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읽기
프로필 이미지
[레벨:30]id: 김동렬김동렬
read 3706 vote 0 2019.05.28 (22:53:53)


    카리스마가 힘이다


    인간은 힘을 추구한다. 카리스마가 힘이다. 만나고 싶게 하는 힘이 카리스마다. 만날 수 있어야 한다. 저장강박증 환자는 쓰레기를 주워 모아 집에 바리케이드를 친다. 만나고 싶지 않은 것이다. 옛날에는 쓰레기를 모으는 사람이 없었다. 이웃집 사람이 놀러와서 한마디씩 하기 때문이다. 공동체가 파괴되면서 환자가 늘었다.


    만나게 하는 것이 에너지다. 단순하면 만날 수 있다. 복잡하면 만날 수 없다. 비우면 만날 수 있다. 채우면 만날 수 없다. 영화제의 레드카펫 행사에 서는 배우들의 의상은 단순하다. 그 공간은 만남의 장소이기 때문이다. 맞선을 볼 때 복잡한 옷을 입고 가면 안 된다. 체크무늬 안 된다. 불필요한 오해를 일으킬 수 있는 것이다. 


    무대에 서는 연주자가 결혼식 드레스와 같은 화려한 의상을 입고 왔다면 보나 마나 중국 학생이다. 그런 데서 수준을 들키는 거다. 콩쿠르에 나서는 연주자는 단순한 의상을 입어야 한다. 다른 걸로 본전을 뽑으려 한다는 인상을 주게 되면 그게 감점요인이 되기 때문이다. 무당들은 현란한 의상을 입는다. 무당은 만나지 않는다. 


    무당은 일방적으로 자신의 힘을 과시한다. 왕비는 현란한 의상을 입는다. 왕비는 아무나 만나주지 않는다. 일방적으로 지배한다. 거기에 쌍방향 소통은 없다. 에너지도 없고 매력도 없고 카리스마도 없다. 요즘 공주들은 대중에게 미움받을까 봐 단순한 의상을 입고 있더라마는. 단순해야 한다. 물론 홀딱 벗고 나오면 안 된다. 


    질서 있는 단순함이어야 한다. 만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카리스마는 질서 있는 단순함에서 나온다. 능력이 있다면, 매력이 있고 지성이 있다면 질서있는 단순함이 연출되는 것이며 비로소 만날 사람을 만날 수 있다. 거기에 에너지가 있다. 반대로 채우면 어수선해진다. 질서가 사라져 버린다. 대칭을 가로막기 때문이다.


    비우면 대칭이 드러난다. 토대의 공유가 드러난다. 사건이 치고 나가는 방향성이 드러난다. 그럴 때 질서있는 단순함에 도달한다. 레드 카펫 의상에서 대칭을 드러내고 질서를 드러내고 단순함을 드러내고 토대의 공유를 드러내고 방향성을 드러내야 한다. 참신한 아이디어를 곁들이면 더욱 좋다. 그래야 대중이 가담하기 때문이다.


    대칭이 드러나고 방향성이 드러날 때 대중이 신규로 가담해 온다. 나무는 밑동이 단순하고 가지 끝이 복잡하다. 여기에 방향성이 있다. 대중은 어디에 링크를 걸어야 사건에 가담할 수 있는지 알아챈다. 토대의 공유가 없고 대칭이 없고 방향성이 없으면 겉돌게 된다. 무당의 화려한 의상과 같다. 그래서 어쩌라고? 자기소개다.


    왕비의 현란한 의상은 나 이런 사람이야 하는 자기소개다. 박근혜의 올림머리나 세운 칼라나 메이총리의 왕방울 목걸이나 김정은의 패션은 나 이런 사람이야 하고 목에 힘주는 것이다. 그런데 어쩌라고? 자기소개 곤란하다. 대중이 가담할 수 없다. 링크를 걸 수 없다. 방향성이 없다. 대칭이 없다. 구조가 없다. 다가갈 수 없다.


    비우면 대칭이 드러나고 합치면 대칭이 감추어진다. 그럴 때 원하는 카리스마는 얻어진다. 박근혜와 메이와 김정은은 채워서 바리케이드를 치고 남들이 다가오지 못하게 막았다. 머리꼭지 위에 불룩하게 채우고 목의 칼라를 세워서 채우고 왕방울 목걸이로 채우고 괴상한 귀두컷으로 채운다. 함부로 다가오지 못하게 막는다.


    


프로필 이미지 [레벨:13]kilian

2019.05.29 (03:49:21)

"인간은 힘을 추구한다. 카리스마가 힘이다. 만나고 싶게 하는 힘이 카리스마다."

http://gujoron.com/xe/1093016

List of Articles
No.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공지 닭도리탕 닭볶음탕 논란 종결 2 김동렬 2024-05-27 26497
공지 신라 금관의 비밀 image 7 김동렬 2024-06-12 16424
5172 구조론 입문 김동렬 2021-02-16 2799
5171 민중의 백기완 김동렬 2021-02-15 3097
5170 이기는 법 김동렬 2021-02-15 3246
5169 백기완의 완결 3 김동렬 2021-02-15 3266
5168 금태섭 심상정의 기생寄生정치 김동렬 2021-02-13 3160
5167 원자론과 구조론의 세계관 차이 2 김동렬 2021-02-12 2767
5166 기다리는 자가 이긴다 김동렬 2021-02-11 3851
5165 구조론적 세계관 2 김동렬 2021-02-11 3204
5164 명절증후군은 거짓말이다 김동렬 2021-02-10 3461
5163 위안부 문제의 본질 김동렬 2021-02-09 3008
5162 셈이 먼저냐 숫자가 먼저냐? 김동렬 2021-02-08 5164
5161 구조론에 대해 질문하려면 1 김동렬 2021-02-08 3198
5160 질문과 답변 김동렬 2021-02-07 3485
5159 서민충의 서민행동 image 김동렬 2021-02-07 3163
5158 인상주의 혁명 김동렬 2021-02-07 3071
5157 복장 박영선 1 김동렬 2021-02-06 3459
5156 우주의 제 1 원리 만유척력 김동렬 2021-02-04 3401
5155 하다하다 해저터널 조공이냐? 2 김동렬 2021-02-03 3566
5154 원자론에서 구조론으로 1 김동렬 2021-02-03 2612
5153 공리주의와 구조론 김동렬 2021-02-03 2783