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프로필 이미지
[레벨:7]현강
read 1882 vote 0 2019.07.31 (23:04:15)

구조 모형-1.png




구조 모형-2.png

구조 모형-3.png

구조 모형-4.png

인간이 사유할 수 있는 방법은 '토대의 공유(상부구조)가 대칭(하부구조)에 우선한다' 결국 이것뿐이다.

뇌가 자연의 무언가를 복제한다는 것은 둘과 둘 사이에 대칭을 세운다는 뜻이다.

어째서 그 단계의 대칭을 세운것이냐 하면 더 윗단계의 공유되는 토대까지는 분류해내지 못했기 때문이다.

예컨대 뇌가 사실판단까지만 내린 건 상부구조인 의미를 대칭으로 옳고 그름을 분류해내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인간이 사유할 수 있는 대칭의 최종보스는 무엇인가? 

모든 사유가 공유하고 있는 토대 말이다.

그것은 위 그림들에서와 같이, 중첩이 대칭을 포함하는 관계이냐 그 역방향이냐 뿐이다.

대칭은 인간의 사정이고 중첩은 자연의 원본이다.

즉 인간 사유의 한계치는 '토대의 공유로부터 대칭을 세우는 쪽으로만 진행할 수 있음'이다.


이러한 순방향을 칭하는 언어가 없으니 상부구조에서 하부구조로의 일방향성 자체를 의사결정 혹은 에너지라 칭해도 좋을 것이다.

그 반대는 어차피 사유 자체가 불가능하니(복제 불능) 이 우주의 방식이 아니므로 알러지라 하든 알레르기라 하든 우리가 알 바 아니다.


얼마 전 깨달음의 대화 댓글로 동렬님께서 모형을 제시해보라고 하셔서 시도해보았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2019.08.01 (16:37:02)

왜 귀납을 연역이라고 주장하는지 모르겠네요?

맞다/틀리다 이런 표현은 구조론 용어이므로 구조론의 규칙대로 써야 합니다.

그냥 일상용어라고 생각한다면 곤란합니다. 


인간은 원리판단을 먼저 하고 다음 개념판단 가치판단 의미판단 사실판단을 합니다.

다만 원리, 개념, 가치, 의미는 대개 뇌 안에서 프로그래밍 되어 있기 때문에 자각하지 못하는 거지요.


사실판단을 먼저 하는게 아니고 사실판단은 다른 사람에게 말하기 쉽기 때문에 

즉 원리를 설명하는 용어가 아예 없기 때문에 말할 언어가 없어서 그냥 넘어가는 겁니다. 


저는 그것을 꼬치꼬치 다 말하지 않으면 기분이 나빠지기 때문에 말하는 거구요.

보통은 나 왔다 하지 여차여차 해서 왔다고 꼬치꼬치 말하지 않습니다.


말 안해도 눈치코치로 대략 알아먹으니까 대충 넘어가는 거지요.

그러나 그걸 굳이 시시콜콜 말하는 사람이 있는데 바로 접니다.


그리고 과학과 같은 엄밀한 영역에서는 그것을 다 말하지 않으면 안 되는 거구요. 

그냥 사슴이다 해야지 나의 눈동자 망막에 사슴으로 추정되는 피사체가 하나 진입했어.


이따위로 말하는 사람과는 아무도 사귀려고 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런데 과학은 원래 그런 식으로 고리타분하게 말해야 합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4492 dipole antenna image 1 눈내리는 마을 2011-03-06 4910
4491 한국 인터넷에서 잘못 끼워진 첫 단추, 그 이름은 네이버 (NAVER) image 2 꼬레아 2010-04-03 4906
4490 왕따 없애는 것은 가능한 것일까요? 9 이상우 2010-06-16 4899
4489 심심풀이 삼각형 찾기 image 7 김동렬 2015-07-22 4886
4488 문재인 쪽에서..(국정원 불법유출포함한) 07년 -12년 NLL자료 특검을 제안하면 어떨까요?? 6 택후 2013-07-23 4885
4487 간단한 포크 트릭 image 10 김동렬 2012-12-03 4885
4486 서남수 장관의 변태행위 image 8 김동렬 2014-04-19 4880
4485 사람들이 좋아하는 말들 image 4 김동렬 2012-12-28 4880
4484 찌아찌아족이 한글을 쓰는 이유 image 2 정나 2018-02-08 4878
4483 구조론 모든 분들 설 잘 쇠세요^^ image 5 까뮈 2014-01-30 4872
4482 안녕하세여, 가입인사드립니다. 1 물소리 2007-02-13 4871
4481 한반도는 외세에 그렇게 자주 침범을 당했을까? 8 까뮈 2013-11-05 4866
4480 얼음새꽃 복수초와 함께... image 2 안단테 2009-02-19 4863
4479 달마방에서 구조론 닷컴으로 ---^^ 2 기랑 2009-01-14 4857
4478 도로 하수구 1 무위 2009-06-07 4856
4477 리디북스 5개까지 계정공유 돼서 연역 2019-05-08 4852
4476 미국풍경 image 2 김동렬 2009-01-28 4850
4475 미토콘드리아 전에 진도를 나가 주었던 세포가 발견되었다 하오. image ░담 2010-04-08 4848
4474 불가리아 카를로보 image 13 풀꽃 2009-06-22 4847
4473 다시.... 夢......? 갓댐양키 2007-08-28 48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