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사람들이 나보고 어떻게 문제행동 학생들을 도울 수 있냐고 물어본다. 돌이켜보니 법학공부 경험도 도움이 되고, 상담공부했던 것도 도움이 되고, 기독교적 배경도 도움이 된다.

그런데 가장 큰 도움이 되는 것은 김동렬의 구조론이고, 비폭력대화였다. 있는 그대로 상황을 보는 것과, 개인이나 특정 문제에 얽매이기 보다는 개인을 둘러쌓고 있는 환경과 일의 흐름, 그 아이에 대한 충분한 이해 - 아이에 대한 최대한 많은 자료를 바탕으로 정보를 얻기- 에 초점을 맞추면, 해결책이라고 하긴 그렇지만 접근방향은 금방 나온다. 그러고 보니 아무리 애가 이상하고 문제행동이 심해도 보통 애나 그 애나 90%이상 대하는 방식은 똑같다. 다만 좀더 기다려주고, 그 애가 변하기 보다 그 애 주변 사람들과 환경이 변하는데 신경을 쓰면 그 애도 안달라질 수 없다. 물고기가 병드는 것도 물 때문이고, 물고기가 건강한 것도 물때문이다. 물고기 자체에 문제가 있을 수도 있지만, 물고기 자체의 문제도 외부의 원인인 경우가 더 많다.
다들 부모를 탓하지만, 부모가 안변해도 학교가 할 수 있는 것은 매우 많고, 부모를 변하게 하는 힘도 학교의 역할로 어느 정도 가능하다. 그리고 지치지 말고 꾸준히 같이 하면 된다. 그런데 역시 꾸준히 하는 사람들이 드물고, 전체적인 안목을 가진 이들이 적으니 아무리 좋은 말로 설득을 하려고 해도 쉽지가 않다. 솔직히 말하면 나는 문제행동 학생을 대하는 것보다 주변 사람대하는 것이 더 힘들다. 그 애도 문제행동을 하지만, 주변 사람들이 얼마나 문제행동을 많이 하고, 그것이 그 학생의 문제행동을 심하게 만드는지 몰라도 한참 모른다. 교육은 매우 인간적인 영역이지만, 인간의 변화는 과학에 기인한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19.12.05 (03:57:08)

올려주시는 글이 아이 교육에 많은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이상우

2019.12.06 (16:36:43)

구조론의 도움을 받았으니 저도 그저 나누는 거죠. 구조론을 더 깊게 이해해서

더 좋은 내용으로 뵙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412 이명박을 생각한다 12 - 기업비리 수원나그네 2016-09-14 1749
411 구조론 목요강론회 image 2 ahmoo 2015-10-15 1747
410 구조론 광주 모임 탈춤 2015-08-22 1747
409 노동절 2 눈내리는 마을 2015-05-02 1747
408 지름신고 image 1 cintamani 2018-07-31 1746
407 12월 31일 3 락에이지 2017-12-31 1746
406 공유합니다 6 고향은 2020-02-24 1745
405 국정원을 생각한다 1 수원나그네 2017-03-05 1744
404 구조론 광주 모임 탈춤 2014-09-19 1744
403 구조론 방송국 재생 횟수 통계(최근 7일) image 5 오리 2019-10-06 1743
402 [보도기사] 핵발전소, 국민동의 받아야 수원나그네 2016-07-13 1742
401 인도의 철도와 농촌 3 수원나그네 2017-12-13 1741
400 오늘 강남 독서 모임 있습니다. 챠우 2016-09-10 1741
399 구조론 광주 모임 탈춤 2014-07-25 1740
398 구조론 목요모임(필수인력) image 오리 2020-03-26 1739
397 공부란 무엇인가 말시인 2019-09-02 1739
396 제안합니다! 1 cintamani 2018-07-18 1739
395 구조론 독서 모임 공지(토요모임) image 5 챠우 2016-10-07 1739
394 문화일보가 만든 나와 딱 맞는 정당 찾기? 2 슈에 2020-03-25 1738
393 남산공원의 전신 image 1 dksnow 2020-04-01 17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