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211 vote 0 2019.08.20 (16:35:28)


    세상은 사건이다. 사건은 연결된다. 사건은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일어난다. 사건은 사물에 대해서 사건이다. 사물은 그저 존재한다. 사물은 낱낱이 조사해봐야 알 수 있지만 사건은 꼬리에 꼬리를 물고 서로 연결되므로 하나를 알면 열을 알 수 있다. 머리를 알면 꼬리를 알 수 있다. 그런 점에서 희망적이다.


    세상은 에너지다. 에너지는 계를 이룬다. 에너지는 계에 갇히므로 통제할 수 있다. 에너지는 물질에 대해서 에너지다. 물질은 형태가 있으므로 낱낱이 조사해봐야 알 수 있지만 에너지는 형태가 없는 대신 계를 이루고 입력과 출력이 있으므로 에너지의 입구와 출구를 틀어막으면 계 안에서 법칙대로 간다.


    세상은 구조다. 구조는 얽혀 있다. 공간과 시간이 얽혀 있으므로 공간을 알고 시간을 헤아릴 수 있으며 시간을 알고 공간을 헤아릴 수 있다. 구조의 공간과 시간 중에서 하나를 알면 나머지 하나를 추적할 수 있다. 구조는 속성에 대해서 구조다. 물질은 고유한 속성이 있지만 에너지는 보편적 구조가 있다.


    물질의 속성은 물질마다 다르다. 소금은 짜고 설탕은 달다. 구조는 만유가 동일한 플랫폼을 사용하므로 다르지 않다. 모든 구조는 대칭을 쓴다. 대칭은 둘이 쌍을 이룬다. 이쪽에 없으면 반드시 저쪽에 있다. 이쪽과 저쪽의 대칭이다. 거리를 좁히면 속도가 빨라진다. 거리를 잃고 대신 속도를 얻은 것이다.


    이것이 일어서면 저것도 일어선다. 이것이 사라지면 저것도 사라진다. 이것과 저것 안에 있으므로 우리는 추적할 수 있다. 세상은 사물이 아니고 물질이 아니고 속성이 아니다. 그러므로 낱낱이 추적할 필요가 없다. 세상은 사건이고 에너지고 구조다. 만유는 대칭이라는 하나의 플랫폼을 사용한다.


    최소작용의 원리에 따라 에너지는 효율성을 따르고 엔트로피의 원리를 따라 일방향성을 가지므로 우리는 사건에 개입할 수 있고 에너지를 통제할 수 있다. 구조를 조작할 수 있다. 사건은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일어난다. 꼬리와 꼬리 사이에 마디가 있다. 그사이에 완전성이 있다. 시작점과 끝단이 있다.


    머리와 꼬리가 있다. 엔진과 바퀴가 있다. 기관차와 객차가 있다. 그 마디들 사이에 개입하여 통제할 수 있다. 하나를 알아서 열에 대응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희망적이다. 세상이 딱딱하게 고착된 물질이 아니라 부드럽고, 움직이는 사건이고, 에너지고, 구조이고, 대칭이라는 점은 인류에게 좋은 소식이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19.08.22 (04:47:37)

"세상이 딱딱하게 고착된 물질이 아니라 부드럽고, 움직이는 사건이고, 에너지고, 구조이고, 대칭이라는 점"

http://gujoron.com/xe/1116282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6032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5888
1232 껍질 벗겨진 멧돼지의 난동 김동렬 2021-12-30 3529
1231 세계관의 문제 김동렬 2021-12-30 4120
1230 갈릴레이의 멀리보기 김동렬 2021-12-30 2759
1229 과학은 세는 것이다 김동렬 2021-12-30 2965
1228 MB 아바타와 내가 바보입니까? 김동렬 2022-01-01 3532
1227 이재명 윤석열 김동렬 2022-01-02 3201
1226 과학과 비과학 김동렬 2022-01-02 2914
1225 윤석열 멸망 진짜 이유 image 김동렬 2022-01-03 3731
1224 이재명 지지율이 오른 이유 김동렬 2022-01-03 3511
1223 안철수로 단일화 한다고? 김동렬 2022-01-03 4049
1222 배신의 정치 윤석열 김동렬 2022-01-04 3897
1221 누가 윤석열을 죽였는가? 1 김동렬 2022-01-05 3473
1220 과학 하기 싫다? 김동렬 2022-01-05 2774
1219 윤석열 김종인 이준석 삼국지 김동렬 2022-01-06 3556
1218 지식인의 자세 1 김동렬 2022-01-07 2914
1217 윤석열 이준석의 몰락공식 김동렬 2022-01-07 3959
1216 지식권력의 문제 김동렬 2022-01-08 3300
1215 고수 이재명 하수 윤석열 김동렬 2022-01-08 3897
1214 구조론적 행동주의 김동렬 2022-01-09 3062
1213 정용진 윤석열의 멸공놀음 김동렬 2022-01-10 35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