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이미지 3.jpg

     


    동지가 지나고 며칠 사이에 해가 길어진듯 하다. 알아보니 오늘은 12월 초 가장 짧을 때보다 9분이 길어졌다. 체감으로는 훨씬 더 길어진듯이 느껴진다. 사실은 동지는 해가 가장 일찍 지는 날이 아니었다. 동지날은 5시 17분이 일몰이고 가장 짧은 12월 3일은 5시 13분이다. 동지는 오히려 4분이나 오후가 길어졌다. 


    12월 3일 5시 13분이 일몰시간이니 짐작으로는 동지날은 더 짧아져서 아마 5시경일 것이고 오늘은 5시 22분이 일몰시간이니 주말에 야외로 나가다보면 일주일 사이에 무려 20분쯤 오후가 길어진듯이 착각되는 것이다. 사실은 진작부터 오후가 길어지고 있었다. 물론 일출부터 일몰까지 계산하면 동지가 가장 낮이 짧다. 


    여름 해가 가장 긴 날은 7월 4일이다. 하지보다 무려 1분이 더 길다. 엉? 거의 차이가 없잖아. 뭔가 뒤죽박죽이다. 그렇다. 동지에 가장 밤이 길고 하지에 가장 밤이 짧은 것은 맞지만 늦잠을 자느라 아침해가 뜨는 것을 보지 못하니 오후시간만 기준으로 삼으면 7월 4일이 가장 하루가 길고 12월 3일이 가장 하루가 짧다. 


    그러므로 동지만 지나면 며칠 사이에 해가 쭉쭉 길어지는 것처럼 착각되는 것이다. 지구가 자전하는 속도는 일정하지만 북위 38도 부근에서는 여러가지 이유로 균시차가 발생하여 봄가을에 하루의 길이 변화가 심하고 동지와 하지에는 변화가 적다. 12월 초는 며칠씩 일몰시간이 같고 봄가을은 하루 2분씩 당겨진다. 


    피상적으로 아는 것과 제대로 아는 것은 항상 다르다. 메커니즘이 숨어 있기 때문이다. 정지해 있는 것은 역설이 없지만 움직이는 것은 항상 역설이 있다. 그러나 역설의 역설이 있으므로 세상은 그다지 무리없이 굴러간다. 대충 통밥으로 찍어도 대충 근처는 가지만 확실하지 않다. 확실하게 알려면 구조를 알아야 한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20.01.01 (04:51:44)

"피상적으로 아는 것과 제대로 아는 것은 항상 다르다. 메커니즘이 숨어 있기 때문이다. 정지해 있는 것은 역설이 없지만 움직이는 것은 항상 역설이 있다."

http://gujoron.com/xe/1153821

프로필 이미지 [레벨:22]의명

2020.01.01 (09:17:58)

어쩐지!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이상우

2020.01.01 (18:27:42)

해가 뜨는 시간도 동지가 2주 지난 1월 5~9일쯤이 가장 늦게 뜨지요. 밤의 길이가 길다는 것에 주목하면 해뜨는 시간도 동지가 가장 늦다고 착각합니다. 밀물과 썰물현상도 위도에 따라 다르더군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0353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8250
6884 동기부여 만능주의 new 김동렬 2024-06-20 75
6883 다르마의 길 update 2 김동렬 2024-06-19 564
6882 존재와 무 김동렬 2024-06-17 587
6881 다르마를 따르라 update 김동렬 2024-06-19 637
6880 세계관 김동렬 2024-06-08 692
6879 원론 김동렬 2024-06-09 754
6878 무한사고 김동렬 2024-06-10 781
6877 지식의 원점 김동렬 2024-05-20 793
6876 구조의 빌드업 김동렬 2024-06-15 808
6875 정情과 한恨 그리고 정한情恨 2 김동렬 2024-06-13 849
6874 세계상 김동렬 2024-06-07 888
6873 호암미술관 백제의 유혹 관음상 image 4 김동렬 2024-06-13 901
6872 세상이 불공평한 이유 김동렬 2024-06-18 923
6871 신라 마립간은 무엇인가? 2 김동렬 2024-05-14 956
6870 신라금관의 비밀 2 image 3 김동렬 2024-06-13 961
6869 자아란 무엇인가? 김동렬 2024-06-12 962
6868 미래산업 정문술 명암 김동렬 2024-06-15 973
6867 코기토 논증 1 김동렬 2024-06-04 1001
6866 지도로갈문왕 수수께끼 image 김동렬 2024-05-20 1036
6865 프레임 정치의 야만성 김동렬 2024-05-30 10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