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챠우
read 1689 vote 0 2019.12.19 (23:50:51)

https://www.youtube.com/watch?v=wW2o6H3NCkw&list=WL&index=2&t=0s

영상에서는 영어인이 상대방 질문의 취지에 답하는 것이 영어 질답의 특징이라고 하는데요, 

아예 틀린말은 아니지만, 좀 더 구조적으로 접근해봅시다. 


이것 역시 영어인과 한국인의 생각차이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영어인은 하나의 사실에 대한 질문과 대답을 한다면, 

한국인은 상대의 말과 나의 말을 합하여 질문과 대답을 완성하려고 합니다. 


가령

야 너 배고파? > 배고프다면 > 응(한국인), yes(영어인)

야 너 배 안 고프지? > 배고프다면 > 아니(고파, 한국인), yes(영어인)

가 됩니다. 


이는 한국인은 문장(질문)과 문장(답변)을 이어서 의미를 완성하려 하고,

영어인은 부정으로 묻건 긍정으로 묻건 상관없이 답변자의 상태에 대한 긍/부정만으로 의미를 완성하려 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한국인은 대답을 함에 있어 질문이 긍/부정인지가 상당히 중요하며, 상대의 언어와 나의 언어를 합쳐서 논리를 완성하고

영어는 질문이 긍/부정인지는 별로 중요하지 않고, 다만 핵심 동사에 대한 답변만을 원하는 겁니다.  


왜냐고? 영어인은 단문장으로 의미를 완성하려고 하고,

한국인은 문장의 연결으로 의미를 완성하려고 하기 때문입니다. 


정리하자면 영어인은 단문장(무맥락) 언어를 지향하고, 

한국인은 문장간(맥락) 언어를 지향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RqrRG_P5bIQ

물론 영어인들도 부정의문문을 헷갈려할 때가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단답식으로 yes or no로만 답하기 보다는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해주면 좋아한다고 하네요. 이는 한국인도 마찬가지죠. 저 위에 "아니, 고파" 하는식으로요.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4812 생명의 진화와 소멸 2 양을 쫓는 모험 2010-07-07 7093
4811 넝쿨장미가 담을 넘고 있다... image 11 안단테 2009-05-20 7087
4810 보리수(보리장) image 10 안단테 2009-07-03 7084
4809 도서관에서 생긴 일 4 양을 쫓는 모험 2010-09-16 7061
4808 대칭의 수학 군론 2 똘추 2015-08-05 7038
4807 거리에서 눈내리는 마을 2010-09-15 7037
4806 드디어 미/중의 접점이.. 노란고양이 2010-07-20 7029
4805 인생의 방향과 양 image 3 눈내리는 마을 2010-07-24 7027
4804 김시습은 누구인가? image 8 김동렬 2013-02-03 7015
4803 시뮬라크르와 구조론 6 bttb 2010-07-17 7015
4802 오늘 누군가와 만난다면 image 눈내리는 마을 2010-09-01 7002
4801 사라지는 황토고원 image 2 김동렬 2014-03-04 6993
4800 구조론 독서 모임 공지(내용 업뎃) image 2 챠우 2016-09-05 6986
4799 쿠웨이트에서 내가 먹은 것들 image 9 양을 쫓는 모험 2010-04-12 6976
4798 오늘 누가 당첨될까? 2 노매드 2010-07-26 6974
4797 4 아제 2010-09-13 6960
4796 note 2 1 눈내리는 마을 2010-09-24 6956
4795 2011 더 씽(The Thing) - 영화 image 12 아란도 2012-06-18 6942
4794 돈도 안보냈는데 책이먼저 후니 2006-12-13 6929
4793 18대 대선 예상 투표율 7 새벽강 2012-12-19 69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