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433 vote 0 2020.04.25 (08:27:12)

      
    차원 5의 의미


    우주 안의 모든 것은 차원 5로 존재한다. 그럼 3차원 입체는 뭐냐? 거기에는 관측자가 있다. 관측자와 0차원을 포함하면 5다. 어떤 입자에 외력이 작용하면 당연히 깨진다. 깨지면 존재가 아니다. 여기서 입자는 체다. 체는 4다. 외력 1을 더하면 5다. 깨지지 않으면? 그 경우 외력을 내부에서 처리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외력의 작용에 따른 모순을 내부에서 처리하는 것이다. 이때 외력은 들어왔다 나갔으므로 논외가 되고 체의 4에 그 외력을 처리하는 내부 구심점 1을 더하여 5다. 즉 자연은 어떤 경우에도 5일 수밖에 없으며 깨진 5와 멀쩡한 5가 있을 뿐이다. 가솔린의 폭발이나 물체의 파괴는 본래 5에서 1이 밖으로 빠져나간 것이다. 


    물체의 모서리를 때리면 떨어져 나간다. 여기서 모서리는 4 + 외력은 1 = 5가 된다. 즉 가만히 있는 물체는 내부에 무게중심을 가져서 5가 되며 그렇지 않은 물체는 깨지면서 그 운동을 포함하여 5가 되며 언제든지 5다. 깨진 것은 논외로 치고 구조가 안정된 5는 입체 내부에 외력을 극복하는 구심점이 하나 더 있다. 


    예컨대 가족 5명과 지나가는 행인 5명은 다른 거다. 가족 5명은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계를 이루고 가족이 아닌 경우는 계를 이루지 못했으므로 체다. 외력이 작용하면 가족은 뭉쳐 하나로 대항하겠지만 지나가는 행인들은 흩어져 버린다. 에너지는 뭉친 에너지와 흩어진 에너지가 있고 특별히 뭉친 에너지는 계다.


    플라즈마가 3천도 이하로 식으면 일정한 압력에서 뭉치기 시작한다. 그 이상의 온도와 다른 압력이면 흩어져 버린다. 흩어지면 논외가 되고 뭉치면 비로소 사건이 시작된다. 흩어진다는 것은 의사결정이 밖에서 일어난다는 것이다. 거기에는 내부질서가 없으므로 계의 통제가능성이 없다. 그러므로 논외가 되는 것이다. 


    그러나 흩어진 가스도 실린더에 가두면 통제가 된다. 여기서 실린더가 추가되므로 역시 5다. 자연은 언제나 5이며 그 5가 어떤 대상 내부질서로 있으면 통제가능하고 반대로 체4+운동1로 5가 되면 돌아다니므로 통제되지 않아 사건을 조직하지 못한다. 이 경우는 어떤 용기에 가두어 5를 끌어내는 방법으로 통제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2266
6266 인간의 길(업데이트) 김동렬 2022-02-16 2411
6265 결정론과 확률론 3 김동렬 2022-11-20 2411
6264 무속인 쿠데타 빨갱이 김동렬 2023-10-31 2411
6263 인류문명의 맹점 김동렬 2022-02-07 2413
6262 하나의 단일자 김동렬 2023-10-02 2413
6261 원삼국의 문제 김동렬 2021-12-11 2418
6260 영혼의 의미 김동렬 2023-10-25 2419
6259 변화를 보는 눈 김동렬 2023-11-01 2420
6258 제주도사람과 호남사람 김동렬 2023-02-26 2422
6257 신의 입장 김동렬 2023-05-08 2422
6256 3의 발견 김동렬 2022-07-15 2424
6255 한국인들의 민주주의 멀미 김동렬 2023-08-13 2425
6254 검수완박 대환영 윤석열 1 김동렬 2022-04-20 2426
6253 구조론의 출발점 2 김동렬 2022-12-19 2426
6252 삼국지 인물론 김동렬 2023-11-01 2427
6251 지능에 도전하자 김동렬 2022-07-13 2428
6250 마리 앙투아네트 김건희 김동렬 2024-01-20 2429
6249 조국돌풍의 이유 1 김동렬 2024-03-25 2429
» 차원 5의 의미 김동렬 2020-04-25 2433
6247 신데렐라 이야기 1 김동렬 2022-12-21 24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