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4939 vote 0 2019.07.22 (16:51:23)


    모든 존재는 운동한다.


    운동하는 존재는 공간을 더 많이 차지한다.


    특수하게 얽혀 운동하면 공간을 절약한 만큼 효율성을 얻는다.


    사건은 닫힌계 안에서 1회의 에너지 작용에 따른 전개이며 그 효율성을 소비하여 상대적인 에너지 우위로 의사결정한다.


    모든 사건은 효율성을 상실하는 형태로 진행된다.


    전체의 우위에서 대결하고 있는 부분의 우위로 옮겨가는 과정에서 전체의 우위가 사라진다.


    효율성을 잃는 대신 어떤 결과를 얻는 것이 일이다.


    전체적으로는 효율성을 소비하여 비효율로 가지만 국소적으로 상대적인 효율성에 따른 에너지의 우위가 일어나는 지점이 있다.


    국소에서의 상대적인 효율성은 질, 입자, 힘, 운동, 량으로 5회에 걸쳐 일어난다.


    더 효율적인 위치인 질에서 덜 효율적인 입자로, 입자에서 힘으로, 힘에서는 운동으로, 운동에서 량으로만 갈 수 있다.


    질에서 입자와 힘과 운동을 거쳐 양으로 가는 동안 상대적인 효율성이 발생하는 범위는 점차 국소화되어 공간적으로 좁혀진다.


    질 입자 힘 운동 량의 5회에 걸쳐 사건은 닫힌계를 조직하며 외부에서 추가적인 에너지 유입이 없으므로 엔트로피는 5회에 걸쳐 항상 증가한다.


    엔트로피 증가는 사건 전체로도 일어나지만 하나의 사건 안에서 세부적으로 질, 입자, 힘, 운동, 량의 5회에 걸쳐 성립한다.


    질의 입자에 대한 상대적인 효율성을 소비하는 형태는 질에서 입자로의 전개밖에 없으므로 사건의 다음 단계를 예측할 수 있다.


    질의 상태에 있는 사건은 입자상태의 사건에 대해 보다 효율적이며 그 효율을 소비하면 입자상태로 바뀌어 더 이상 질의 효율을 쓸 수 없다.


    질의 효율을 소비하여 입자로 바뀌고 입자의 효율을 소비하여 힘으로 바뀌는 패턴을 5회 일으킨다.


    사건은 질에서 입자와 힘과 운동을 거쳐 량까지 가면서 효율성을 완전히 소비한다.


    량에서 효율성은 완전히 소비되어 상대적으로 더 많은 공간을 차지한 부분이 없으므로 외력의 작용 없이 사건은 더 이상 전개될 수 없다.


    량보다 운동이, 운동보다 힘이, 힘보다 입자가, 입자보다 질이 더 많은 공간을 차지한다.


    물질은 질에서 입자와 힘과 운동을 거쳐 량으로 가면서 차지한 공간을 내놓는다.


    외부의 개입 없이 저절로 뭐가 되었다면 그 원인은 구조의 효율성이다. 존재는 그 효율성을 소비하는 형태로 일한다. 효율성은 더 많은 공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다. 일하면 효율성을 소비하여 더 적은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더 많은 공간을 차지한 존재가 그 공간을 잃으면서 일할 수는 있어도 그 역은 없다. 그 이유는 그 공간이 없기 때문이다. 더 적은 공간을 차지한 쪽은 공간을 많이 차지한 쪽에 작용할 공간이 없다. 작용하려면 움직여야 하고 움직이려면 빈 공간이 있어야 하는데 공간이 없어 작용하지 못한다. 이것이 엔트로피의 법칙이다. 구조론은 하나의 사건 안에서 질 입자 힘 운동 량에 걸쳐 5회의 효율차이에 따른 에너지 낙차와 엔트로피가 성립한다는 거다. 비유하면 다섯 식구가 각자 방을 하나씩 차지하고 사는 집과 방 하나를 다섯식구가 공동으로 쓰면서 남는 방 넷을 임대료를 받고 세를 놓는 집이 있다면 방 하나를 공동으로 쓰는 집이 더 이득을 본다는 말이다. 이때 한 방에 몰려 있던 식구들이 빈 방을 하나씩 채우면서 움직여 그 움직인 만큼 일한다. 일을 하면 다섯 개의 방을 모두 채우게 되어 더 이상 일할 수 없다. 엔트로피가 최대화 되는 것이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19.07.23 (03:54:49)

"외부의 개입 없이 저절로 뭐가 되었다면 그 원인은 구조의 효율성이다. 존재는 그 효율성을 소비하는 형태로 일한다."

http://gujoron.com/xe/1108207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sort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4849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4575
1349 왜 공부해야 하는가? image 김동렬 2017-05-19 14570
1348 김민석... 드디어.. 철새에 합류... 카카 2002-10-17 14577
1347 Re..단일화는 아직 거론하기 이릅니다. 김동렬 2002-10-25 14577
1346 유시민과 장영달을 지지함 김동렬 2005-03-22 14580
1345 박상천 살아남을 것인가? image 김동렬 2003-07-03 14581
1344 이창호의 이 한수 김동렬 2005-02-28 14582
1343 Re.. 의미없는 이야기입니다. 김동렬 2002-12-11 14586
1342 추미애 수수께끼? image 김동렬 2003-11-12 14586
1341 Re..키쿠님~ 안녕하세요 김동렬^^ 2002-09-23 14588
1340 다섯 에너지 장 모형 image 5 김동렬 2011-03-07 14589
1339 구조를 찾는 방법 2 김동렬 2010-02-10 14591
1338 Re..오늘 토론회 어땠나요? 까웅아빠 2002-10-13 14592
1337 병렬이파 철부지들의 자살골 행진 image 김동렬 2003-08-19 14594
1336 신과 친하기 7 김동렬 2010-09-14 14597
1335 청맹과니가 된 강준만 김동렬 2005-05-30 14607
1334 모든 독재는 나쁘다 김동렬 2006-07-10 14610
1333 구조란 무엇인가? 김동렬 2007-10-25 14610
1332 남프, 존경합니다. image 김동렬 2004-03-01 14611
1331 니 귀신 아이가? 이영호 2002-11-03 14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