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5146 vote 0 2019.07.21 (21:29:05)

    효율의 증가와 감소


    자연은 5로 되어 있다. 인간이 작위하여 만드는 것은 5가 아니다. 5는 시스템의 갖춤이다. 인간이 하는 일은 1에서 시작해서 2, 3, 4, 5로 상승한다. 5에 도달하면서부터 효율적으로 변한다. 그리고 갈수록 효율은 감소한다. 일한다는 것은 외부와 연결하여 관계를 맺는다는 것이며 관계를 맺으면 그 방향은 차단되고 새로 관계를 맺을 수 없다. 즉 일하면 일할 수 없다.

    멈춘 사람은 차를 탈 수도 있고 말을 탈 수도 있고 헤엄칠 수도 있다. 차를 탄 사람은 차에서 내리지 않고 즉 멈춰서지 않고 말을 타거나 헤엄칠 수 없다. 그러므로 일할수록 일할 수 없게 되어 결국 죽는다. 엔트로피 곧 무질서도의 증가다. 인간이 작위적으로 하는 일은 1로 시작하므로 점점 효율성이 증대된다. 아기보다 어린이가 낫고 어린이보다 소년이 낫다.

    소년보다 청년이 낫고 청년보다 장년이 낫다. 더 많은 관계를 맺을 수 있다. 그리고 하락이 시작된다. 효율성은 점차 감소한다. 바둑으로 치면 포석을 완성할 때까지 효율성은 증대된다. 그리고 점차 비효율적으로 된다. 그러므로 사건은 방향성이 있고 우리는 통제할 수 있다. 효율을 증대시킬 수도 있고 감소시킬 수도 있다. 상대보다 효율적 위치를 차지할 수 있다.

    상대가 1로 나오면 2로 이길 수 있다. 2가 더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내가 1로 도전했는데 상대가 빠르게 2로 나오면 그 부분을 포기하고 다른 곳에 새로 전단을 열고 선수를 치면 된다. 내가 포기한 1을 상대가 해치우지 않고 이쪽으로 쫓아오면 그 1과 연결하여 다시 살려내는 방법으로 우위에 설 수 있다. 여러 곳에 전단을 벌리고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5를 도출한다.

    이 방법으로 언제나 이길 수 있다. 전성기의 나폴레옹처럼 말이다. 적은 끊어져서 5가 되지 못하게 하고 아군은 연결하여 5를 이루는 방법으로 언제나 이길 수 있다. 하나의 사건 안에서 다섯 번 세부적인 효율성의 결정이 있다. 엔트로피 감소는 사건 전체로도 일어나지만 사건 안에서도 다시 다섯으로 쪼개진다. 다섯 번 엔트로피의 감소결정이 일어나는 것이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19.07.23 (03:47:13)

"적은 끊어져서 5가 되지 못하게 하고 아군은 연결하여 5를 이루는 방법으로 언제나 이길 수 있다."

- http://gujoron.com/xe/1107946

[레벨:15]오민규

2019.07.23 (12:49:26)

많이 도움이 됐습니다.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5964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5817
2712 하버드 의리론 1 김동렬 2018-08-13 5963
2711 의리는 계통에서 나온다 김동렬 2018-08-14 5505
2710 간화선 필요 없다 2 김동렬 2018-08-15 5632
2709 말을 들어야 깨달음이다 2 김동렬 2018-08-16 5547
2708 권력과 의리 김동렬 2018-08-16 5582
2707 질 입자 힘 운동 량이 너무 쉬워요 7 김동렬 2018-08-18 6550
2706 질 입자 힘 운동 량 그림풀이 image 김동렬 2018-08-19 5576
2705 선진국이 되면 행복해질까? 3 김동렬 2018-08-20 6173
2704 외계인의 입장 10 김동렬 2018-08-20 6406
2703 어리석은 깨달음 놀음 김동렬 2018-08-21 5778
2702 천하인이 될 것인가 소인배가 될 것인가? 2 김동렬 2018-08-22 6088
2701 세상은 한 방향이다 김동렬 2018-08-23 5597
2700 공간과 시간 김동렬 2018-08-24 5647
2699 진짜 이야기 1 김동렬 2018-08-25 5708
2698 공간은 있고 시간은 없다 김동렬 2018-08-26 5629
2697 존재란 무엇인가? 2 김동렬 2018-08-27 5713
2696 아리스토텔레스의 4 원인 1 김동렬 2018-08-29 6656
2695 빚이 있어야 경제가 발전한다 4 김동렬 2018-08-30 6143
2694 미국의 몰락 2 김동렬 2018-09-02 4978
2693 인간은 변하지 않는다 1 김동렬 2018-09-02 60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