다. 사건이 반영된 언어는 토대(에너지원)을 확보해 비대칭적으로 자체 전개할 수 있다.


타자와의 경계선에 전율해야 한다. 먼저 토대를 확보해야 발언권을 얻는다.

인간들은 멋쩍은 웃음으로 경계선의 문제를 해결하려 하지만 동물의 방법이다. 

언어가 당당해야 한다. 절대어를 확보해야 한다.

한쪽에서는 문명, 사회, 역사, 진보, 진리를 이야기하는데 한쪽에서 나, 너를 이야기하면 언어의 격이 떨어지는 것이다.

결국은 언어의 문제에 관점의 문제가 연동된다. 상대어냐 절대어냐에 따라 자신이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이

드러나는 것이다. 세상을 통합의 관점으로 바라볼 수 있어야 사회적 발언권을 얻는다. 


[레벨:15]오민규

2020.05.27 (22:59:04)

"상대와의 대화라는 언어의 형식이 사고를 제한한다."
언어는 대화하는데 맞추어져 있는데 언어를 가지고 사고를 하니 뭔가 문제가 생기는 것 아닌가 싶네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구조론 매월 1만원 정기 후원 회원 모집 image 29 오리 2020-06-05 82709
1687 오랑캐와 오랑우탄 김동렬 2012-10-30 6700
1686 한글의 과학성 김동렬 2012-10-30 7165
1685 다음 시대의 강자를 마중하는 복지가 정치의 일이다 이성광 2012-11-03 3366
1684 마음의 하루. 1 아제 2012-11-03 2881
1683 마음의 방향. 2 아제 2012-11-03 3450
1682 혼자 가기로 했다 2005 05 26 image 3 눈내리는 마을 2012-11-04 3256
1681 최악의 디자인은 이런 거. image 3 김동렬 2012-11-04 4891
1680 싸이와 함께 말춤을 3 ahmoo 2012-11-05 3325
1679 복권 당첨~! 1 아제 2012-11-10 3141
1678 깨달음 시험문제 7 김동렬 2012-11-10 4452
1677 과잉이 대박이 어미다 2 ░담 2012-11-11 3203
1676 시험문제 2 - 아이유 뭐가 문제? 16 김동렬 2012-11-12 5561
1675 시험문제 3 - 성철과 숭산 15 김동렬 2012-11-13 5195
1674 옷 잘 입는 순서 image 4 김동렬 2012-11-19 4814
1673 한겨레 또 이론을 바꾸다 1 김동렬 2012-11-20 4721
1672 우리 몸의 6가지 미스터리 4 김동렬 2012-11-23 5997
1671 바루거나 즐기거나 5 이성광 2012-11-28 3431
1670 존엄 즐기기 ░담 2012-12-03 3406
1669 팀플레이가 정답 3 김동렬 2012-12-09 4239
1668 도를 넘은 문제행동은 이제 학급차원의 해결책을 넘어... 5 이상우 2012-12-12 36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