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2698 vote 0 2019.11.07 (18:00:22)

 

    구조의 눈


    구조는 내부를 보는 것이다. 사물의 내부는 쪼개보면 된다. 사건의 내부를 보는 데는 특별한 기술이 소용된다. 사건은 시간을 타고 간다. 버스가 떠난 뒤에 손 흔들어 봤자다. 사물은 외부에서 끊임없이 개입한다. 사건은 버스의 출발과 동시에 문이 닫히고 외부개입은 차단된다. 그것이 닫힌계 개념이다.


    사물은 외부를 관찰하여 누가 건드리는지 알아내면 된다. 몰래 와서 속삭이는 자가 반드시 있다. 사건은 내부에서 진행되므로 추론해야 한다. 같은 사건을 재현해 보면 된다. 사물의 외부는 무언가 플러스될 수 있다. 그것이 원인이다. 칼은 휘두르는 자가 있고 총은 쏘는 자가 있고 공은 차는 사람이 있다.


    작용하는 것이 있다. 그 원인측을 추적하면 된다. 사건은 버스가 출발하면 외부에서 작용할 수 없으므로 내부에서 답을 찾아야 한다. 내부는 언제나 빡빡한 상태다. 잉여가 없다. 여유가 없다. 잠수함처럼 실내가 좁다. 에너지를 최대한 끌어쓰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약간의 작용에도 크게 영향을 받는다.


    사물은 겉에 덧씌워지므로 형식보다 내용이 중요하지만 사건은 절대적으로 형식이 중요하다. 사건은 움직인다. 움직이려면 가벼워야 한다. 덧씌울 수 없다. 사물의 왕자는 좋은 옷으로 덧씌워진다. 폼잡을 수 없다. 사건에 들어가면 좋은 옷은 거추장스러울 뿐이다. 링 위의 선수처럼 홀딱벗어야 한다.


    사건은 달린다. 마라톤과 같다. 좋은 옷과 폼나는 모자와 장식은 쓸모가 없다. 사건은 언제나 극한의 상태에서 진행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통제된다. 여기에 의미가 있다. 사물은 내가 100을 작용해도 저쪽에서 100으로 막으면 무효가 된다. 그러나 사건의 버스는 이미 떠났으므로 이쪽저쪽 다 무효다.


    그렇다면? 사건은 선제대응하는 사람이 이긴다. 먼저 와서 판을 설계하는 사람이 다 먹는다. 즉 사건은 머리가 좋은 사람이 이기는 게임이다. 저쪽에 돈이 많고 힘이 세고 빽이 있어봤자 쓸모가 없다. 내가 설계한 판은 내가 먹는다. 사물은 보수가 힘으로 눌러서 이기지만 사건은 언제나 진보가 이긴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19.11.08 (04:03:04)

"사건은 선제대응하는 사람이 이긴다. 먼저 와서 판을 설계하는 사람이 다 먹는다. 즉 사건은 머리가 좋은 사람이 이기는 게임이다."

http://gujoron.com/xe/1139461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17708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updateimage 7 김동렬 2024-06-12 933
2279 그림 image 김동렬 2011-07-11 17061
2278 진화는 마이너스다 image 김동렬 2011-07-11 16331
2277 포지션의 겹침 image 김동렬 2011-07-08 41641
2276 구조의 탄생 image 2 김동렬 2011-07-07 13257
2275 구조론 마인드 맵 image 2 김동렬 2011-07-03 14881
2274 구조의 모형 image 1 김동렬 2011-06-28 17610
2273 과학자의 비과학 8 김동렬 2011-06-27 12668
2272 포지션으로 본 차원개념 image 1 김동렬 2011-06-23 15917
2271 1에 2를 넣는 다섯 가지 방법 image 김동렬 2011-06-23 16676
2270 바퀴벌레의 아이큐 1 김동렬 2011-06-21 18605
2269 물레방아와 축구경기 image 김동렬 2011-06-18 19385
2268 창의하는 방법 6 김동렬 2011-06-17 12598
2267 깨달음의 의미 2 김동렬 2011-06-16 15837
2266 용해 주물 압연 압천 압인 image 김동렬 2011-06-12 21725
2265 각 포지션들 image 2 김동렬 2011-06-09 16162
2264 구조의 포지션 찾기 image 3 김동렬 2011-06-08 18216
2263 창의하는 방법 image 김동렬 2011-06-05 13880
2262 물레방아의 작동구조 image 2 김동렬 2011-05-31 19110
2261 물레방아의 구조 image 3 김동렬 2011-05-30 22443
2260 중요한건 구조론의 관점 김동렬 2011-05-26 12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