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696 vote 0 2020.04.08 (15:16:47)

1177.jpg

 우주 안의 모든 존재는 사면체이며 풀어놓으면 천칭저울 모양이 되고 

            W자나 M자 혹은 S자 혹은 용수철모양이 된다. 

                    이보다 복잡한 구조는 없다. 

      하나를 추가하면 반드시 하나가 이탈하기 때문이다.

  안철수가 인재 한 명을 영입하면 반드시 한 명이 나가는 이치다.

복잡은 중복과 혼잡이며 같은 것의 반복인 중복과 이질적인 것의 혼잡을 제거하면

            존재는 언제나 모래시계이거나 구멍 뚫린 콘돔이다. 

모래시계 속을 모래가 관통하듯이 중력이 혹은 외력의 작용이 항상 흐르고 있다.

     손으로 잡아서 차원을 추가하면 반드시 뒤로 하나가 이탈한다.

차원의 이해는 면이 아닌 각을 중심으로 해야 하는 이유는 각의 꼭지점이 멈추기 때문이다.

      모든 존재는 반드시 멈춤점을 가지며 사격선수가 호흡을 멈추고 

                 단거리 주자가 무산소운동을 하듯이 

    모든 변화는 멈춤에 의해 격발된다는 사실을 파악하기 쉽기 때문이다. 

         면은 귀납적 접근이며 귀납하면 이러한 본질이 은폐된다. 

            멈춤점을 파악하지 못하면 대상을 통제할 수 없게 된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7750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updateimage 7 김동렬 2024-06-12 937
6099 교양 없는 한국인들 김동렬 2023-07-25 2670
6098 뒤끝 있는 민주주의 1 김동렬 2022-10-19 2671
6097 남성이 가슴에 집착하는 이유 김동렬 2023-07-19 2677
6096 권력균형 김동렬 2023-09-11 2677
6095 핀란드인의 행복 1 김동렬 2022-04-05 2679
6094 프레임을 걷어라 김동렬 2022-09-18 2680
6093 원인은 조절장치다 김동렬 2021-05-02 2681
6092 게임과 권력 그리고 보상 1 김동렬 2020-08-17 2685
6091 구조는 만물의 척도다 김동렬 2020-04-11 2687
6090 다시 쓰는 구조론 김동렬 2021-10-24 2687
6089 존재론 인식론 김동렬 2021-11-20 2687
6088 구조론 한 마디 김동렬 2021-12-01 2687
6087 목줄에 묶인 개 김동렬 2022-03-06 2688
6086 윤석열의 운명 김동렬 2022-05-03 2688
6085 의사결정이 존재다. 김동렬 2020-10-29 2689
6084 구조론 김동렬 2021-10-24 2689
6083 닫힌계 1 김동렬 2020-03-19 2690
6082 우리들의 일그러진 김동길 1 김동렬 2022-10-06 2691
6081 구조는 에너지의 구조다. 1 김동렬 2019-11-06 2694
6080 차원의 전개 1 김동렬 2020-03-27 26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