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21]챠우
read 2245 vote 0 2019.11.08 (03:03:19)

https://youtu.be/WcjemuKwZA4

양자역학이 뭐 대단한 건 아니고, 미시세계이다 보니 뭘로 관측해도 대상과 상호작용할 수밖에 없으므로 계를 정하여 대상에 대한 해석을 간접적으로 하는 것을 말합니다. 인간이 만든 원자의 개념도 그것을 본 인간은 없고 다만 실험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간접적인 개념에 지나지 않는 것이죠.

계를 정하여 대상을 간접으로만 관측이 가능하니 입자냐 파동이냐 하는 말이 나오고, 확률적 해석이 나오며 또한 고양이가 살았네 죽었네 하며 다중 우주관이란 헛소리도 나오는 거죠.

반면 뉴턴역학은 거시세계를 다루므로 관측행위가 개별 대상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죠. 이러한 관측 스케일의 차이는 기묘한 역설을 만드는데, 인간의 거시세계의 관찰로는 부분밖에 볼 수 없고 오히려 미시세계 관찰은 사건의 전체를 가정할 수 있게 한다는 점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운동에 대한 해석입니다. 미시세계와 거시세계의 핵심적인 차이죠. 우리가 원하는 것은 두 세계의 통합적 해석입니다.

미시세계에서 운동에 대한 해석은 의미가 없습니다. 하지만 그것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그런데 오히려 거꾸로 생각해보면, 과연 거시세계의 운동은 결정적이고 그것은 확률(비결정적)과 아무런 상관이 없을까?

여기에 대한 해석은 해밀턴 역학의 최소작용의 원리가 하고 있죠. 비결정적인 확률이 어떻게 결정론적으로 변환되는지를 설명하는 것입니다.

결국 이러한 물리학을 통합하려면 "관점"이 도입되어야 합니다. 현재 과학에서 관측의 관점은 절대적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양자역학을 합의하지 못하는 거죠.

계 안에서 보느냐 밖에서 보느냐만 합의되면, 상대성이론과도 통합할 수 있을 텐데, 과연 인간들이 언제쯤이면 이에 합의할 지를 기다릴 따름입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9.11.08 (10:36:22)

양자역학의 본질은

물질에 대한 인간의 관측한계가 아니라 

관측의 딜렘마로 제기되는 상호작용 그 자체가 

바로 존재의 본질이라는 것이며

이 말은 공간 상의 물질이 어떻다는게 아니라 

그 물질이 놓여있는 공간 그 자체가 어떻다는 것이며

즉 공간의 실체가 뭐냐 하는 결코 열고 싶지 않은 

판도라의 상자를 건드리게 되었다는 것이며

이는 인류가 쌓아올린 그동안의 업적을 무효화 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공포의 대왕이 되는 것이며 

물리학의 역사를 전부 새로 쓰자는 

배짱있는 주장을 하는 사람이 아직 없는 것이며

또다른 아인슈타인이 필요하다는 말씀.

지금은 암흑물질이니 암흑에너지니 하며 암흑타령으로 얼버무리고 있지만

프로필 이미지 [레벨:13]르네

2019.11.08 (11:09:24)

어떤 현상을 
하나의 질점(質点)으로 설명하면 고전역학이고 
질점의 분포로 보면 양자역학입니다.

해밀턴의 운동방정식을 푸아송 괄호로 표현한 것에 
아이에이치바(iℏ)를 붙이면 곧장 양자역학의 
교환자와 연결됩니다.

그 값이 iℏ 이면(교환법칙 성립안됨) 양자역학,
0이면 고전역학입니다.

일반상대성이론은
우주의 기하학적 구조(곡률)과 에너지텐서와의 관계에 대한 이야기이며
물론 라그랑지안, 해밀토니안, 푸아송에서 연결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1452 하부구조는 상부구조의 복제판이다. 상동 2015-05-09 2233
1451 혼란스럽습니다.. 5 노란고양이 2014-04-22 2233
1450 구조론 공간이 더 아름다워졌군요 7 bttb 2010-12-20 2233
1449 설지역 총선 자원봉사 함께 하실분. 2 배태현 2016-03-10 2232
1448 Re: 결혼은 연애의 무덤 눈내리는 마을 2015-03-01 2232
1447 믿습니다 내 믿음없는 걸 도와주세요 6 큰바위 2014-07-25 2232
1446 모든 사람이 존엄한 세상 2 양을 쫓는 모험 2012-11-13 2231
1445 키네틱 아트 챠우 2014-12-02 2230
1444 구조론 목요 열린방송 (분당) image ahmoo 2017-07-13 2229
1443 한국사회의 장인 1 눈내리는 마을 2012-05-27 2229
1442 아란도 님의 댓글 다시금 복기.^^ image 배태현 2014-06-13 2228
1441 출판 크라우드펀딩을 기획했습니다. 8 덴마크달마 2018-06-30 2226
1440 이번 주 구조론 열린방송은 분당에서 image 1 ahmoo 2017-04-11 2226
1439 구조론과 구조맹ㅜㄴ 파워구조 2015-07-16 2226
1438 광화문 표정 image 아란도 2014-08-21 2226
1437 불안이란 어떤 것입니까? 6 연역 2019-06-22 2225
1436 구조론을 좀더 좋은 곳으로 만들기 위한 아이디어. 이은지 2015-01-04 2225
1435 2015년 새해맞이 행사 일정 6 불그스레(旦) 2014-12-30 2225
1434 코로나 폭증배후에 일본우익들도 개입되어있을가능성에 대해 3 승민이 2020-03-15 2224
1433 6년 전의 예언 image 1 風骨 2016-11-16 2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