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872 vote 2 2020.03.07 (21:10:35)

      
    인간의 이야기


    내일 지구에 종말이 오더라도 어제 심던 사과나무를 계속 심는 일 외에는 달리 할 것이 없다는 것이 인간의 비참이다. 버킷리스트 아이디어가 있지만 영화에나 나오는 이야기다. 실제로 죽음을 앞둔 사람은 '이웃집 철수엄마에게 빌린 돈 5만 원을 대신 갚아달라.'는 식의 사소한 부탁이나 할 뿐 그런 거창한 계획은 세우지 못한다. 그만한 에너지가 없기 때문이다. 의욕이 일어나지 않는다. 


    이왕 인간으로 태어났다면 동물과는 다르다는 점을 보여야 한다. 어디서 와서, 무엇을 하고, 어디로 가는지 정도는 알아야 한다. 하느냐 아니면 당하느냐다. 이리 휘둘리고 저리 떠밀리며 당하고 사는 것이 인생이다. 알면 일관된 계획을 세울 수 있고 환경의 변덕에 맞대응할 수도 있다. 그리하여 이길 수 있다. 어디서 왔는지는 모르나 어디쯤 와 있고 어디로 가는지는 구조론으로 알 수 있다.  


    나는 그냥 태어났다. 승낙한 바 없고 사인한 바도 없다. 태어나 보니 출발선에 서 있었다. 총성이 울렸다. 남들이 뛰어나가길래 나도 뛰어갔다. 그러다가 금새 뒤처졌다. 이것들이 다들 어디로 몰려가는 거지? 경쟁은 자신이 없고 지름길을 찾기 시작했다. 씨앗은 그냥 주어졌다. 싹이 트면 가꾸고 꽃 피우는 절차는 알 수 있다. 이 우주가 왜 있는지는 알 수 없다. 어디로 흘러가는지는 알 수 있다. 


    갈 수 있는 곳으로 간다. 갈 수 없는 곳으로는 당연히 못 간다. 무엇이 정답인지는 알 수 없으나 무엇이 오답인지는 알 수 있다. 오답을 전부 쳐내면 남는 것이 정답이다. 거기서 방향성을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부단히 거짓을 타파할 뿐이다. 최초에 완전성이 있었다. 환경의 변화에 맞게 그것을 풀어내는 것이다. 그것이 왜 있는지는 모르지만 어쨌든 그것은 있고 어디로 가는지는 알 수 있다. 


    1이 왜 1인지는 알 수 없지만 누가 1을 정해주면 2는 내가 알 수 있다. 3도 알아낼 수 있다. 첫 단추를 끼워주면 두 번째 단추를 스스로 끼울 수 있다. 세 번째 단추도 끼울 수 있다. 어디서 왔는지는 모르나 어디에 있는지는 알 수 있고 어디로 가야 하는지도 알 수 있다. 어디로 가는지를 헤아리면 그 이어지는 선들의 소실점에서 어디서 왔는지도 희미하게 파악할 수 있다. 출발점을 가늠할 수 있다.


    더 무엇을 바라겠는가? 나는 기록을 남길 수 있다. 몇 사람이 이 기록을 보는가는 그들의 역량과 수준에 달린 것이다. 수준이 안되는 자들이 본다는 것은 좋은 소식이 아니다. 볼 사람이 봐야 한다. 들을 귀 있는 자가 들어야 한다. 갈 사람이 가야 한다. 할 사람이 해야 한다. 남들을 쳐다보고 조바심 내는 일이 없이 태연할 수 있다면 인생은 그다지 성공이다. 세상 별거 아니고 인생 별거 아니더라. 


    좋은 것도 없고 나쁜 것도 없더라. 할 수 있는 것과 할 수 없는 것이 중요하다. 좋은 것은 못 해도 되지만 할 수 있는 것은 해야 한다. 나쁜 것을 피하지 않아도 무방하나 할 수 없는 것은 피해 가야 한다. 인생은 좋은 것과 나쁜 것 사이에서의 선택이 아니라 할 수 있는 것과 할 수 없는 것 사이에서의 선택이다. 때로는 좋은 것을 먹고 때로는 나쁜 것도 먹게 되더라만 못 먹는 것은 안 먹는게 맞다.


    나는 많은 좋은 것들을 차지하지 못했고 많은 나쁜 것들을 피해 가지도 못했다. 구조론은 내가 할 수 있기에 하는 것이다. 포기할 수 있는 것을 포기하는 것도 지혜가 된다. 하면서 깨닫는 것은 내가 등판하기 전에도 많은 이야기가 있어 왔다는 사실이다. 어디서 왔는지 모르나 커다란 이야기의 흐름 속에 내가 있는 것이다. 더 좋은 길은 선택할 수 없으나 갈 수 있는 길은 끝까지 가보는 거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1]수피아

2020.03.08 (05:51:55)

"어디서 왔는지는 모르나 어디쯤 와 있고 어디로 가는지는 구조론으로 알 수 있다" _오늘의 문장

[레벨:15]떡갈나무

2020.03.08 (10:43:45)

인간의 이야기에 수도 없이 귀기울여 지는건 그 이야기속에 계획과 희망이 있어서겠지요.
또한 내가 사는 이유겠구요 ^^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20.03.08 (15:53:25)

"인생은 좋은 것과 나쁜 것 사이에서 선택이 아니라 할 수 있는 것과 할 수 없는 것 사이에서 선택이다."

http://gujoron.com/xe/1176343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update 2 김동렬 2024-05-27 2565
1101 방향성을 판단하라 1 김동렬 2020-11-22 2927
1100 이성은 명령이다 김동렬 2021-07-03 2926
1099 구조론은 도구다 1 김동렬 2018-11-15 2926
1098 권력과 이익 김동렬 2022-01-10 2925
1097 제법무아 제행무상 파사현정 인연구조 김동렬 2021-02-17 2925
1096 사건이 사물에 앞선다 김동렬 2021-10-24 2924
1095 구조론 입문 해설 김동렬 2020-10-29 2924
1094 에너지의 형태획득 절차 2 김동렬 2019-11-02 2923
1093 구조론은 언어다 1 김동렬 2019-10-21 2923
1092 근현대사의 진실 3 김동렬 2021-05-12 2922
1091 유전자를 남기기 위하여는 거짓이다 김동렬 2021-03-17 2922
1090 3축짐벌 구조론 김동렬 2020-11-01 2922
1089 전광훈 문제 본질은 엘리트 길들이기 1 김동렬 2020-08-23 2922
1088 1차대전의 참호전 1 김동렬 2022-01-22 2921
1087 유전자의 눈 김동렬 2021-11-14 2921
1086 구조론 1 김동렬 2021-04-23 2919
1085 과학계가 틀렸다 김동렬 2022-01-26 2918
1084 진보는 표면에서 일어난다 1 김동렬 2019-11-21 2917
1083 열역학 1법칙과 2법칙 5분 정리 4 김동렬 2020-12-26 2916
1082 엘리트의 생존법 김동렬 2022-09-28 2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